|
0 |
không |
크옴 |
1 |
một |
못 |
2 |
hai |
하니 |
3 |
ba |
바 |
4 |
bốn |
본 |
5 |
năm |
남 |
6 |
sáu |
싸우 |
7 |
bảy |
바이 |
8 |
tám |
땀 |
9 |
chín |
찐 |
10 |
mười |
므어이 |
11 |
mười một |
므어이 못 |
12 |
mười hai |
므어이 하이 |
13 |
mười ba |
므어이 바 |
14 |
mười bốn |
므어이 본 |
15 |
mười lăm |
므어이 람 |
16 |
mười sáu |
므어이 싸우 |
17 |
mười bảy |
므어이 바이 |
18 |
mười tám |
므어이 땀 |
19 |
mười chín |
므어이 찐 |
20 |
hai mươi |
하이 므어이 |
30 |
ba mươi |
바 므어이 |
40 |
bốn mươi |
본 므어이 |
50 |
năm mươi |
남 므어이 |
60 |
sáu mươi |
싸우 므어이 |
70 |
bảy mươi |
바이 므어이 |
80 |
tám mươi |
땀 므어이 |
90 |
chín mươi |
찐 므어이 |
100 |
một trăm |
못 짬 |
1000 |
một nghìn(ngàn) |
못 응인(응안) |
10000 |
mười nghìn(ngàn) |
므어이 응인(응안) |
11. 한 치수 큰 것을 보여주시겠어요?
쪼 또이 쎔 런 헌 못 꺼.
lớn hơn은 ‘보다 큰’ 의미이고, A hơn B는 ‘B 보다 A’라는 문형이다.
12. 입어봐도 되나요?
또이 막 트 꼬 드억 크옴 아?
mặc은 입다, thử는 ‘시험삼아 해보다’이다. Có được không ạ?은 ‘~ 해도 되나요?’라는 양해를 구하는 말이다.
13. 그러믄요.
드억 아.
일반적인 의문문에서의 긍정 답변은 có 또는 được이다. 상대방의 요청에 대해서 더욱 강하게 긍정하는 방법으로 ‘되고 말고요’라는 느낌을 줄 때는 được chứ(드억 쯔)라고 한다.
14. 옷 갈아입는 곳은 저쪽에 있어요.
쪼 타이 꿘 아오 어 끼어.
chỗ는 ‘장소’, thay는 ‘바꾸다, 갈아입다’, quần은 ‘바지’, áo는 ‘윗도리’, quần áo는 ‘옷’, ở는 ‘머물다,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 kia는 ‘저쪽’을 의미한다.
15. 이것으로 하겠어요.
또이 러이 까이 나이.
lấy는 영어의 ‘take’와 같고, cái này는 ‘이것’이다.
16. 얼마죠?
까이 나이 바오 니에우 띠엔 아?
Bao nhiêu는 ‘얼마’라는 의문사이고, tiền은 ‘돈’이다.
17. 12만원입니다.
120,000(một trăm hai mươi nghìn) won.
못 짬 하이 므어이 응인 원.
위의 숫자 읽는 법을 참조바람.
18. 비자카드 받나요?
Thanh toán bằng thẻ VISA có được không ạ ?
타잉 또안 방 테 비자 꼬 드억 크옴 아?
Thanh toán은 ‘청산하다, 결제하다’는 뜻이며, bằng은 수단을 나타내는 단어로 ‘~로’이고, thẻ는 ‘카드’를 의미한다. VISA라는 단어에 다른 카드 명을 사용해서 응용할 수 있다.
19. 여기 서명해 주세요.
씬 끼 뗀 바오 더이.
‘서명하다’는 ký tên이고, 문두에 xin을 사용해서 정중한 요청의 표현이 된다.
20. 영수증을 주십시오.
씬 쪼 또이 호아 던.
‘영수증’은 hóa đơn이고, xin cho는 ‘주십시오’라는 표현이다.
21. 여기 있어요.
더이 아.
‘여기’는 đây이고, 뒤에 ạ를 붙여서 정중한 표현이 된다.
22. 안녕히 가세요.
씬 짜오 아잉.
