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iSH는 Macromedia Flash와 같은 파일 포맷으로 export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특징 SWiSH는 적은 시간으로 여러분의 웹 사이트에 필요한 cool flash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SWiSH는 빠르고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는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사운드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는 150 가지 이상의 내장된 effects를 포함합니다. *텍스트와 로고 애니메이션 *Rollover 버튼 *인트로 무비 *검색 바 *상호 작용하는 프리젠테이션 SWiSH는 Macromedia Flash™에 의해 사용된 같은 SWF 포맷을 export 하여, 97% 이상의 웹 surfers가 plug-in을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여러분의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User Interface SWiSH user interface는 개개인의 선호도에 맞추어 customization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툴바를 바꾸고, 패널을 재정렬하고, 주요키를 편집하며, 메뉴에 command를 더할 수 있습니다. SWiSH user interface의 주요한 기능들:
Layout Panel은 SWISH movie를 구성하는 객체를 정렬하는 workspace 입니다.
Timeline Panel은 항상 SWiSH movie의 시각적인 표현입니다. 그리고, Layout Panel의 객체에 애니메이트된 효과를 추가하고, 효과가 시작되고 끝날 때를 지정하기 위해, timeline를 사용합니다.
Outline Panel은 모든 화면과 객체, 객체 그룹을 포함하여, movie 전체에 대한 tree view 입니다.
Drawing Tools은 여러분이 선, 사각형, 타원, Bezier 곡선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생생한 편집은 플레이 하는 동안 SWiSH movie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effect settings편집, 텍스트 바꿈, 객체 삽입 & 삭제를 할 수 있고, 동시에 결과물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바꾸기 위해 movie를 멈출 필요가 없습니다.
Frame 미리보기 모드는 여러분이 movie frame-by-frame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시각적으로 keyframes의 객체를 회전하고, 위치를 바꾸며,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Color Picker는 수백가지의 안정된 웹 칼라, RGB hex 디스플레이, 투명 색을 만들기 위한 알파 값을 포함합니다.
여러분은 객체에 Grids와 Rul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 What's new in SWiSH v2 SWiSH v2는 버튼, 스트라이프, 드로잉 툴, 모션 paths, WYSIWYG display, "live" editing, 다중 선택, 그룹화를 포함하여 수백가지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Button 객체는 rollover 버튼을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각각의 버튼은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up, down, over 그리고, 버튼 객체의 경계를 지정하는 특별한 'hit' 상태 *새로운 Sprite 객체는 여러분이 movie 안에 self-contained movies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Sprites는 SWiSH movie 안에 언제든지 넣을 수 있습니다. *SWiSH는 다중 선택과 groupping을 지원합니다. 여러분은 그룹에서 선택을 바꿀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Illustrator, FreeHand, Corel Draw와 같은 대중적인 드로잉 툴에서 벡터 artwork를 import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드로잉 툴은 여러분 자신의 vector artwork를 그리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선, 사각형, 타원, Beizer 곡선을 생성하는 툴이 있습니다. *SWiSH v2는 SFX 파일이라 불리우는 150 가지 이상의 ready-to-use effect presets을 포함합니다. 특정한 효과에 다양한 settings을 명명할 수 있습니다. *SWiSH는 디스플레이는 100 % WYSIWYG 입니다;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여 모든 객체를 디스플레이 합니다. *Frame 미리보기 모드는 여러분이 movie frame-by-frame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시각적으로 키프레임의 객체를 회전하고, 위치를 바꾸며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Live Editing은 진행하는 동안 SWiSH movie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SWF 최적화 기술은 더 효율적으로 폰트와 형태를 재사용하여 export 된 SWF 파일의 크기를 최소화 합니다. *Fade in/out (점점 어둡거나 밝게), fade left to right와 같은 새로운 Audio controls *Sprites로써 GIF와 SWF 애니메이션을 import 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생산에 사용하기 위해 SWiSH movies를 AVI로 export 할 수 있습니다.
메뉴구성 1. 메뉴(Menu) : 스위시의 기본 메뉴
2. 타임라인(Timeline)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애니메이션의 속도와 내용을 조절
3. 장면(Outline) : 각각의 장면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한다.
4. 도구상자(Toolbox) : 기본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고 애니메이션도 가능한 도구상자
5. 화면의 크기 표시
6. 속성탭 : 각종 컨트롤에 관한 속성을 지정할 수 있음 1) Movie : 화면의 가로X세로의 크기와 프레임의 각종 정보 선택
2) Scene : 왼쪽에서 장면을 선택하면 오른쪽의 속성탭에 장면에 대한 설정을 하는 메뉴 나타남
3) Transform : 객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가로좌표, 세로좌표 및 각종 정보를 설정하는 메뉴
4) Action : 실제로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
5) Text : 텍스트를 입력하는 창
6) Buton : 버튼을 삽입했을 때 버튼에 대한 속성을 지정하는 창
7) Shape : 그림이나 도형의 모양에 대한 속성을 지정하는 창
|
이 과는 처음으로 스위쉬 무비(Swish Movie)를 만들어보는 사람들을 위하여, 그 과정을 철저하게 따라하기할 수 있게 단계적으로 설명한 강좌이다. 이 따라하기(Tutorial)의 최종 결과는 "first.swi"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다. 메뉴에 있는 [예제 ;Samples] 메뉴를 확인해 보자. 강좌를 편집하고 보니 아무래도 너무 빡빡하다. 화면보다는 출력해서 따라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 1.스위쉬를 실행한다. 2.메뉴에 있는 [수정] > [글자 삽입;Insert text] 혹은 툴바의 버튼을 클릭한다. - 미리보기 창의 한 가운데에 "Text"라는 단어가 나타나면서 메인 윈도우에 [Text]탭이 생길 것이다. 3.미리보기 창(제목 표시줄에 '편집중 - Untitled'로 표시되는) 창에 있는 단어 "Text"를 클릭해서, 미리보기 창의 오른쪽 끝으로 드래그 한다. - 다음에 효과를 준 다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이다. 4.주 편집창(Main Window)에 있는 [Text] 탭을 선택하자. 그런 다음 문서 편집기에 있는 단어 "Text"를 "squeeze"로 바꾸어 주자. 5.글자의 크기를 28포인트로 바꾸어 주고, [B]버튼을 눌러 글자가 굵은 글자가 되도록 하자. 이제까지 잘 따라 했다면, 미리보기 창은 아래 처럼 보일 것이다.
