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deleteArticleSomething( kind ) {
if ( confirm( "정말로 삭제하시겠습니까?" ) ) {
document.location.href="/_c21_/article_something_delete_hdn?kind=" + kind + "&grpid=V2i&mgrpid=&fldid=7lX&dataid=776";
}
}
// 동영상 블로그에서 항상 호출.
function AllBGMStop() {}
안녕하세요.
제가 좀 바빠서 퍼다 날랐습니다.
그럼...
Datedif함수를 이용하시면 아주 편리하게 원하시는 답을 구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주 특이하게도 이 함수는 엑셀의 함수마법사와 도움말에는 나타나질 않습니다^^
DATEDIF 의 구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DATEDIF (시작일, 종료일, 기간단위)
시작일은 종료일보다 앞선 날짜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함수는 #NUM!에러를 되돌립니다. 시작일이나 종료일이 날짜가 아니면 당연히 #VALUE! 에러가 납니다
기간단위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m" 월 ☞ 두 날짜 사이의 개월 수
"d" 일 ☞ 두 날짜 사이의 일 수(날짜수)
"y" 연 ☞ 두 날짜 사이의 연 수
"ym" 연을 제외한 달 수 ☞ 두 날짜 사이의 월 수로, 두 날짜가 같은 해에 있다고 가정
"yd" 연을 제외한 날 수 ☞ 두 날짜 사이의 날짜 수로, 두 날짜가 같은 해에 있다고 가정
"md" 연을 제외한 일 수 ☞ 두 날짜 사이의 날짜 수로, 두 날짜가 같은 해, 같은 월에 있다고 가정
=DATEDIF 함수에 기간 단위 인수는 문자열로 입력해야 하므로 아래와 같이 따옴표로 묶어주어야 합니다.
예) =DATEDIF(DATE(1999,1,1), TODY(), "d")
자, 그렇다면 입사일로부터 오늘까지의 근무년수를 계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약 A1셀에 입사일이 있다면...
=DATEDIF(A1,TODAY(),"y")&" 년 "& DATEDIF(A1,TODAY(),"ym")&" 월 " & DATEDIF(A1,TODAY(),"md") & "일" 라구 하시면 되겠습니다.
● 추가 정보 ●
datedif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구합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2001년 1월 1일 근무를 시작해서 2001년 1월 1일까지 근무했다면(즉, 하루만 근무했다면) datedif함수로 계산하면 0일을 근무한 것이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근무일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뒷날짜에 하루를, 즉 1을 더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의 수식은
=DATEDIF(A1,TODAY()+1,"y")&" 년 "& DATEDIF(A1,TODAY()+1,"ym")&" 월 " & DATEDIF(A1,TODAY()+1,"md") & "일" 로 수정하여 사용하십시오.
...아래 수식은 근무일수가 15일 이상일 경우 이것을 올림하여 근무월에 1을 더해주는 경우의 수식입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는군요^^
=IF(VALUE(DATEDIF(A1,TODAY()+1,"md"))>=15,IF(VALUE(DATEDIF(A1,TODAY()+1,"ym"))+1>12,VALUE(DATEDIF(A1,TODAY()+1,"y"))+1&"년"&DATEDIF(A1,TODAY(),"ym")&"월",DATEDIF(A1,TODAY()+1,"y")&"년 "&VALUE(DATEDIF(A1,TODAY()+1,"ym"))+1&"월"),DATEDIF(A1,TODAY()+1,"y")&"년 " & DATEDIF(A1,TODAY()+1,"ym")&"월 " & DATEDIF(A1,TODAY()+1,"md")&"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