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IDEA 인스트럭터 메뉴얼, 도서출판 씨코의 스포츠스쿠버 다이빙-중급편, 다이빙 투데이에 기고된 수중항해법에 대한 글
A. 나침반의 구조와 기능
나침반 내부는 유성 액체로 채워져 있다.
목적 1.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2.자침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해 준다.
3.정확한 수평을 이루지 않더라도 나침반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이빙을 하는 동안에는 나침반과 장비 사이에 물이 있기에 다이빙 장비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매우 가까이에 있는 다이빙칼 이나 쇠붙이에는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에 가까이 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 자침
대 원칙: 자침 끝이 항상 북쪽을 가리킨다.
방위규칙 : 기준이 되는 북쪽을 0도, 남쪽을 180도, 동쪽을 90도, 서쪽을 270도
2. 기준선 [Lubber Line]
나침반 위에 일직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고정된 선으로 다이버의 진행 방향을 표시
나침반을 사용할 때는 가장 먼저 정치(定置)를 해야한다.
☞☞ 자신의 신체 중심선(머리와 발끝을 잇는 가상의 선)과 기준선을 일치시키는 것.
나침반을 정치한 후에 기준선과 자침과의 편차가 자신의 진행각 이 된다.
3. 회전판 [Bezel]
나침반에는 눈금(0~360도의 각) 또는 화살표가 부착된 회전판이 있는데 이것은 다이버의 진행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회전판에는 index-mark(진행각 표시,기억표시 4-①.4-②)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것을 자침에 맞추어 놓으면
몸의 자세가 흐트러 지더라도 진행 방향을 맟추기 쉽다.
회전판은
1.판 위에 방위를 표시하는 숫자가 있는 것 : 자침을 "0" 맟추고(0 에 index-mark가 있음) 기준선과 일치하는 숫자를 읽는다.
2.방위를 표시하는 숫자는 고정되어 있고 링만 회전하는 것 : 자침이 표시하는 숫자를 읽는다.
1.

예) 위 그림에서 다이버의 진행각은?
☞ 300도 : 자침을 0 에 맟추었으므로 기준선과 회전판이
일치하는 숫자(30 = 300)가 진행각이 된다.
2.

예) 위 그림에서 다이버의 진행각은?
☞ 60도 : 위 나침반은 숫자(방위각)는 고정되어 있고 톱니처럼 생긴 링만
회전하는 것이므로 자침이 가리키는 방위각(60)이 진행각이 된다.
4. index-mark [방향기억: 전진,귀환 방위각 표시]
4-① : 진행 방위각을 기억하기 쉽게하기 위한 표시
4-② : 왕복시 되돌아 올 때의 방위각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한 표시
측면 표시창 : 나침반의 측면에 창과 같은 모양으로 구명을 내어 그 창을 통해 쉽게 진행각을 읽을 수 있도록 한 것.
☞ 자침을 0 에 맟추었을때
표시창을 통해 읽은 방위각과 기준선과 일치하는 회전판의 숫자(방위각)는 동일하다.
5. 나침반 사용법
다이빙을 시작하기전 다이버는 미리 육상에서 목표지점들의 방향을 알아두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동쪽에는 섬이 있고
그 섬은 한개의 섬이 아니고 두개의 섬으로 되어 있고, 남쪽에는 보트가 있다."등등
다이빙을 시작하면서 바로 나침반을 사용해야 하며 그 사용은 나침반의 정치로부터 시작한다.
* 나침반의 정치 : 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약 45도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나침반을 내려다 볼 수 있도록 나침반의 위치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①비치 다이빙 : 해변에서 목표지점을 향하여
②보트 다이빙, 목표물이 없는 해변에서 입수 : 수중에서 한다.(보트 위에서 해야 하는경우도 있음)
1) 손목형 나침반의 정치 : 나침반을 착용한 손으로 다른 팔의 손목을 잡고 몸의 중심선과 나침반의 기준선이 일직선이
되게 한다. 이때 나침반이 눈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2) 콘솔형 나침반의 정치 : 몸통 앞에서 나침반을 잡고 몸을 기준선과 일치시킨다.
* 나침반을 정치시킨 후에는 진행방향을 잡고 다이빙을 시작한다. 진행각 : 기준선과 자침의 편차각
이 때 회전판을 돌려서 자침과 index-mark가 일치 하도록 맟춘 다음 진행하면서 계획된 진행각에서
어긋나지 않았는지를 이따금 점검한다.
* 진행해 나갈 때는 나침반만 계속 내려다 보며 가는 것이 아니라, 나침반 방향으로 시야가 허용되는 한 진행방향
정면에 멀리 있는 목표물을 정해 그것을 보고 나아가야 하고 그 곳에 도달하면 다시 나침반의 진행각을 보고
진행방향 중 가장 멀리 보이는 고정된 물체를 정하는 방법을 반복한다.
* 육상에서 연습한 것이 수중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육상에서도 연습을 충분히 해야한다.
* 나침반의 관리 : 사용 후 모래나 먼지,소금 등을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건조시킨 다음 움직이는 부분은 실리콘기름 등을
발라 두어야 한다. 그리고 나침반은 충격에 약하므로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주지 않도록 유의하며 운반
중에는 무거운 것에 눌리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한 오랫동안 뜨거운 햇빛과 열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B. 수중항법 연습 : 육상 연습
나침반의 사용법은 의외로 간단하지만 육상에서 충분한 훈련 없이 수중에서 사용하다보면 많은 혼동이 올 수 있으므로
육상에서 충분히 연습을 해두어야 한다.
* 수중에서 나침반의 방향이 자기가 생각한 방향과 틀린다라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하지만 나침반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고, 나침반 카드가 원활하게 돌아가고 있는 정상작동 중일 때는 나침반이 지시한는 곳이
올바르다는 것을 믿어야 한다.
1. 목표물이 있는 경우 ( 직선왕복 )
1) 나침반 정치
2) 진행각 설정
① 기준선이 목표물과 일치하도록 한다.
② 회전판을 돌려 자침 끝(뾰쪽한 부분)이 Index-mark(▼▼) 안에 있도록 해서 진행각을 확인한다.