6.이번에는 [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하여, 타임라인의 왼쪽에 있는 레이어(Layer) 이름 squeeze를 클릭하자. - 레이어(Layer) 이름을 클릭하는 대신, 미리보기 창의 단어 "squeeze"를 클릭하거나, 주 작업창(Main Window) 왼쪽에 있는 장면 리스트(Scene List)의 squeeze를 클릭해도 된다. 7.[타임라인] 윈도우(Timeline Window) 탭을 클릭하고 [Add Effect] 버튼을 찾아 눌러준 다음, 스퀴즈(Squeeze)를 선택하자. 8.[Squeeze Effect] 대화상자가 보일 것이다. 아래 쪽에 있는 Alignment에서 '왼쪽에서 스퀴즈(Squeeze to Left)' 를 선택한 다음, [확인;OK]를 클릭한다. 타임라인(Timeline)이 아래와 같이 보일 것이다.
9.툴바(Toolbar)에서 무비 재생(Play :
- 멈추지 않으면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없다. 10.타임라인의 오른쪽, 레이어 안에 있는 Squeeze Effect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다. 그러면 콘텍트 메뉴(Context Menu)가 나타날 것이다. 여기에서 [등록정보 ; Properties...]를 선택하자. - 오른쪽 클릭 대신 더블 클릭해도 된다. 11.[Squeeze Effect] 대화상자가 보이면, 아래쪽에 있는 [정렬 : Alignment]에서 [중앙에서 스퀴즈 : Squeeze to Center]를 선택하고, [Preview] 버튼을 눌러 보라. 12.단어 "squeeze"가 가운데로 스퀴즈되는 것이 보일 것이다. 대화상자에 있는 [Stop] 버튼을 누르면 재생이 멈춘다. - Prewiew 버튼을 누르면 Stop 버튼으로 바뀌고, 다시 Stop 버튼을 누르면 Preview 버튼으로 바뀐다. 이번에는 [오른쪽에서 스퀴즈 : Squeeze to Right]를 선택하자. 그리고 [확인 ; OK] 버튼을 눌러보자. 13.재생 버튼 을 눌러보자. 이번에는 오른쪽으로 스퀴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다 보았으면 정지 버튼을 누른다. 14.단어를 추가하기 위하여 [수정 > 글자 삽입 : Insert Text] 혹은 텍스트 입력 버튼(
- 이번에도 "Text"라는 단어가 미리보기 창의 한 가운데에 나타날 것이다. 15.[Text] 탭을 선택하여, 단어 "type text" 를 입력하자. 이번에는 "type"과 "text"를 두 줄로 나누어 입력하자. 16.글꼴선택 펼침메뉴
- 여기서는 Courier New 폰트를 선택한다. 17.미리보기 창에서 단어 "type text"를 클릭하여, 왼쪽 끝으로 드래그하자.
18.다시 [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하여, type text 레이어의 0번 프레임을 클릭하자. - 스위쉬에서 문자를 입력하면, 그 문자가가 곧 바로 레이어의 이름이 된다. 19.[Add Effect] 버튼을 눌러준 다음, [타자체 : Typewriter] 효과를 선택하자. - 중간 분리선 아래 3 번째 줄에 있다. 20.그러면 [타자체 효과 : Typewriter Effect] 대화상자가 보일 것이다. [플래시 커서 ... 시작선에서 Times ; Flash cursor ... times at start of line]에 0을 입력하고, [플래시 커서 ... 종료선에서 Times ; Flash cursor ... times at end of line]에도 0을 입력하자. - 각각 3번째와 4번째 줄에 있다. 다했다면 OK 버튼을 눌러 주자. 타임라인(Timeline)이 아래처럼 보이는가?
21.재생 버튼을 눌러보자. 단어 "type text"가 미리보기 창에서 한 자씩 타이핑되는 것이 보일 것이다. 그러면서 단어 "squeeze"도 동시에 오른쪽으로 스퀴즈되는 것이 보일 것이다. - 다 보았으면 툴바(Toolbar)에 있는 정지 버튼을 누른다. 22.타임라인(Timeline)의 오른쪽 레이어에서 Squeeze 효과를 클릭하여 오른쪽으로 드래그 하자. Typewriter 효과의 끝 부분에 오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Typewriter 효과가 끝난 다음에 Squeeze 효과가 시작될 것이다. - 아래 그림을 참조하라.
23.재생 버튼을 다시 눌러보자. 이번에는 "type text"가 먼저 타이핑 되고, 그 다음에 "squeeze"가 오른쪽으로 스퀴즈되는 것이 보일 것이다. - 다 보았으면 툴바(Toolbar)의 정지 버튼을 누른다. 24.타임라인(Timeline)의 레이어(Layer) 안에 있는 Squeeze 효과의 오른쪽 끝으로 마우스 커서를 옮겨 보자. 그러면 마우스 커서가 Resize 커서
그렇다면 왼쪽으로 드래그(Drag) 하자. 그래서 25번 프레임 직전까지 줄여 보도록 하자. 25번 프레임은 회색으로 보일 것이다. 25.다시 한번 더 재생 버튼을 눌러 보자. - 스퀴즈 애니메이션의 속도가 전보다 좀 더 빨라졌을 것이다. 이렇게 효과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에니메이션의 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이것은 플래시와 같은 원리다). 26.자 이제 저장하기(Save Movie 버튼
[Save Swish Movie] 대화상자가 보이면, 파일 이름으로 "first"를 입력하자. 그리고 저장 버튼(Button)을 누르자. 확장명은 .swi이다. - 확장명은 자동으로 첨가되므로 구태여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27.툴바(Toolbar)에서 [브라우저에서 테스트 ; Test in Browser
- 이 버튼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웹 브라우저 안에서 방금 만든 무비가 실행되도록 해준다. 28.이제 웹 브라우저를 닫고, [파일 ; File] 메뉴에서 [발표... ; Publish...]를 선택하자. [Publish Swish Movie]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파일의 이름은 "first.html"으로 입력되어 있을 것이다. 물론 파일 이름을 바꾸는 것은 여러분의 마음이다. 무비가 저장될 폴더를 선택한 뒤 저장 버튼을 누른다. start.html 과 start.swf 라는 이름으로 두 개의 파일이 폴더에 만들어질 것이다. 이 두 개의 파일을 FTP 등을 이용하여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해 두면 된다. 이렇게 하면 스위시만으로도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미리보기 창이 아래처럼 보이는가? 그렇다면 성공적으로 따라온 것이다. |
File