위 1번의 ‘안녕 하세요?’와 같은 표현이다. 베트남 인사말에서 만날 때나 헤어질 때 모두 같이 쓸 수 있다. 헤어질 때만 사용하는 인사말로는 ‘Xin chào tạm biệt.(씬 짜오 땀 비엣)’이라는 말도 사용할 수 있다.
식당(tại nhà hàng)
23. 주문하시겠습니까?
아잉 무온 고이 니응 몬 지 아?
직역하면 ‘어떤 음식을 부르고 싶습니까?’이다. gọi는 ‘부르다’이고, món은 ‘요리, 음식’을 나타낸다.
24.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아잉 무온 중 니응 몬 지 아?
dùng은 ‘드시다’라는 말로 ‘먹다(ăn)’라는 말의 높임말이다.
25. 비프스테이크를 주십시오.
씬 쪼 또이 비 텟.
Xin cho tôi ~ 는 ‘~ 해주세요’라는 표현이다. bit tết은 ‘비프스테이크’이다.
26. 저도 같은 걸로 주세요.
쪼 또이 몬 지옹 느 테.
giống như thế는 ‘그와 같은 것’이라는 표현이다.
27. 알았어요.
베트남어에서 손님이 주문을 하면 보통 종업원은 ‘감사합니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굳이 ‘알았어요’라는 말을 사용한다면 ‘예’라는 의미의 dạ 혹은 vâng을 사용할 수 있다.
28. 스테이크를 익혀 드릴까용 아니면 적당히 익힐까요?
Anh muốn bit tết thật chín hay vừa ạ ?
아잉 무온 비 텟 텃 찐 하이 브어 아?
thật chín은 ‘작 익힌’, vừa는 ‘적당한’의 뜻이다.
29. 완전히(중간정도로, 살짝만) 익혀 주세요.
텃 찐(브어 토이).
30. 수프나 샐러드 중 어느 것으로 하시겠습니까?
Anh muốn dùng súp hay xa lát ạ ?
아잉 무온 중 숩 하이 쌀랏 아?
A hay B는 ‘A 아니면 B’라는 문형으로 ‘A냐 B냐?’로 선택의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된다.
31. 마실 것을 드릴까요?
아잉 무온 우옹 지 아?
직역하면 ‘무엇을 마시고 싶습니까?’인데, uống은 ‘마시다’라는 뜻이다.
32. 더 필요하신 거 없으세요?
cần gì는 ‘무엇이 필요한가’이고, thêm nữa는 ‘더’라는 표현이다.
33. 디저트는 무엇으로 하시겠습니까?
Anh muốn dùng món tráng miệng nào ạ ?
아잉 무온 중 몬 짱 미엥 나오 아?
Món tráng miệng은 ‘디저트’를, nào는 ‘어떤’이란 의문사이다.
34. 메뉴를 보여주세요.
쪼 또이 쎔 특 던 버이.
Cho tôi xem은 ‘~보여주세요’이고, thực đơn은 ‘메뉴’이다.
35. 이것은 어떤 종류의 음식입니까?
몬 나이 라 몬 지 아?
직역하면 ‘이 음식은 어떤 음식입니까?’이며, 외국인이 낯선 음식에 대해 물어볼 수 있는 질문이다. Là는 마치 영어의 be 동사 처럼 사용되는 단어로, A là B. 는 ‘A는 B이다’인데, 이 때 B에는 명사가 와야 한다.
36. 이것은 전형적인 한국 음식입니다.
Món này là món ăn truyền thống Hàn Quốc.
몬 나이 라 몬 안 쭈엔 통 한 꾸옥.
truyền thống은 ‘전통’, Hàn Quốc은 ‘한국’이다.
37. 포크를 가져다 드려요?
꼬 껀 중 니아 크옴 아?
Có cần ~ không?의 문형은 ‘~할 필요가 있습니까?’이다. Cái nĩa는 ‘포크’라는 뜻이다.
38. 여기서 드실 건가요 아니면 싸 가지고 가실 건가요?
아잉 중 어 더이 하이 망 베?
베트남에는 아직 패스트 푸드 점이 일반화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있다고 하더라도 싸 가지고 가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업원이 이런 질문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오히려 손님이 싸 달라고 요구하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포장해 주세요’는 Làm ơn gói cho tôi với(람 언 고이 쪼 또이 버이)이다. ở đây는 ‘여기’, mang về는 ‘가져가다’는 뜻이다.
