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절기와 세시풍속 - 선림원 절기학교
처서 處暑
24절기 중 열네번째 절기, 무더위가 멈추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분다.
전국에 걸쳐 조석(朝夕)으로 서늘한 기운이 감돌고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그러나 한낮의 햇볕은 아직 따가워서 처서의 햇볕은 벼이삭을 여물게하고 오곡의 풍성한 결실을 약속한다.
《처서(處暑)의 유래》
처서(處暑)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음력 7월, 양력 8월 23일경으로 서퇴기(暑退期, 더위가 물러가는 시기)이다. 태양의 황경이 150° 가 되는 때. 예로부터 다섯 날을 '일후(一候)'라 하고, 일후의 세번 열다섯날을 '삼후(三候)'라 했으며, 삼후의 기간을 '일기(一氣)'라 하여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누었다. 즉 72번의 일후는 24번의 삼후이고 이를 곧 24절기(節氣)라 하는 것이다. 처서 절기의 15일을 5일씩 삼후(三候)로 세분하여 초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놓고 차후에는 천지가 쓸쓸해지기 시작하며 말후에는 논벼가 익는다고 하였다. 처서에 비가 오면 흉작이 드는 경우가 많으며 처서가 지나면 벌초를 하고, 여름철 장마로 습기가 찬 옷이나 책을 말리는 포쇄를 한다. 파리와 모기도 점차 사라지게 되는데 백중(음력 7.15)의 호미씻이(洗鋤宴)도 끝나게 되어 '어정칠월 건들팔월' 이라는 말처럼 농촌이 한가해지는 때이기도 하다.
《처서(處暑) 절기의 풍습》
포쇄(曝曬) 폭서(曝書)라고도 한다. 포쇄는 고도서에 한한 문제인데 책을 거풍(擧風:바람을 쐬는 것)시켜서 습기를 제거하여 부식 및 충해를 방지시킴으로써 서적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포쇄식년은 과거식년(科擧式年)과 같이 격 2년으로 진술축미년(辰戌丑未年)에 시행하도록 하였다. 포쇄식년에는 청명한 길일(吉日)을 택하여 포쇄하였는데, 장마철을 지난 8, 9월경 처서 절기즈음이다. 서적을 꺼내어 포쇄하고나면 먼 책과 책 사이에 초주지(草注紙:이어붙인 기름종이)를 넣어 보관하거나 천궁(川芎)과 창포(菖蒲)를 함께 넣어 충해와 부식을 방지하기도 했다.
벌초(伐草)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리 자라지 않으므로 산소와 논밭 두둑의 풀을 깍아 추석성묘와 농작물 추수를 위해 벌초를 한다.
농가월령가 7월령 “장마를 겪었으니 집안을 돌아보아 곡식도 거풍하고, 의복도 포쇄하소.” 하였으며, ≪동국세시기≫ 칠석조에 “인가에서 옷을 햇볕에 말린다. 이는 옛날 풍속이다.”라고 간단히 적고 있다.
칠석맞이 칠석날에 칠석맞이를 하는데, 무녀가 명다리들을 꺼내어 물동이를 타고 거풍하는 의식을 지내는 곳도 있다. 마불림제 제주도에서는 음력 7월 백중 무렵에 마불림제를 지냈는데 마는 곰팡이를 뜻하며, 이것은 신의(神衣)를 거풍하는 의식이다.
처서속담 처서에 관련된 속담은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에 천석 감한다",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고 돌아간다", "처서날 비가오면 큰애기들이 울고간다" 등이 있는데, 처서에 오는 비를 처서비(處暑雨)라고 하는데 비가오면 벼이삭이 단단히 여물지 않기 때문에 처서비를 흉조로 여겼다. 또한 해충들은 더위에 극성을 부리는데 처서가 되면 더위가 한풀 꺾임으로써 해충의 피해가 적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처서(處暑)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이르기를 "秋三月 此爲容平 天氣以急 地氣以明 早臥早起 與鷄俱興 使志安寧 以緩秋刑 收斂神氣 使秋氣平 無外其志 使肺氣淸 此秋氣之應 養收之道也 逆之則傷肺 冬爲飱泄 奉藏者少." 라 하였다.