New : 새로운 무비 작업 Open : swi 파일을 불러 오기 Save : 작업중인 swish 무비를 저장 Save As : swish 무비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New Window : 새로운 Movie Samples : Swish의 예제 file Import : 그림이나 음악 등의 file을 불러오기 Export : 작업한 swish 무비를 플래시 무비 파일인 SWF로 저장(플래시에서 불러 들이거나 자신의 html에 넣을 때 사용) Test : 웹 브라우저로 미리 Test Close : File 닫기 Exit : 종료
※swish 파일 저장하기 Swish 파일을 저장하면 swi 파일이 생긴다. 단,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swi파일로 저장해야 한다. (1) File - Save 선택
2) 저장할 위치(I)를 선택한다. (3) 파일 이름(N) 옆에 파일명을 준다. (4) 저장(S) 버튼을 누른다. ※Swish 파일을 Flash 파일로 보내기 (1) File - Expert -SWF 선택 (2) 저장할 위치와 파일 이름 입력
(3) Falsh 에서 스위시 파일을 사용하기 - 플래시를 실행 - Window - Library 선택(라이브러리 화면이 나타남) - Insert - New Symbol (심볼로 등록해야 크기와 이동이 자유로움) Name : swish (심볼의 이름) Behavior : Movie Clip (애니메이션 심볼 선택) - File - Import (swf 파일 선택)
Edit
Undo : 실행 취소 Redo : 재실행 Cut Object : Object 오려두기 Copy Object : object 복사 Paste : 붙여넣기 Delete Object : Object 삭제 Make Instance : Instance를 만듦 Show : 하나의 보이지 않는 객체를 보여줌 Hide : 현재 객체 숨김 Show All States : 전체 표시 Select All : 전체 선택 Properties : 속성을 정의 View
Priview Frame : 프레임 미리보기 Toolbars : 도구바 표시여부 Status Bar : 상태 표시(왼쪽 하단에 표시) Rulers : 눈금 자 Zoom In : 화면 확대 Zoom Out : 화면 축소 View at 100% : 화면의 크기를 100% Fit Scene in Window : 화면에 맞게 Fit object in Window : 오브젝트의 크기를 화면에 맞게 표시 Show to Grid : 격자 표시 나타냄 Snap to Grid : 그림이 Gird 선에 맞추어 표시되도록 Show All Images : 모든 이미지 표시 Smooth Edges and Images : 이미지의 끝을 부드럽게 Insert
Scene : 장면 추가 Text : 글자 입력 Button : Button 만들기 Sprite : 플래시의 'Movie Clips'과 유사한 객체 Image : 그림 삽입 Content : 외부의 파일을 삽입(이미지나 사운드 등을 불러 옴) Instance : 스프라이트에 관한 내용 Effect : 효과주기 Event : 마우스를 눌렀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 삽입 등 Insert Frame : Frame 삽입 Delete Frame : Frame 삭제 Modify
Grouping : 그룹으로 만듬 Convert : Button, Sprite, Shape, Text등으로 변환 Order : 객체의 순서 Transform : 객체의 회전각도로 회전 Alignment : 포인트의 위치를 선택함 Justification : 정렬 Appearance : 글자체 Bold, Italic Control
Play Movie : 무비 실행 Play Scene : 현재 장면 실행 Play Effect : 효과 실행 Preview Frame : 장면 미리보기 Stop : 무비 종료 Step Forward : 앞으로 가기 Step Back : 뒤로 가기 Cue to End : 마지막 장면 Rewind to Start : 처음 장면 Tools
Preferences... : Color, Backgroud등 정의 Cutomize... : 명령어, 도구 바 등 편집 Keyboard Map : 명령어와 키 설명 Panels
Layout : 화면의 작업 창 Timeline : 텍스트 효과나 액션 효과를 넣는 곳 Outline : 현재 작업중인 무비에 대한 목록 Movie : Movie의 크기 및 배경색 지정 Object : Object 들을 표시 Action : Action 들의 표시 Transform : Transform 표시 Color : 객체의 색지정 Expert : Expert 옵션 사항 Reset to Defaults : 기본 선택으로 변경 Helps
SWiSH Help Topics : 주제별 도움말 SWiSH Tutorials : 사용 설명서 Go to the SWiSH web site : 스위시의 웹 사이트 Go to the SWiSH Support Forums About Macromedia Flash : Flash 에 관하여 About LAME MP3 Encoder : MP3 변환에 관하여 Purchase SWiSH About SWiSH... |
(1) Insert - Button한다.
(2) 버튼의 위치를 적당한 장소로 이동(Button이 선택된 상태에서)
(3) Up State :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 Over State : 마우스를 올려 놓았을 때 나타나는 내용 Down State : 마우스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내용 Hit State : 버튼의 영역 (4) Button을 선택한 상태에서 하이퍼링크를 만들면 원하는 사이트로 갈 수 있다. |
(1) Sprite 란 : 여러개의 객체를 하나의 객체로 표현하는 플래시에서의 심볼과 유사한 객체 (2) Sprite 만들기 Insert - Sprite를 선택한다. (3) 스프라이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원, 삼각형등의 그림을 그려 넣는다.
(4) 스프라이트를 왼쪽의 Outline에서 다음과 같이 선택
(5) 애니메이션을 삽입한다. (Motion Path 이용)
(6) 마우스로 드래그 하면 애니메이션이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
1. 텍스트에 효과 넣기(Fade In효과) (1) 무비의 크기와 배경색을 정한다.
(2) 툴바에서
Text를 삭제하고 Cool Swish로 바꾸면 화면의 내용과 Outline, Timeline의 이름이 자동으로 바뀐다.
미리 보기 창에서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크기도 변경 가능
(3) Timeline을 선택한 다음 Insert - Effect - 각각의 효과 주기 선택 Insert - Effect - Fade In 선택시 화면
(4) 기본적인 설정 그대로 효과 주기를 할 경우에는 Close 한다.
(5)
2. Transform 효과와 3D spin 효과 넣기 transform 효과는 플래시의 motion tween 처럼 사용하고 3D spin은 글자를 회전시킨다. * 3D spin 효과 안의 Transform 적용방법 (1) File - New로 새 창을 만든다. (2) Movie의 환경 조건을 정한다.