39. 많이 드세요.
씬 머이 중 껌 브이 베.
직역하면 ‘즐겁게 드십시오’이다.
40. 계산서를 주세요.
람 언 쪼 또이 쎔 화 던.
Làm ơn은 상대방에 부탁할 때 쓰는 정중한 표현이고, xem은 ‘보다’, hóa đơn은 ‘영수증’이다. 직역하면 ‘영수증 좀 보여주십시오’이다.
41. 봉사료가 포함됩니다.
꼬 바오 곰 까 띠엔 푹 부.
Bao gồm은 ‘포함하다’, ‘봉사료’는 tiền phục vụ이다.
길안내(Dẫn đường)
42. 지하철역은 어디에 있죠?
가 따우 디엔 응엄 어 더우 아?
장소를 물을 때는 ở đâu(어디?)라는 표현을 쓴다. Ga는 ‘역’을, tàu điện ngầm은 ‘지하철’을 뜻한다.
43. 죽 가세요.
씬 디 탕.
Đi는 ‘가다’, thẳng은 ‘곧 바로’라는 뜻이다.
44. 그 다음에 첫 번째 모퉁이에서 왼쪽으로 가세요.
Sau đó, ở góc đầu tiên rẽ trái.
사우 도, 어 곡 더우 띠엔 제 짜이.
Sau đó는 ‘그 다음에’, góc은 ‘모퉁이’, đầu tiên은 ‘첫번째, 처음’, rẽ는 ‘돌다, 회전하다’, trái는 ‘왼쪽’이라는 뜻이다.
45. 그것은 왼쪽에 있습니다.
까이 도 어 피아 벤 짜이.
Cái đó는 ‘그것’, ở는 ‘있다’, phía는 ‘쪽’을 뜻한다.
46. 그것은 길 아래로 50미터 정도에 있어요.
Cái đó ở dưới đường cách đây khoảng 50 mét.
까이 도 어 즈어이 드엉 까익 더이 쾅 남므어이 멧.
dưới는 ‘아래’, đường은 ‘길’, cách은 ‘간격’, khoảng은 ‘대략’, mét은 ‘미터’라는 뜻이다.
47. 얼마나 멀죠?
꼬 싸 크옴 아?
xa는 거리의 간격을 물어볼 때 사용하는데 ‘먼’이라는 뜻이다.
48. 걸어서 5분 걸립니다.
멋 쾅 남 풋 디 보.
mất은 ‘시간을 허비하다’라는 뜻으로 ‘시간이 걸리다’는 의미이고, phút은 ‘분’을, đi bộ는 ‘걷다’라는 뜻이다.
49. 그 호텔은 경찰서 건너편에 있어요.
Khách sạn ấy ở đối diện với sở công an.
카익 산 어이 어 도이 지엔 버이 써 꽁 안.
Khách sạn는 ‘호텔’, đối diện은 ‘맞은 편’, sở công an은 ‘경찰서’이다.
50. 저랑 함께 가실래요?
Anh đi cùng với tôi được không ạ ?
아잉 디 꿍 버이 또이 드억 크옴 아?
‘함께 가다’는 đi cùng, được không?은 ‘할 수 있습니까?’이다.
51. 당신은 어디로 가시나요?
아잉 딩 디 더우?
동사 앞에 định을 쓰면 ‘동사할 예정이다’라는 뜻이 된다. 직역하면 ‘당신은 어디로 갈 예정입니까?’이다.
52. 지하철로 가시는 게 나을 겁니다.
Anh nên đi bằng tàu điện ngầm.
아잉 넨 디 따우 디엔 응엄.
‘~하는 것이 낫다’라는 표현은 ‘nên + 동사’이다.
택시(Tắc xi)
53. 어디로 가시죠?
아잉 무온 디 더우?
직역하면 ‘어디를 가고 싶은데요?’이다.
54. 울산역까지 갑시다.
쪼 또이 덴 가 울산.
‘~까지 갑시다’는 cho tôi đến ~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55. 시간이 얼마나 걸리죠?
멋 바오 러우 아?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 지를 물을 때는 bao lâu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얼마나 오래 동안’이라는 뜻의 의문사이다.
