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갑상선 호르몬(PTH)은 amino산 84개의 single chain인 polypeptide로 부갑상선 주세포에서 합성되고 혈중에 분비됩니다. 동일종 또는 동일한 개체내에서도 단일 분자량으로 출현하는 것은 아니고 단백 분해효소의 작용으로 1~34자리, 또는 1~37자리의 N말단 단편과 35~84 자리 또는 38~84자리의 C단편으로 분해됩니다. 혈중에는 적어도 복수의 fragment로서 존재합니다.
혈중 반감기는 약 20분으로 N말단은 빨리 분해되는데 반하여 C말단은 비 교적 오래 혈중에 머뭅니다. 이것의 분비에는 calcium(Ca)과 inorganic phosphorus(Pi)가 관여하는데, 이들 ion농도가 감소하면 PTH 분비는 촉진되고 반대로 ion농도가 증가하면 분비는 억제됩니다. PTH측정은 특이성, 감도, 조작성 등으로 RIA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TH농도는 부갑상선의 선종, 또는 과형성, 이소성 PTH 생산종양 등 원발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및 만성신부전, Fanconi 증후군, vitamin D결핍증 등 속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서 증가합니다.
-임상적 의의-
◇부갑상선 호르몬 증가 •원발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부갑상선의 선종, 암 및 과형성으로 인하여 PTH가 증가합니다.
•속발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저 Ca혈증으로 PTH분비가 자극되는 것입니 다. 주요 질환은 만성신부전증, vitamin D 결핍등이 있습니다.
•이소성 부갑상선 호르몬 생산종양(가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부갑상선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되는 악성종양에서 PTH가 분비되는 질환으로 폐암, 신장암, 담관암, 취장암, 결장암, 식도암, 난소암, 방광암 등이 보고 되었 습니다.
•신부전증: 신부전증에서는 신장에서 PTH대사가 지연되고 PTH가 혈중에 정 체하여 증가합니다.
◇부갑상선 호르몬 감소 •수술후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 부갑상선을 절제하거나 혈류를 저해하면 PTH분비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
•선천성 부갑상선 결손: 부갑상선이 선천적으로 결손된 예에서 혈중 PTH 는 감소합니다.
혈중 PTH는 정상인에서도 저농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저농도를 보일때 와 부갑상선의 분비 예비능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EDTA 부하를 시행합니다.
*갑상선 카페에서 퍼옴, 가입 초강추
http://cafe.daum.net/thyroidcancer
(갑상선암, 저하증, 항진증 등 모든 자료 있는 카페:가입강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