(3) Insert - Text 선택한 다음 글자를 입력한다. (4) 글자 폰트와 크기, 색을 정한다음 화면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endif]> (5) Insert - Effect - Transform을 선택하고 기본사항에서 Close 버튼을 누른다. Insert - Effect - 3D spin을 선택하고 기본사항에서 Close 버튼을 누른다. (6) Play 버튼 (
|
Scene에 링크 걸기 (1) 원하는 Scene 선택
(2) URL에 링크를 걸 수 있는 사이트의 이름을 쓴다. (3) Target frame에다 원하는 내용을 선택한다. 그림에 링크 걸기 (1) 그림 선택 미리보기 화면
Timeline : 애니메이션
Outline
(2) Link를 만들기 위한 액션 선택 - Add Event - On Release 선택
(3) Goto URL 선택 - URL 란에 주소 입력, Target 선택
(4) 애니메이션을 사용한 경우는 애니매이션을 중단하고 링크가 되도록 한다.
|
Swish에 사운드 넣기 스위시에서는 wav와 mp3를 지원한다. (1) 사운드를 삽입할 장면을 선택한다. (2) Timeline의 첫 번째 탭을 선택한다. (3) Insert - Content 선택
(4) 원하는 음악 파일을 선택 한 다음 Timeline
(5) Avtion 탭을 눌러보면 삽입된 음악파일이 나타난다.
(6) 새로운 소리 파일을 삽입해본다. (7) Play Sound부분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타난다.
(8) 0번 프레임에 2개의 소리파일이 실행되므로 실행버튼을 누르면 동시에 두 개의 소리가 들린다. (9) 11번 프레임 선택 후 Add Event - At Frame을 선택
(10) Add Action 탭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나고 Play Sound를 선택
(11) 삭제하고 싶은 프레임이나 삭제하고 싶은 Action을 선택한 다음 누른다. |
Swish에 이미지 넣기 (1) 무비의 크기와 배경색을 정한다.
(2) Insert - image를 선택하거나 아이콘(
(3)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열기 하면 미리보기 창에 그림이 나타나고 크기와 위치를 조절한다. 조절점에 마우스를 옮김다음 마우스로 끌기 하면 크기 조절 가능
(4) 다른 이미지를 삽입하면 현재 이미지 위에 이미지가 올라간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
(5) 그림에 텍스트와 같은 방법으로 효과를 넣어본다. Insert - Effect - Blur 효과 주기 한 다음 timeline에 나타나는 내용
(5) 효과를 준 내용을 삭제하고 다른 효과를 줄수 있다. Timeline 탭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다음의 화면이 나오고 Delete Effect를 선택한다
|
이 과에서는 프리로더를 만들수 있도록 따라하기 식의 안내를 하고 있다. 프리로더(Pre Loader)는 무비의 일부분이 다운로드되면 재생이 되도록 하여 방문객으로 하여금 지루함을 덜어주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 이 과에의 따라하기 최종 결과는 [예제 ; Samples] 메뉴에 "Preloader.swi"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다. 1.스위쉬를 실행한다. 2.[Scene] 탭을 선택한 다음, Scene 이름을 'Preloader'로 수정하자. 3.툴바 위에 있는 [Insert Scene] 버튼
4.방금 새로 추가한 Scene을 선택한 다음 Scene의 이름을 'Main Movie'로 수정하자. 5.Preloader 씬을 선택한 다음, 툴바위에 있는 [텍스트 삽입 ; Insert text] 버튼
6.텍스트 편집기에서 'Text'를 'Loading'이라는 단어로 바꾸어 주자. 7.[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하여, [Add Effect] 버튼을 눌러 준 다음, Squeeze를 선택하자. Squeeze Effect 대화 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8.Squeeze Effect 대화 상자에서 [확인 ; OK]을 눌러 주자. 9.Preloader 레이어의 20번 프레임을 선택한 다음, [Add Action]을 클릭하자. 10.[프레임 이동 ; Goto Frame]을 선택한 다음, 씬 콤보상자에서 'Preloader'를 선택하자. 그리고 프레임 번호는 0번을 입력하자. 11.툴바 위에 있는 재생 ; Play Movie 버튼
'Loading' 이라는 단어가 계속해서 스퀴즈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웹 페이지를 방문한 사람들에게 무비가 다운 중이라는 것을 알려 주는 것이다. 확인하였으면 중지 버튼
12.'프레임 이동 ; Goto Frame' 액션을 삽입했던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을 선택하자. 여기서는 21번 프레임이 될 것이다. 13.[Add Action] 버튼을 눌러 준 다음, [목차 미리 불러오기 ; Preload Content]을 선택하자. 그러면 대화상자가 열릴 것이다. 14.[가져오기 ; Import...] 버튼을 눌러 주자. 그런 다음, 메인 무비에서 재생시킬 사운드 파일을 선택하자. 15.[Preload Content] 대화상자에서 [확인 ; OK]를 눌러 주자. 16.'Preloader' 씬의 0번 프레임을 선택하자. 그 다음 [Add Action] 버튼을 눌러, [프레임이 불러와지면 ; If Frame is Loaded]을 선택하자. 17.씬 콤보박스에서 'Main Movie' 씬을 선택하자. 그리고 프레임 번호는 0번을 입력하자. 잠깐! 아직 다이얼로그를 닫으면 안된다. 18.[Add Action] 버튼을 눌러, [프레임 이동 ; Goto Frame]를 선택하자. 19.방금처럼, 씬 콤보박스에서 'Main Movie'를 선택한 다음, 프레임 번호로 0을 입력하자. 20.[확인 ; OK]을 누른 다음, 대화상자를 닫도록 하자. 타임라인에서 액션이 들어 있는 첫 번째 프레임 위에 마우스 커서를 살짝 올려 놓아 보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툴팁이 나타날 것이다. "If Frame 0 of Main Movie is Loaded (then) Goto Frame 0 of Main Movie" 21.메인 윈도우 왼쪽에 있는, 씬 리스트에서 Main Movie 씬을 선택하자. 22.'Main Movie'씬의 0번 프레임을 선택하자. 23.[Add Action] 버튼을 눌러 준 다음, [사운드 연주 ; Play Sound]를 선택하자. Play Sound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24.'Preloader' 씬에서 preload 했던 사운드를 선택한 다음 OK를 눌러 주자. 25.툴바 위에 있는 [텍스트 삽입 ; Insert Text] 버튼
