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PS 실온 대기압 포 화 측정시의 기체상태(검사실 등)
BTPS 37° 대기압 포 화 폐기량(폐내에 있는 가스량)
STPD 0℃ 1 기압 건 조 산소 소비량, 탄산가스 배출량 등
2. 폐기능 검사의 종류
. 환기 기능 검사
1회 환기량, 예비흡기량, 예비호기량, 잔기량, 기능적 잔기량, 폐활
량, 총폐기량, 노력성 환기량, 시간폐활량(1초량), 1초율, 공기흡입지
수(ATI), 최대호기 중간유량, 최대환기량, 환기예비량(환기예비율),
폐탄력성, 기도저항 등
. 폐포 기능 검사
Closing volume (폐쇄용적), 폐내가스 분포측정(헬륨평형시간 등),
폐확산 능력
. 폐순환 기능 검사
폐동맥압,폐순환시간,폐순환 혈액량,폐순환계 혈액가스 분석, 심전도
3. 폐기량 분획
. 표준 기준 위치 : 호흡의 깊이를 나타내는 위치
안정 호기 위치 (기준위치, 기본위치, 기능적 잔기량의 위치)
안정 흡기 위치
최대 흡기 위치
최대 호기위치
. 폐용적과 폐용량
1회 환기량 : 안정호흡을 할 때의 1회 호흡량
안정호기 위치와 안정흡기 위치의 사이의 양 : 약 500㎖
예비 흡기량 : 안정흡기 위치에서 계속 가능한한 흡입하여 최
대호기 위치까지의 양
예비 호기량 : 안정호기 위치에서 계속 가능한한 호출하여 최
대호기 위치까지의 양
잔기량 : 최대호출 상태에서 기도 및 폐 내에 남아있는 공기량
최대 흡기량 : 안정호기 위치에서 최대흡기 위치까지의 공기량
1회 환기량 + 예비 흡기량
기능적 잔기량 : 안정호기 위치에서 기도 및 폐 내에 남아있
는 공기량
예비 호기량 + 잔기량
폐활량 : 최대흡기 위치에서 최대호기 위치까지의 공기량
1회 환기량 + 예비 흡기량 + 예비 호기량
호기폐활량 ; 최대흡기에서 서서히 가급적 많이 호출시켰을 때
의 폐활량
흡기폐활량 ; 최대호기에서 서서히 가급적 많이 흡입시켰을 때
의 폐활량
2단폐활량 ; 최대흡기량과 예비호기량을 별도로 측정하여 가산
한 폐활량
노력성(호기)폐활량 ; 최대흡기에서 가급적 신속하게 호출시켰
을 때의 폐활량
노력성(흡기)폐활량 ; 최대호기에서 가급적 신속하게 흡입시켰
을 때의 폐활량
총 폐기량 : 최대흡기 위치에서 기도 및 폐 내에 흡입된 모든
공기량
예비흡기량 + 1회 환기량 + 예비호기량 + 잔기량
총 폐 최 대 예 비 최대 흡기 위치
흡기량
폐 활 흡기량
1회 환기량 안정 흡기 위치
기 량 기능적 예 비 안정 호기 위치
호기량
량 잔기량
잔기량 최대 호기 위치
4. Spirometer ( Benedict - Roth 형 spirometer )
. 종류 (Bell의 용적에 따라) : 9L형, 13.5L형
. 기록속도
저속도 (32mm/min) : 각종 폐기량 분획 측정
중속도 (160mm/min) : 최대 환기량 측정
고속도 (32mm/sec) : 노력성 호기곡선 (노력성 폐활량, 1초량)
. 펜
Spirograph pen : 폐기량 분획 측정
Ventilograph pen(흡기 가산펜) : 최대 환기량 측정
# Ventilograph pen의 축소율 : 9L형 (1/25), 13.5L형
(1/11)
. 기타
Soda lime (CO₂흡수제) : Spirometry에는 사용하지 않음
: 산소 소비량 측정에 사용 (기초대사량)
Spirometry는 잔기량 측정 불가
Spirigram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기록
연령, 성별, 체중, 신장에 따라 차이 있음
# 환기장애 pattern
% 폐활량 80% 이상, 1초율 70% 이상 : 정상환기
% 폐활량 80% 이상, 1초율 70% 이하 : 폐쇄성 환기장애(obstructive
defect) ( 폐기종, 만성기관지
