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αι |
ει (spurious) |
ει (genuine) |
οι |
|
α |
α/ |
α |
α/ |
ω/ |
|
ε |
η/ |
ει |
ει |
οι |
|
η |
η/ |
η |
η/ |
ω/ |
|
ο |
ω/ |
ου |
οι |
οι |
|
ω |
ω/ |
ω |
ω/ |
ω/ |
|
|
αυ |
ευ |
ηυ |
ου (spurious) |
ου (genuine) |
α |
αυ |
αυ |
αυ |
ω |
ωυ |
ε |
ηυ |
ευ |
ηυ |
ου |
ου |
η |
ηυ |
ηυ |
ηυ |
ω |
ωυ |
ο |
ωυ |
ου |
ωυ |
ου |
ου |
ω |
ωυ |
ωυ |
ωυ |
ω |
ωυ |
|
υι |
|
α/ |
η/ |
ω/ |
α |
αυ |
|
α/ |
α/ |
ω/ |
ε |
ευ |
|
η/ |
η/ |
ω/ |
η |
ηυ |
|
η/ |
η/ |
ω/ |
ο |
ου |
|
ω/ |
οι |
ω/ |
ω |
ωυ |
|
ω/ |
ω/ |
ω/ |
2.13a 단모음+이중모음(단모음과 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모음이 그 단모음과 똑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이 뒤따라올 때, 두개의 같은 모음들이 하나로 결합된다.
만일 이중모음에서 두 번째 모음이 υ이면, 그것은 남는다(새롭게 형성되는 이중모음의 두번째 모음이 υ 아닌 경우에는, 윕실론인 경우에는 두개의 윕실론이 하나로 단순화된다.). 만일 이중모음에서 두 번째 모음이 이오타라면, 그것은 새롭게 형성되는 이중모음 아래에 하기된다.
α + αυ > αυ
α + αι > α//
2.13b 단모음+이중모음(단모음과는 다른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모음이 그 단모음과는 다른 모음으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이 뒤따라올 때, 그 단모음과 이중모음 중에서 첫 번째 모음이 규칙변화를 따라서 축약한다. 그리고 그 축약의 결과 이중모음의 두 번째 모음과도 축약을 할 것이다(역행동화, 2.2).
만일 이중모음에서 두 번째 모음이 υ이면, υ은 남는다(새롭게 형성되는 이중모음의 두 번째 모음이 윕실론이 아닌 경우에는, 두 번째 모음이 윕실론인 경우에는 두개의 윕실론이 하나로 단순화된다). 만일 이중모음에서 두 번째 모음이 ι라면, 이 이오타는 새롭게 형성되는 이중모음 아래에 하기된다.
ο + ου > ουυ > ου
α + αι > αι > α/
예외가 있다.
ε + οι > οι
ο + εi > οι πληροεις > πληροι'ς
ο + η/ > οι φανερο + η// > φανεροι'
2.13c ει 또는 ου가 spurious(2.14)일 때, 그 이중모음은 단모음 ε 또는 ο와 같이 간주된다(즉 이중모음의 마지막 모음이 탈락된다).
α + ει > ai > a
ε + ει > ειι > ει
η + ει > ηι > η
ο + ει > ουι > ου
α + ου > ωυ > ω
ε + ου > ουυ > ου
ο + ου > ουυ > ου
2.14 ει와 ου는 이것들이 축약의 결과로(예를 들면, εε εο οε οο) 또는 보상으로 장음화로서 형성될 때 "spurious 또는 apparent 이중모음"이라 불려진다(3.5). 그리고 이것들이 ε+ι 와 ο+υ의 결합으로 형성될 때는 "genuine 이중모음"이라 불려진다.
이것이 어떻게 축약에 영향을 주는가를 위해서는 2.13c를 보라. 신약성경은 항상 이 구분을 따르지 않는다.
2.15 이중모음화는 두개의 독립된 모음들이 이중모음을 형성하는 때이다(다시 말해서, 이중모음화는 두개의 구별된 소리가 하나로 섞여질 때이다.)
2.16 단모음화는 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축소될 때이다(다시 말해서, 이중모음의 긴 소리가 하나의 소리로 축소될 때이다.
2.18 이오타 하기는 신약성경 시대 이전에 많은 해 동안에 일어났던 희랍 언어에서 변화의 결과이다. 이중모음 αι ηι ωι에서, 희랍어들은 그 이오타를 발음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이오타는 글에서 탈락시키지 않는다. 이런 모음들이 소문자로 쓰여질 때 그 모음들 α η ω 아래에 하기한다(α/ η/ ω/). 이런 모음들이 대문자로 쓰여졌을 때는, 옆에 병기한다(Ai Hi Wi). 이것을 이오타 하기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