26.[Text] 탭을 선택한 다음, 택스트 편집기에 "Main Movie"라고 입력하자. 27.[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한 다음, [Add Effect] 버튼을 눌러, [Squeeze]를 선택하자. 28.Squeeze Effect 대화상장 안에 있는 [확인 ; OK]을 눌러 주자. 29.툴바 위에 있는 재생 ; Play Movie 버튼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reloader 레이어의 내용 즉 Loading이라는 글자가 스퀴즈 효과를 내면서 플레이된다. preloader 씬의 0번 프레임에서 조건을 Main Movie 레이어의 음악 파일이 로딩되면 Main Movie 레이어로 가서 재생을 하라고 조건을 주었으므로 이 조건이 맞지 않으면 20프레임에서 다시 preloader 레이어의 0프레임으로 가서 재생을 계속하게 된다. 조건이 맞으면 Main Movie 레이어로 이동하여 Main Movie라는 글자가 스퀴즈 효과를 내면서 음악과 함께 재생되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컴퓨터에서 재생을 해보면 스위쉬 Loading이라는 글자 대신에 Main Movie가 점프되어 재생될 것이다. 이것은 스위쉬 안에서 무비를 미리보기할 때 무비가 즉시 로드되기 때문이다. 프리로더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볼려면 홈페이지에 올려놓고 접속해보면 알 수 있다. |
이 과에서는 스위쉬에서 이미지(Image)를 들여오기(Import) 하고 디스플레이(Display) 시키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1.스위쉬(Swish Application)를 실행한다. 2.[수정 ; Modify] 메뉴에서 [그림 삽입 ; Insert Image]을 선택하자. 아니면 툴바(Toolbar)에 있는 Insert Image 버튼
3.JPEG이나 GIF 또는 PNG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자. 4.들여오기(Import)하면 미리보기 창의 한 가운데에 이미지(Image)가 위치하게 된다(이는 변경 가능하다. 다음의 '참고' 참조). - 탭(Tab)들을 보면 탭의 이름이 [Scene]에서 [Image]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만약 이미지(Image) 대신 텍스트(Text)를 들여오면 탭의 이름이 Text로 바뀐다. 참고 1.[항목 ; Content] 탭에도 이미지(Image)의 이름(파일명)이 표시될 것이다. 2.[Image] 탭에서 이미지(Image)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 [정렬]에서 그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가로 세로 크기도 X, Y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3.미리보기 창에서 배경이 투명한 이미지는 바둑판으로 표시된다. 4.에니메이션 GIF의 경우, 첫 번째 프레임(Frame)만 들여오기(Import) 된다. 5.심플 이펙트(Symple Effect)만이 이미지(Image)에 적용될 수 있다. |
여기서는 스위쉬에서 사운드(Sound)를 들여오기(Import) 하고, 플레이(Play)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TIP] 만약 WAV 파일을 임포트(Import) 하는데 문제가 생기면, 최신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를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설치하라. 무비가 어떤 특정한 프레임에 왔을 때 사운드가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 1.[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하자. 2.사운드(Sound)가 시작되기를 원하는 프레임(Frame)을 선택하자. 3.[Add Action] 버튼을 눌러 준 다음, [사운드 연주 ; Play Sound]를 선택하자. 사운드 연주 대화 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4.[Play Sound] 대화상자 안에 있는 [가져오기 ; Import] 버튼을 눌러 주자. 그런 다음 원하는 MP3 또는 WAV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눌러 주자. - 기본 포맷은 Gif로 되어 있다. 포맷 펼침 목록에서 원하는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5.[Play Sound] 대화상자의 [확인] 버튼을 눌러 주자. 6.툴바(Toolbar) 위에 있는 재생 ; Play Movie 버튼
마우스에 반응하여 사운드가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 1.마우스 이벤트(Event)에 반응할 개체를 새로 만들거나 선택하자. 2.[액션 ; Actions] 탭을 선택하자. 3.[Add Event] 버튼을 눌러 준 다음, [On Press]를 선택하자. 4.[Add Action] 버튼을 눌러 준 다음, [사운드 연주 ; Play Sound]를 선택하자. 대화 상자의 오른쪽에 열릴 것이다. 5.[Import] 버튼을 눌러 준 다음, MP3 나 WAV 파일을 선택하자. 6.툴바(Toolbar) 위에 있는 Play Movie 버튼
배경음악으로 사운드가 계속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 1.[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하자. 2.타임라인의 0번 프레임을 선택하자. 3.[Add Action] 버튼을 눌러 준 다음, [사운드 연주 ; Play Sound]를 선택하자. 4.[가져오기 ; Import… ]버튼을 눌러 준 다음, MP3나 WAV 파일을 선택하자. 5.[옵션 ; Options...] 버튼을 눌러 주자. 그리고 [사운드 루프 ; Loop Sound] 편집 상자에 큰 숫자를 입력하자(예를 들어 50000). - Flash Player에는 무한 반복 옵션이 없기 때문이다. 6.[확인] 버튼을 눌러 주자. 7.툴바(Toolbar) 위에 있는 재생 버튼(Button)을 눌러 주자. |