③ 나침반을 보면서 이동한다. 이 때 자침이 Index-mark(▼▼) 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한다.
④ 돌아가기 위해 몸을 180도 회전한다. 회전판은 그대로 두고 몸을 돌려 Index-mark(▼▼) 에 있는
자침의 다른 쪽 끝이 Index-mark(▼▼) 에 일치하도록 해서 진행한다. 다른 방법은 Index-mark(▼▼) 를 움직여
이 속에 자침을 두고 진행해도된다. 출발점의 반경 1M 정도의 원 안에 도착하게 되면 거의 완벽한 것이 된다.


2. 방위만 알고 있는 경우 ( 진행각 120도 )
1) 나침반 정치
2) 진행각 설정
① 회전판을 돌려 진행각(120도)에 기준선을 맞춘다. 링만 회전하는 나침반은 Index-mark(▼▼) 를 120도에 맞춘다.
② 이 상태에서 몸을 회전시켜 나침반의 자침끝과 Index-mark(▼▼) 가 일치하는 방향을 찾아 진행한다.
③ 돌아가기는 윗 글 1-2)-④ 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3. 사각형 이동
직선 이동에 90도의 침로 변경을 응용하는 방식으로 일정 지점에서 진행각에 ±90도씩 침로 변경을 3회 실시해서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이동 방식이다.
진행각에 90도씩 증가시키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90도씩 감소시키면 왼쪽으로 이동하게된다.
1) 나침반 정치
2) 진행각 설정 (0도, 오른쪽으로 이동)

3) 어느 정도 진행한 다음 회전판을 돌려 진행각을 90도로(회전판의 방위표시 90도와 기준선이 일치하도록 한다.)해서
Index-mark(▼▼) 와 자침이 맞도록 몸을 회전한다. 이 상태로 어느 정도 진행해서 180도로 변침해서 진행하고, 그 다음에
270도로 변침해서 진행하면 출발점으로 돌아오게된다.






4. 삼각형 이동
정삼각형은 60도 이다와 같은 수학적 생각은 버리고 진행각에 대하여 몇 도의 각도로 변침하면 되는가를 생각해야된다.
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진행각에다 120도씩 변침해야 한다. 삼각형 이동 방식은 정삼각형만 사용되기 때문에
각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해야한다.
1) 나침반 정치
2) 진행각 설정 (0도=360도 에서 120도 왼쪽으로 이동)
3) 출발점에서 120도 좌로 미끄러진 방향각 240도(360-120=240)로 일정 거리를 진행한 후에 120도 변침, 동일한 거리를
진행한 후에 0도로 맞추어 진행하면 출발점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 경우는 진행각을 120도씩 감소했으므로 좌회전이
되는데 120→240→360으로 변침하면 우회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