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스라는 이름은 '아모스서의 저자 아모스'에서 언급한 드고아의 목자로서 또한 이스라엘 목자 된 두 견해 중 하나가 아닌 둘 모두의 뜻이 적용되고 있는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을 것입니다. 이 아모스가 기록한 성경이 아모스입니다.
아모스서는 남북 분열 왕국 시대 중 외적으로는 최고의 번영과 부강을 이룩한 시대였으나 내적으로는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타락의 길로 치닫고 있던 시대인 B.C. 8세기 중엽, 곧 북이스라엘 제13대 왕 여로보암 2세(B.C. 793-753)와 남유다 제10대 왕 웃시야(B.C. 792-740) 시대를 역사적 배경으로 하여 활동한 남유다 드고아의 목자 출신의 선지자 아모스(Amos)가 북이스라엘의 정치 중심지인 수도 사마리아와 북이스라엘의 종교 중심지였던 벧엘에서 여호와이신 하나님을 떠나 가나안과 인근 각처의 우상 숭배 문화를 거리낌 없이 도입하고 부정과 부패, 압제와 학대가 일상화되는 등 사회 정의가 붕괴된 북이스라엘을 1차 배경으로 하여 선포한 타락한 남북 선민 국가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예언을 기록한 책입니다. 따라서 아모스서를 기록한 아모스는 남왕국 유다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북왕국 이스라엘에 가서 활동하였던 선지자입니다.
선지자 아모스는 선지자 호세아보다 약간 일찍 활동했습니다. 그렇지만 아모스가 하나님의 예언에 있은 선지자 활동 기간은 동시대 선지자 호세아보다 현저하게 짧습니다. 아모스는 자신의 선지자 활동 개시 시점을 여로보암의 시대에 발생한 지진 2년 전으로 밝히고 있습니다.1) 여기서 선지자가 밝히는 지진은 바벨론 포로 귀환 시대의 선지자 스가랴(슥 14:5)와 A.D. 1세기경의 사람인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에 의해서도 언급될 정도로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널리 알려진 대규모의 지진으로서 여로보암 2세 제30년인 B.C. 763년 6월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모스는 그 2년 전인 B.C. 765년에 소명을 받아 웃시야 왕의 통치 절정 기간인 755년까지 선지자로 활동하였을 것으로 봅니다.2) 아모스 4장 11절을 보면 여로보암 시대에 발생한 지진과 관련하여“내가 너희 중의 성읍 무너뜨리기를 하나님 내가 소돔과 고모라를 무너뜨림 같이 하였으므로 너희가 불붙는 가운데서 빼낸 나무 조각 같이 되었으나 너희가 내게로 돌아오지 아니하였느니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는 아모스가 그의 소명 제2년에 발생한 지진을 하나님의 경고와 회개 촉구에 대하여 불순종한 북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크고 두려운 최종 심판에 대한 전조(前兆)로 이해하였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때에 있은 지진은 오늘날에 우리나라에서도, 그리고 다른 나라에서도 보게 되는 지진의 성격과는 다릅니다. 오늘날의 지진이나 이로 인한 쓰나미, 또는 화산 폭발을 비롯하여 홍수나 태풍 반대로 가뭄 등에서 겪는 재난(재앙)은 자연계시의 상황으로 하나님께서 자연적 현상에 의한 허용에 의해서 온 세상에서 일어나는 있는 일들입니다만, 선지자 아모스 때의 선지자가 있는 땅에서의 지진은 남왕국 유다를 비롯하여 북왕국 이스라엘에 그들을 위하여 그들이 섬기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메시지의 성격을 띤 특별계시의 현상으로 있는 일입니다. 이런 때의 선지자로 활동한 아모스였기에 그가 북왕국 이스라엘에 전한 예언의 메시지는 그 엄숙함과 엄중함의 무게로 인해 무거운 짐의 성격을 띠었습니다. 그러한 것에서 아모스 선지자였습니다. (*)
.......................................
1) 현대어성경은 “2년 뒤에는 지진이 일어났다”라고 번역하여 하나님께서 아모스에게 환상 중에 계시를 주신 때부터 2년 뒤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번역함으로써 환상이 주어진 시점으로부터 2년 어간에, 또는 2년 뒤에 지진이 일어났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반면에 대부분의 한글성경은 개역(개정)성경과 같이 ‘지진(이 일어나기) 전 2년에’라고 번역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전치사 ‘리피나이’(yn"p]l)는 ‘~앞에’, 또는 ‘~전에’를 뜻하는 것으로 ‘~앞에, ~전에’ 있는 환상이 이것 2년 후에 있는 지진과 연관이 있는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지진’에 사용된 단어의 원문은 정관사가 사용되고 있어서 이 지진이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특정한 지진을 지칭함으로써 이스라엘에 임할 심판의 성격을 강조하며 그 표징이 되게 하시는 것으로 사용하신 것이다.
2) 레온 우드(Leon J. Wood)는 “아모스는 호세아와 같은 방법으로 그의 사역 연대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사역 연대가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와 유다의 웃시야가 다스리던 시대라고 말하는데, 이들 두 왕은 호세아에 의해서도 언급되었다. 결국 아모스의 사역 연대는 호세아가 사역을 시작했던 때로서 웃시야가 홀로 통치하기 시작했던 B.C 763년과 여로보암의 통치가 끝나던 B.C. 753년 사이가 된다. 따라서 그의 사역 연대는 여로보암의 통치가 끝나던 때로서 하맛 지방이 여로보암의 통치하에 있었음을 암시하는 아모스 6:2의 상황과 일치한다. 여로보암은 그의 통치 기간 중에 북쪽의 하맛까지 점령했었다.”라고 아모스의 사역 연대를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