염, 기관지천식, 기도협착)
% 폐활량 80% 이하, 1초율 70% 이상 : 구속성 환기장( restrictive
defec ( 폐섬유증, 폐울혈, 폐
염, 흉막염 )
% 폐활량 80% 이하, 1초율 70% 이하 : 혼합성 환기장애
. 공기흡입 ( ATI : air trapping index ) : 호출운동에 시간적
요소를 더한 강제
호출검사
ATI = 폐활량 - 노력성 폐활량 / 폐활량 × 100
정상치 : 5%이하
. 최대 환기량 (분시환기량, MVV) : 자발적 노력에 의해 1분간 호
흡하여 얻는 최대량
% MVV = 실측 최대환기량 / 예측 최대환기량 × 100
정상치 : 80% 이상
환기예비율 : 횐기의 예비능력 지표 (정상치 : 85 ∼ 95%)
. 잔기율
잔기율 = 잔기량 / 총 폐기량 × 100
정상치 : 20∼30% (노령 , 만성폐쇄성 폐질환시 상승)
. 최대 호기속도 기량곡선 (Flow volume curve 곡선)
종축에 공기속도, 횡측에 공기량을 취해 노력성 호출을 시킴
폐쇄성 질환 : 아래로 볼록한 곡선
구속성 질환 : 호출기량의 감소
. 기능적 잔기량, 잔기량
Spirometry로 검사 불가
검사법 : He를 지시가스로 하는 폐쇄회로법
: N₂를 지시가스로 하는 O₂개방회로법
: Body plethysmograph(체적기록법)
. 기도저항
환기와 함께 기관이나 기관지 등의 기도를 흐르는 기류의 마찰 저항
기도의 굵기, 두께, 폭과 관계있음 (굵기는 반비례)
호흡저항과 점성저항의 일부
Body plethysmograph로 측정
폐쇄성 환기장애 검사에 유용
호흡저항의 인피던스 = 가주파 진동법에 의하여 측정
6. 폐포기능검사
. Closing volume (CV: 폐쇄용적)
최대호기 위치에서 100% 산소를 흡입시킨 후 서서히 호출시키면서 N₂
농도를 측정 (resident gas method, 1회 호흡법)
; 산소에 의한 질소 검출 곡선 (단일 N₂호출 곡선)의 제Ⅳ상
최대호기 위치에서 흡입초기에 지시가스 (Xe, He 등)을 흡입시
킨 후 그 농도 측정 (Bolus method)
폐내 가스 분포 기능 검사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
말초 기도병변에 이용
. 폐 확산능 검사
측정법 : 1회 호흡법, 항상 상태법, 재호흡법
1회 호흡법 (CO에 의한 폐확산능 검사 : DLco)
혼합가스 사용 : CO + He + O₂ + N₂ (0.3 + 10 + 20 + 70 %)
단위 : ml/min/mmHg
DL : 폐표공기와 혈액중의 분합차가 1torr일 때 (ml/min/torr)
폐표 표면적 및 두께에 반비례
# 호흡곤란→환기능력 정상, DLCO은 하락 => . Alveolar capillary
block
(A-C block 증후군)
. 비만성 섬유증
CO₂확산능력 = O₂의 약 20배
* 추 *
흡식운동(능동적): 횡경막 수축, 외늑간근 수축, 지질단백의 일종인
Surfactant의 역할에 의하여
호식운동 (수동적) : 횡경막, 외늑간근 이완, 복부근육의 긴장으로
원 상태로 돌아가려는 현상
폐의 구조
. 좌폐 : 상하 2엽 . 우폐 : 상중하 3엽
. 사강(Nead space) : 16분지의 종말세기관까지 (가스통로)
. 기관지 벽 : 연골
. 세기관지 벽 : 얇은 근육(연골 없음)
가스통로 교환의 양기능(주 ; 가스교환)
폐포의 가스교환 : 폐 모세혈관의 확산에 의하여
호흡중추 : 연수호흡중추
지속성 호흡중추 : 강직성 흡식
호흡조절 중추 : 미주신경이 관여 무기적 흡식
호흡의 화학적 조절 : CO₂의 증가 → 환기량 증가
PH. acidosis → (증대) Alkalosis → (감소)
O₂
검사에 사용되는 기호
. 1차 : 큰 대문자