56. 약 30분 걸려요.
멋 쾅 바 므어이 풋.
위 10번 문장의 숫자 읽는 법을 참고 바람.
57. 그곳까지는 얼마죠?
덴 쪼 어이 쟈 바오 니에우 아?
가격, 요금은 giá, bao nhiêu는 ‘얼마’라는 의문사이다.
58. 제 생각에 대략 5천원 나올 것 같아요.
꼬 레, 쾅 남 응인 원.
Có lẽ는 ‘아마도’라는 뜻이다.
59. 빨리 갑시다.
람 언 디 냐잉 헌.
빠르다(nhanh), làm ơn은 상대방에 대한 정중한 표현이다.
60. 다 왔습니다.
덴 너이 조이.
đến은 ‘도착하자’, nơi는 ‘곳, 장소’를 rồi는 동사의 완료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61. 당신의 요금이 미터기에 나와 있습니다.
Số tiền anh phải trả hiện trên đồng hồ tắc xi.
소 띠엔 아잉 파이 짜 히엔 쩬 동 호 딱 시.
직역하면, ‘당신이 지불해야 할 돈은 택시 미터기에 나와 있습니다’이다. ‘미터기’는 đồng hồ tắc xi 이다.
버스(Xe buýt)
62. 명동에 가려면 어느 버스를 타야 하죠?
Xe buýt đi đến Myeong Dong là xe số mấy ạ?
쎄 부잇 디 덴 명동 라 소 쎄 머이 아?
직역하면, ‘명동 가는 버스는 몇 번 버스입니까?’이다. số는 ‘수’를, mấy는 수를 물을 때 사용하는 의문사로 ‘얼마?’라는 뜻이고 xe buýt은 ‘버스’를 뜻한다.
63. 88번 버스를 타면 됩니다.
아잉 렌 쎄 소 땀 므어이 땀.
‘차를 타다’는 lên xe이다.
64. 건너서 타셔야 하는데요.
렌 쎄 어 벹 끼어 드엉.
đối diện kia는 ‘저 건너 편’이란 뜻이다.
65. 요금을 넣어주세요.
씬 보 띠엔 바오 홈.
bỏ은 ‘던지다’, tiền은 ‘돈’, vào는 ‘들어가다’, hòm은 ‘통’이란 뜻이고, ‘~을 집어넣다’는 ‘bỏ + 목적어 + vào’ 구문을 사용한다.
66. 꼭 잡으세요.
씬 빈 따이 짯.
vịn은 ‘잡다, 쥐다’, tay는 ‘손’, chặt은 ‘꽉’이란 뜻이다.
67. 저는 명동에 갑니다.
또이 디 명동.
‘나는 ~에 간다’는 문형은 ‘tôi đi ~’이다.
68. 그곳에 도착하면 가르쳐 주시겠어요?
Đến chỗ ấy thì xin báo cho tôi với nhé !
뗀 쪼 어이 티 씬 바오 쪼 또이 버이 네!
Báo cho tôi는 ‘내게 알려주세요’이다.
69. 아직 명동이 아닌가요?
번 쯔어 덴 명동 아?
베트남어에서 시간적으로 ‘아직’을 의미하는 단어는 chưa이다. 동사 앞에 쓰이면 그 동사의 행위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à는 문장의 끝에 붙여서 정겨운 느낌의 의문문을 만든다.
70. 여기 내리셔야합니다.
덴 쪼 아잉 파이 수옹 조이.
‘내리다’는 xuống이다.
지하철(Tàu điện ngầm)
71. 잠실까지는 얼마인가요?
Đến ga Jam Sil bao nhiêu tiền ?
덴 가 잠실 바오 니에우 띠엔?
‘얼마 입니까?’는 bao nhiêu tiền이다.
72. 당신은 두 번 갈아타야해요.
아잉 껀 파이 도이 따우 하이 런.
‘열차를 갈아 타다’는 đổi tàu, ‘~번’은 lần이다. 숫자 + lần을 하면 ‘몇 번’이 된다.
73. 방송을 잘 들으세요.
Hãy lắng nghe thông báo trên phóng thanh.
하이 랑 응에 통 바오 쩬 퐁 타잉.