이 과에서는 플래시(Flash)에 스위쉬에서 제작한 무비를 집어넣는, 플래시 쪽에서 말하면, 들여오기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플래시(Flash)로 스위쉬 무비를 임포트 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다. .............................................................................................................................................. 1. 플래시(Flash)의 레이어에 스위쉬 무비 임포트 하기 이 방법은 가장 간단하지만, 플래시(Flash)에 스위쉬 무비를 임포트 시킨 후, 스위쉬 애니메이션의 위치를 바꿀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말은 Gif 애니메이션 파일을 플래시에 임포트해본 분은 금방 이해가 될 것이다. 플래시에서는 외부 개체(파일)을 불러들이면 기본 위치는 왼쪽 위가 된다. 따라서 프레임 바이 프레임(Frame by Frame)으로 들여온 외부 개체는 플래시 편집 중에 스테이지의 가운데 등으로 옮기는 일이 예삿일이 아니다. 제8과 스위쉬 팁 참조 ★스위쉬에서 무비를 엑스포트 시키기: 1.첫 번째 과정에서 만들었던 ‘first.swi를 열도록 하자. 아니면 예제(Samples0 메뉴에서 선택해도 된다. 2.[내보내기 ; Export] 탭에서 '무비클립을 조화시키기 위해 무비를 오프셋 ; Offset Movie to suit Movie Clip'을 확인하여, 만약 체크되어 있으면 그것을 해제하도록 하자. - 나머지 선택 사항은 일단 그대로 두자. 이렇게 하면 결국 '무비창에 클립 오브젝트' 항목이 선택되게 되는데, 결과는 SWF 파일을 만들어 저장하게 된다. - 이에 대한 내용은 제8과 스위쉬 팁을 참조해주기 바란다. 3.툴바에 있는 Export to SWF 버튼을 눌러 주자. [SWF로 내보내기 ; Export to SWF] 대화상자가 보일 것이다. 4.SWF 파일을 내보내고 싶은 폴더를 선택한 후, 파일 이름으로 'first.swi'라고 입력하자. - 물론 따옴표는 빼야 되겠지요? 그런 다음 저장 버튼을 눌러 주자. ★플래시(Flash)에서 스위쉬 무비를 임포트 하기: 1.매크로미디어 플래시(Flash)를 시작하자. 2.플래시(Flash)의 [File] 메뉴에서 [Import...]를 선택하자. 그러면 Import 대화상자가 보일 것이다. 3.파일 형식 : 콤보상자에서 "Flash Player (*.swf, *.spl)"를 선택하자. 4.앞서 SWF 파일을 내보내기했던 폴더로 가서, "first.swf"를 선택하자. 그 다음 [열기] 버튼을 눌러 주자. 5.플래시의 타임라인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기면서 그 레이어 안에 스위쉬 무비가 들어간 것이 보일 것이다. ★참고 1.SWF 파일에는 키 프레임이나 트위닝(Tweening) 정보가 들어있지 않다. 플래시(Flash)는 각 프레임을 하나의 독립된 키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임포트 한다. 이를 프레임 단위(Frame by Frame) 애니메이션이라고 한다. 2.그렇다고 해서 스위쉬로 만든 SWF 파일이 플래시(Flash)로 만든 SWF 파일보다 더 크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키 프레임이나 트위닝이 들어 있는 SWF 파일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없다. [참고] 제8과 스위쉬 팁(스위쉬 무비 파일 용량 줄이기) 3.플래시(Flash)에서 각 문자에 있는 트위닝을 편집할 생각이 있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이것은 큰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스위쉬에서 다시 편집을 한 뒤 플래시(Flash)로 임포트 시키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4.스위쉬는 FLA 파일을 내보내기(Export)할 수 없다. 왜냐하면 FLA 파일은 비공개 파일 형식이기 때문이다. 오직 매크로미디어 플래시(Flash) 만이 FLA 파일을 읽고 쓸 수가 있다. 2. 플래시(Flash) 무비 클립으로 스위쉬 무비 내보내기 플래시(Flash)로 임포트시킨 스위쉬 무비를 스테이지 위에 올려 놓은 뒤, 이 전체를 무비를 선택하거나 이동할려고 하면 어렵다.(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는 애니메이션 GIF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플래시 무비 클립(Movie Clip)을 만든 다음, 이 무비 클립을 플래시의 스테이지 위에 올려 놓으면(즉, 인스턴스로 만들면) 조작하기가 훨씬 수월해질 것이다. ★스위쉬에서 무비를 내보내기(Export) 1.첫 번째 과정에서 만들었던 "first.swi"를 열거나 아니면 Samples 메뉴에 있는 "first.swi"를 열자. 2.[내보내기 ; Export] 탭에서 '무비 클립을 조화시키기 위해 무비를 오프셋 ; Offset Movie to suit Movie Clip'을 체크하자. - 한글 패치에서는 번역이 좀 엉뚱한데 이 말은 위의 제목처럼 플래시 무비 클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보내기를 한다는 뜻이다. 3.툴바에 있는 [Export to SWF ] 버튼을 눌러 주자. 내보내기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4.먼저 SWF 파일을 내보내기할 폴더를 선택하자. 파일 이름을 "first.swf"라고 입력한 다음, [저장] 버튼을 눌러 주도록 하자. ★플래시(Flash)에서 스위쉬 무비를 임포트 하기: 1.매크로미디어 플래시(Flash)를 시작하자. 그런 다음, 새 파일을 연다. 이 무비에 스위쉬 무비가 추가될 것이다. - 플래시(Flash) 무비가 없으면 새로 만들어야겠지요. 2.[Insert] 메뉴에서 "New Symbol..."을 선택하자. [심볼 설정 ; Symbol Properties]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3.심볼의 이름은 "first.swi"로 하고, [Behavior:] 는 무비 클립(Movie Clip)으로 지정하자. - 이 과정이 핵심이다. 다 되었으면 OK를 눌러 주자. 4.플래시(Flash)의 [File] 메뉴에서 [Import...]를 선택하자(단축키는 Ctrl + R). 그러면 Import 대화상자가 보일 것이다. 5.파일 형식: 콤보박스에서 "Flash Player (*.swf, *.spl)"를 선택하자. 6.앞서 SWF 파일을 내보내기했던 폴더로 가서, "first.swf"를 선택하자. 그 다음, [열기] 버튼 클릭. 7.무비 클립의 타임라인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기면서 그 레이어 안에 스위쉬 무비가 들어가는 것이 보일 것이다. 다 되었으면 무비 클립 편집창에서 빠져나온다. - 스테이지 상단에 있는 [Scene 1]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Ctrl + E를 누르면 된다. 8.스위쉬 에니메이션이 추가될 플래시(Flash) 장면(Scene)을 선택하자. 9.플래시의 [Window] 메뉴에서 Library(단축키 Ctrl + L)를 선택하자. 10.라이브러리 윈도우에서 "first.swi" 무비 클립을 선택하여 스테이지 위로 옮기도록 하자. 이렇게 하면 스위쉬 무비를 하나의 개체로서 선택하거나 위치를 옮길 수 있을 것이다. 11.플래시의 [Control] 메뉴에서 [Test Movie; 단축키 Ctrl + Enter)를 선택하거나, 아니면 File 메뉴에서 Publish Preview를 선택하여, 애니메이션을 재생시켜 보자. ★참고 1.달리 지시한 경우 이외에는, 스위쉬 무비 클립은 그것이 놓여진 프레임에서부터 재생을 시작할 것이다. 2.