. 2차 : 기체 (작은 대문자) 액체 (작은 서문자)
공기 속도 지수 ( A. V. I.) : MVV % / VC %
환기 예비율 : MVV - MV / MVV % (정상 85 ∼ 95 %)
. 폐의 탄력성 저하 (폐기종 등) : FRC 증가 (폐가 늘어남)
. 폐조직의 경화 (폐섬유증) : FRC 감소
. 환기능 : 구속성 장애(Restrictive) ; 폐섬유,폐울혈
V.C 80%이하, FEV 1.0 70%이상
: 폐쇄성 장애(Obstructive) ; 폐기종, 기관지염
V.C 80%이상, FEV 1.0 70%이하
환기 역학의 3요소 : 압력, 기류속도, 환기량
압력과 환기 : compliance ( 탄성 )
압력과 기류속도 : 저항을 나타내며 점성을 나타냄
C.R(시정수) : compliance (C)와 저항(R) = (C×R)²
시정수가 큰 폐포 : 느리게 흡입해야 많이 들이마심
기도는 굵기에 반비례
폐확산 능력
. DL : 1분간에 폐포막을 통과하며 확산한 가스량
폐포 공기와 혈액중의 분압차
: 폐포면적에 비례 폐포두께에 반비례
. DLCO : 1분간에 폐모세관막을 통과한 CO₂ml/min
평균 폐포공기 CO 분압 mmHg
: 저하 - 간질성 폐염, 폐섬유증과 같이 폐포모세관이 두
꺼워진 경우
폐기종과 같이 폐포면적이 감소
빈혈처럼 Hb이 저하된 경우
폐포 기능
. 가스와 공기와의 가스 교환 : 폐내가스분포에 의해서 이루어짐
. 폐포기와 혈액간의 가스 교환 : 폐확산 능력에 의해서 이루어짐
B. G. A.(혈중 가스 분석)
. Hb 1g : O₂ 1.34ml와 결합
. Hb O₂: O₂= O₂용량(O₂capacity)
. 혈액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 O₂감소, CO₂증가, PH감소
. PH 전극 : 표준 완충액 ; 37℃ → 7,383 6,841 완충액
PH를 유지하여 주는 조절 ; 물리화학적인 완충작용
생리화학적인 조절작용
P O₂전극 : Planography 원리에 근거한 clark형 전극을 개량
O₂분압 = 100 torr
P CO₂전극 : Severinghaus 형 전극
CO₂ 4% 및 8%
분압 : 40 ± 5 torr
Hb O₂해리곡선
. 혈액가스의 영향 : 마취, 체온, PH(농도가 상승하면 저하)
. 혈액 완충작용 : 탄산계, 혈중단백, 헤모글로빈(PH) 가장 중요
. Standard Bicarborate(S.B) : 37℃ PH 7.40 P CO₂40 torr 일
때 혈장
중에 HCO₃ 감소
. 호흡성 산독증 : ( Resp. acidosis ) : PH 저하 HCO₃ 증가
. 호흡성 알카리증 : (Resp. akalosis ) : PH 증가 HCO₃ 감소
.대사성 산독증 : ( Resp. acidosis ) : PH 감소 HCO₃ 감소
. 대사성 알카리증 : (Resp. akalosis ) : PH 증가 HCO₃ 증가
. 검사전날은 과로를 피하고 밤 10시 전에 취침하도록 한다
. 검사전날의 저녁 식사는 오후 5∼7시에 보통 식사와 같게 한다(식
후12∼14시간 후)
. 약물은 검사 수 일 전부터 복용을 금한다
. 검사당일 아침은 절대 공복 상태에서 담배나 커피는 금한다
. 검사전에는 적어도 30분 이상 침대에 누워 안정을 취한다
. 검사실의 온도 : 20 ∼ 25℃
* 추 *
방법 : 직접측정, 간접측정 (O₂소비량이 많이 사용)
폐쇄회로 : 유수식 (Benedict - Roth)
무수식 (Sanborn) → 표준방법
온당량 : 연소에 의해 산소 / L 를 소비 ( 1L = 4,825kcal )
산소 사용 : 무수식, 유수식 산소 호흡법이 높게 나타남
공기 사용 : Douglas B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