Hãy는 ‘~하시오’라는 권유를 나타내며, lắng nghe는 ‘주의깊게 듣다’라는 뜻이다.
74. 1호선으로 가십시오.
디 테오 드엉 소 못.
‘1호선’은 đường số 1(một)이다.
75. 잠실에 가려면 어디서 갈아타나요?
Đi Jam Sil thì phải đổi tàu ở đâu ạ ?
디 잠실 티 파이 도이 따우 어 더우 아?
76. 서울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세요.
Nên đổi sang đường số hai tại ga Seoul.
넨 도이 상 드엉 소 하이 따이 가 서울.
‘역’은 ga이다.
여관(Tại khách sạn)
77. 오늘밤에 방이 있나요?
또이 나이 꼰 퐁 크옴 아?
‘오늘밤’은 tối nay, ‘방’은 phòng이다.
78. 얼마나 머무실 건가요?
아잉 쎄 어 바오 러우 아.
‘머물다’는 ở lại, ‘얼마 동안’은 bao lâu이다. sẽ는 동사 앞에 사용하며,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79. 3일밤 머물겁니다.
또이 쎄 어 라이 바 뎀.
80. 하룻밤에 5만원입니다.
못 뎀 라 남 므어이 응인 원.
81. 3일밤이면 12만원입니다.
바 뎀 라 못짬 하이쭉 응인 원.
82. 요금은 선불입니다.
Tiền thuê phòng phải trả trước.
띠엔 투에 퐁 파이 짜 쯔억.
‘미리 지불하다’는 trả trước, tiền thuê phòng은 ‘객실요금’이다.
83. 침대 하나에 욕실이 딸려 있어요.
Đây là phòng đơn kèm phòng tắm.
더이 라 퐁 던 껨 퐁 땀.
‘싱글품’은phòng đơn이고, ‘욕실’은 phòng tắm이다.
84. 한 번 구경해보시겠어요?
아잉 무온 쎔 퐁 크옴 아?
‘보다’는 xem이다.
85. 2인용 방입니다.
더이 라 퐁 도이.
‘더블룸’은 phòng đôi이다.
86. 이 방이 맘에 드십니까?
아잉 틱 퐁 나이 크옴 아?
직역하면, ‘이 방을 좋아합니까?’이다.
87. 방안에서는 신발을 벗으세요.
Không nên đi giầy trong phòng.
크옴 넨 디 져이 쫑 퐁.
88. 식사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쭝 또이 크옴 푹 부 안.
Chúng tôi는 ‘우리’, phục vụ는 ‘서비스하다’, ăn은 ‘식사’를 뜻한다.
89. 여기 방 키가 있어요.
찌아 콰 퐁 아잉 더이 아.
Chìa khóa는 ‘열쇠’이다.
질병(Bệnh tật)
90. 무슨 문제가 있나요?
아잉 사오 테?
직역하면 ‘왜 그래요?’이다.
91. 감기에 걸렸어요.
또이 비 깜.
92. 어떻게 복용해야 되나요?
투옥 나이 우옹 테 나오 아.
93. 이 약을 하루에 세 번 식후에 드세요.
Thuốc này uống ngày 3 lần sau bữa ăn.
투옥 나이 우옹 응아이 바 런 사우 브어 안.
분실(Tìm đồ bị mất)
94. 지갑을 분실했어요.
또이 다잉 멋 까이 비.
95. 어디서 잃어버리셨나요?
아잉 다잉 멋 어 더우 아?
96. 지하철에서 그런 것 같아요.
Có lẽ đánh mất ở tàu điện ngầm.
꼬 레 다잉 멋 어 따우 디엔 응엄.
97. 지갑 안에 무엇이 들어있었나요?
쫑 비 꼬 니응 트 지 아?
98. 분실물 센터에 연락해보겠습니다.
Chúng tôi sẽ liên hệ với phòng quản lý đồ thất lạc.
쭝 또이 쎄 리엔 헤 버이 퐁 꽌 리 도 텃 락.
의사소통(Trao đổi)
99. 좀 천천히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Xin anh nói chậm hơn được không ạ ?
씬 아잉 노이 쩜 헌 드억 크옴 아?
100.다시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씬 아잉 냑 라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