무비 클립의 인스턴스에 이름을 준 다음, TellTarget 액션을 주면 스위쉬 무비를 시작시키거나, 끝나게 할 수 있다. - 이 부분은 플래시의 기능이므로 무슨 말인지를 모르겠다면 플래시의 Tell Target 액션 공부를 해야한다. 3. LoadMovie 액션 이용하기 플래시(Flash)의 내부 문제 때문에 사운드와 액션은 SWF 파일에서 임포트 할 수 없다. 그 SWF 파일이 플래시(Flash)로 만들었건, 스위쉬로 만들었건, 아니면 다른 어떤 것으로 만들었다 하더라도 말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LoadMovie 액션으로 해결할 수가 있다. ★스위쉬에서 무비를 내보내기(Export) - 이 과정은 첫 번째와 같다. 1.첫번째 과정에서 만들었던 ‘first.swi를 열도록 하자. 아니면 Samples 메뉴에서 선택해도 된다. 2.[내보내기 ; Export] 탭에서 [무비 클립을 조화시키기 위해 무비를 오프셋 ; Offset Movie to suit Movie Clip]을 확인하여, 만약 체크되어 있으면 그것을 해제하도록 하자. 3.툴바에서 Export to SWF 버튼을 눌러주자. 4.SWF 파일을 내보내기하고 싶은 폴더를 선택한 후, 파일 이름으로 'first.swf"라고 입력하자. *참고 이 방법은 플래시 무비에서 스위시 무비를 로드하는 것이므로 스위쉬 무비를 내보내기할 때 반드 시 이미 만들어 놓은 플래시(Flash) 무비가 있는 폴더로 내보내기를 할 것을 권장한다. 다른 폴더로 내보내기를 하면 플래시 무비 파일에서 LoadMovie 액션을 다시 조절해주어야 한다. ★플래시(Flash)에서 스위쉬 무비 Import 하기: 1.매크로미디어 플래시(Flash)를 시작하자. 그런 다음, 스위쉬 무비를 추가시킬, 플래시(Flash) 무비(FLA 파일)를 열도록 하자. 2.플래시(Flash)의 타임라인에 있는 [Add Layer] 버튼을 눌러 주자. 3.스위쉬 무비가 시작될 프레임에 키프레임을 넣어주자(버튼 심볼을 만들어 스테이지에 배치한 다음 이 버튼을 선택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해도 된다). 4.액션 대화 상자를 연다.(플래시 4에서는 키프레임을 더블클릭, 플래시 5에서는 키프레임 선택 > 마우스 오른쪽 버튼 > Actions 선택) 5.플래시4에서는 [+] 버튼을 클릭한 다음, Load/Unload Movie를 선택하자. 플래시5에서는 Basic Actions 항목에 있는 Load Movie를 선택한다. 6.URL에 "first.swf"를 입력하자. 7.[Control] 메뉴에서 Test Movie를 선택하거나, 아니면 File 메뉴에서 Publish Preview를 선택하여, 에니메이션을 재생시켜 보자. ★참고 1.스위쉬 무비를 내보내기할 때 플래시(Flash) 무비가 있는 폴더로 하도록 권장한다. 2.무비가 로드 되지 못하면, 플래시(Flash)의 Output 윈도우에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3.[Control] 메뉴에 있는 Test Movie를 실행시키면, 플래시(Flash)는 윈도우의 Temp 폴더에서 무비를 로드한다. - 플래시(Flash) 무비를 새로 만들어 디스크에 저장하기 전에 Test Movie를 실행시킬 경우, Windows의 Temp 폴더에서 스위쉬 무비를 찾는다. 4.[File] 메뉴의 [Publish Preview]를 실행시키면, 플래시(Flash)는 플래시(Flash) 무비가 설치된 플더에서 무비를 로드한다. |
여기서는 스위쉬 무비에 액션(Action)주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따라하기의 결과는 [예제 ; Samples] 메뉴에 “actions.swi”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다. ........................................................................................................................................ 1.제1과에서 만들었던 “first.swi”를 열도록 하자. 아니면 [예제 ; Samples] 메뉴에서 “first.swi를 선택해도 된다. 2.[타임라인 ; Timeline] 탭을 선택하여 [Scene 1]의 17번 프레임을 선택하자. 3.[Add Action] 버튼을 누른 다음, 메뉴(Menu)에서 [멈춤 ; Stop]을 선택한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눌러 Action Properties 대화상자를 빠져 나오도록 한다. - 제대로 했다면 17번 프레임에 마우스 버튼을 올려 놓았을 때 Stop이라는 툴팁(Tooltip)이 나타날 것이다. 이 액션은 플래시와 마찬가지로 무비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타임라인(Timeline)이 다음과 같이 보이는가?
4.미리보기 창에 있는 'Type Text' 개체를 선택한 다음, [액션 ; Actions] 탭을 눌러 보자. 5.[Add Event]를 눌러 준 다음, 펼침 메뉴에서 [On Release]를 선택하자. [Add Event] 버튼이 [Add Action] 버튼으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On Release' 속성이 Actions 탭 오른쪽에 나타날 것이다. - 다음 그림을 참조하라.
6.[Add Action] 버튼을 누른 다음, 메뉴에서 [실행 ; Play]를 선택하자. Action 리스트가 다음과 같이 보이면 성공한 것이다.
7.툴바(Toolbar)에 있는 Play 버튼을 눌러 주자. 그러면 “Type Text”가 한 글자씩 스크린에 타이핑된 다음 멈출 것이다. 조금 전 17번 프레임에 주었던 '멈춤 ; Stop' 액션 때문이다. 이번에는 미리보기 창에 있는 'Type Text' 개체를 클릭했다 놓아 보자. 그러면 무비가 다시 플레이 될 것이다. 방금 전 'Type Text' 개체에 주었던 '실행 ; Play' 액션 때문이다. 자~ 이제 툴바에 있는 재생 중지 ; Stop 버튼을 눌러 무비를 끝내도록 하자. 8.[타임라인] 탭으로 돌아가 Scene 1의 24번 프레임을 선택하자. 9.[Add Action] 버튼을 눌러 펼침 메뉴에서 [멈춤 ; Stop] 액션을 선택한 다음, [확인]을 눌러 액션 설정(Action Properties) 대화상자를 빠져 나오도록 한다. 10.이번에는 미리보기 창에 있는 “Squeeze”를 선택하자. 그리고 나서 [액션 ; Actions] 탭을 눌러 주자. 11.[Add Event]를 누른 다음 [On Press]를 선택한다. 12.[Add Action]을 눌러 준 다음 메뉴에서 [프레임 이동 ; Goto Frame] 액션을 선택하자. 그러면 Actions 탭의 오른 쪽에 Goto Frame properties가 보일 것이다. 13.오른쪽의 [씬 ; Scene:]에서는 'Scene 1'을 선택해 주고, [프레임 ; Frame:]에서는 '번호 ; Number'를 선택해 준 다음, 옆의 칸에 숫자 0을 입력해 주자. 그리고 아래쪽의 '조절 ; Control:'에서는 '이동하고 실행 ; Goto and Play'를 체크해 주자. - 기본값으로 지정되어 있다. 액션(Actions) 탭이 다음과 같이 보인다면 바르게 따라온 것이다.
14.[Add Action] 버튼을 한 번 더 눌러준 다음, 이번에는 [URL 이동 ; Goto URL] 액션을 선택해보자. 오른쪽에 Goto URL 설정이 보일 것이다. 15.[URL:] 옆의 빈 칸에 "http://swishzone.com"과 같이 이동하고픈 적당한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해 주자. [액션 ; Actions] 탭이 다음과 같이 보이는가?
16.툴바에 있는 재생 버튼을 눌러 보자. “Type Text”가 한 글자씩 스크린에 타이핑된 다음 멈출 것이다. 스크린에 있는 Type Text 개체를 클릭했다 놓아 보자. 그러면 무비는 다시 플레이될 것이다. 그리고 squeeze 에니메이션이 재생될 것이다. 다시 스크린 위의 squeeze 개체를 클릭해 보자. 그러면 무비는 Scene 1의 0번 프레임(Frame)으로 되돌아가, 타이핑 애니메이션부터 다시 시작할 것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웹 브라우저가 작동되어 URL http://swishzone.com에 접속될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다시 세심하게 위에서 해온 작업과 비교해보자. 원리를 깨치는 것이 중요한다. 감상이 다 끝났으면 웹 브라우저를 닫고 툴바(Toolbar)의 정지 버튼을 눌러 무비를 끝내도록 하자. |
이 과에서는 스위쉬 따라하기 과정에서 설명이 미흡했거나 사용상의 팁에 해당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각 과에서 관련 내용이 여기로 링크되어 있으므로 내용을 보고 [이전 화면] 버튼을 클릭하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놓았다. ............................................................................................................................................ 스위시의 효과 수정하기 효과를 일단 적용하고 나서 다시 수정하고자 한다면 타임라인의 효과가 적용된 레이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정보를 선택하면 된다. 효과 자체를 지우려면 Delete Effects 버튼을 이용하든지 Delete키를 누르면 된다. 스위시 무비를 플래시에서 들여오기할 때 스위쉬에서 만든 쇽웨이브 플래시 무비(SWF)를 플래시에 들여오는 방법은 앞서 제3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3과에서 너무 장황하게 설명을 해서 여기서 다시 요약 정리한다. 플래시의 씬(Scene)에 바로 들여오는 방법 플래시를 실행하고 스테이지의 씬(Scene)에 바로 들여오기 명령(File > Import)으로 넣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법은 썩 권장하고 싶지 않은 방법이다. 프레임 바이 프레임 방식으로 들여오게 되는데 위치 조정이 쉽지 않으며, 플래시에서 다른 개체와의 조화를 기하는 것도 어렵다. 또 잠깐만 생각해보라. 차라리 스위쉬에서 만든 그대로 사용하는 편이 낫지 않은지??? 무비 클립으로 등록해 사용하는 방법 권장하고픈 방법이다. 앞의 방법은 초보적인 방법이라면 이 방법은 플래시의 심볼과 액션에 어느 정도 익숙한 사람들에게 매우 활용도가 높은 방법이다. 또한 플래시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무비와 조화를 기할 수 있고, 스테이지상의 위치와 타임라인상의 위치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1. 플래시에서 새 심볼을 하나 만든다(Ctrl + F8). Behavior는 당연히 무비 클립(Movie Clip)이어야 한다. 2. 무비 클립 편집창에서 들여오기(Import)하기를 수행해서 스위쉬에서 만든 SWF 파일을 불러들인다. 3. 심볼 편집창을 빠져나가서(즉 씬 편집창으로 가서... 단축키는 Ctrl + E), 라이브러리에 등록되어 있는 방금 넣은 무비클립 심볼을 씬과 타임라인상의 적당한 위치에 놓는다. Load Movie를 이용하는 방법 플래시 액션 중 Load Movie/Unload Movie 액션이 있다. 이는 현재 편집 중인 쇽웨이브 플래시 무비(SWF)를 다른 SWF 파일과 연결 혹은 해제시키는 액션으로 여러 개의 SWF 파일을 연결할 경우에 사용된다. 아시다시피 플래시에서 액션은 타임라인의 키프레임이나 스테이지의 버튼에 붙여넣을 수 있다. 하여간 액션을 붙일 수 있도록 키프레임을 지정하거나 버튼을 만든 다음 여기에 Load Movie 액션을 넣고 대상이 되는 파일은 스위쉬에서 만든 SWF를 지정해주면 되는 것이다. 이때 Level 지정에 유의해야 하는데 값을 0으로 주면 현재 무비를 덮어씌우게 되고, 1 이상의 값을 주면 레이어 모양으로 원래의 무비 위에 떠있는 모양새가 된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Unload Movie 액션은 떠있는 무비를 쫓아내는(화면에서 제거하는) 효과를 낸다. SWF 파일 용량 줄이기 다른 이미지 파일에 비해 SWF는 한마디로 날씬하다. 그러나 SWF 파일도 다음과 같은 요인이 가미되면 뚱뚱해질 수도 있다. 1. 비트맵 파일이나 음악 파일을 엄청 쓴다. 이렇게 하면 용량이 갑자기 엄청나게 비대해지게 된다. 기본적으로 플래시는 비트맵의 경우 JPG로, 음악/음향의 경우 MP3로 형식을 바꾸어 내장하게 된다. 이 두 가지 모두 손실 압축을 지원하는 포맷이라 압축율을 높이면 파일 용량은 주는 대신 질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형식은 가능하면 써야할 곳에만 써야 할 것이다. 2. 여러 가지 글꼴을 다양한 크기로 쓴다. 글꼴의 경우 윈도우즈의 기본 글꼴(굴림, 돋움, 궁서, 바탕)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별한 효과를 주어야 할 경우는 특별한 글꼴을 사용해야겠지만 이 경우는 반드시 개체 해체(Break Apart : 단축키는 Ctrl + B)를 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이 또한 남용은 금물이다. 기본글꼴만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SWF를 통신상이나 CD등의 방법으로 다른 이에게 건네줄 때 다른 컴퓨터에는 원작자의 컴퓨터에 있는 글꼴이 없을 수도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3. 동시에 여러 효과를 준다. 이 또한 SWF 파일의 용량을 늘리는 요인이 된다. 여러 개의 개체가 움직이는 곳에서는 효과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4. 무비 창의 바깥으로 움직이는 개체를 많이 만들어준다. 화면에 보이지 않는 영역에 개체들이 움직인다면 이는 낭비다. 이런 경우를 불가피하게 만들었다면 내보내기(Export)할 때 'Export Objects to Movie Window' 옵션을 체크해주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