가을 석달은 용평(가을에 만물을 거두어들이고 다시는 성장하지 않는다는 뜻) 이라고 한다. 천기(天氣)는 급해지고 지기(地氣)는 밝아진다. 이때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되 닭과 함께 일어나며, 뜻을 편안하게 하여 쌀쌀한 가을의 기분을 완화 시키고, 신기(神氣)를 수렴하여 추기(秋氣)를 화평하게 하며, 뜻을 밖으로 두지 않아 잡념을 없애고 폐기(肺氣)를 맑게 한다, 이것이 추기에 맞게 거두는 것을 기르는 도(道)이다. 이를 거역하면 폐가 상하고 겨울에 손설(먹은 음식이 소화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배설되는 일,또는 그런 설사=손사)이 되어 저장을 돕는 것이 적어진다.
가을은 음력 7, 8, 9월에 해당하며, 절기 상 입추(立秋.양력 8월 8일)에서 상강(霜降.양력 10월 23일경)까지이다. 7월을 맹추(孟秋)라 하며 입추(立秋)와 처서(處暑) 두 절기가 속하고, 8월을 중추(仲秋)라 하며 백로(白露)와 추분(秋分) 두 절기가 속하고, 9월을 계추(季秋)라 하며 한로(寒露)와 상강(霜降) 두 절기가 속한다.
《처서(處暑) 절기 음식》
추어탕 . 애호박칼국수 . 복숭아 처서(處暑) 절기식(節氣食)으로는 추어탕과 애호박칼국수가 있으며, 처서의 과일로는 복숭아가 맛이 최고 좋을 때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추어탕은 원기를 회복하는데에 좋다하였으며, 복숭아는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만성피로증후군을 개선하며 니코틴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생활속의 선도수행 - "처서" 절기수행 - 가을철 생활선도
24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법은,
절기에 따른 올바른 섭생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가을은 오행(五行) 중 금(金)에 해당하는데, 금(金)는 수렴하는 기운이 강하다. 금(金)는 인체의 오장(五臟) 중 폐(肺)와 대장(大腸)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매운맛이다. 가을은 음력 7, 8, 9월에 해당하며, 입추(立秋)에서 상강(霜降) 까지이다. 음력 7월을 맹추(孟秋)라 하며 입추(立秋)와 처서(處暑) 두 절기가 속한다.(立秋 양력8월8일경). 음력 8월을 중추(仲秋)라 하며 백로(白露)와 추분(秋分) 두 절기가 속한다. 음력 9월을 계추(季秋)라 하며 한로(寒露)와 상강(霜降) 두 절기가 속한다. 음력 7월 15일 추석을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하는 것도 이러한 절기에서 비롯한다.
가을이 되면, 천지(天地)의 소리는 상성(商聲)을 내고 율(律)은 이칙(夷則)으로 바뀐다. 여름철의 화기(火氣)인 심장의 기운이 주인자리를 내놓고 폐의 금金 기운이 주관을 하게 된다. 쓴맛을 줄이고 매운맛을 늘려서 힘줄과 피를 보양함으로써 심장과 간, 비장, 위장의 힘을 길러주어 풍사 (風邪)가 침범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사람의 건강은 오행(五行)의 조화(調和)에 달려 있다. 가을이 되면 천지는 금(金)의 기운을 받게 되니, 천지만물은 성장을 멈추고 기운을 안으로 돌리며 장차 다가올 겨울에 대비하여 버릴 것과 취할 것을 가리게 된다. 식물들은 잎을 줄이고 수분을 저장하며, 동물도 양분을 저장하여 겨울에 대비하며, 사람 또한 봄, 여름의 활동에 대한 결과가 나타므로 자연히 상과 벌을 받는 형국에 이른다. 가을의 금기는 밖으로 향하는 기운을 내부로 돌리게 되며 죽이고 잘라내는 숙살지기(肅殺之氣)의 기운을 띠게 되므로, 수행자는 지난봄과 여름의 잘, 잘못을 되돌아보아 버릴 것을 가차(假借) 없이 버려야한다.
선교 수행대중의 선풍(仙風)을 숭상하는 청정수행으로 선교신앙의 향기가 세상에 널리 전해지기를 기원한다. 선교 수행자 선제(仙弟)들의 선풍(仙風)은 일심정회하는 수행의지의 발현이며 선교(仙敎) 교화선(敎化禪)의 향기이다.
_ 선교총림선림원 취정원사님 『생활선도 이야기』 중 발췌. *저작권관련, 무단사용을 금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처서절기를 맞이하여,
선교에서는 가을의 절기가 주관하는 폐(肺)를 건강하게 하는 "절기체조"와 "선도공법" 수련으로 이어집니다. 선교 수행대중은 취정원사께서 교유하신 선교수행 선도(仙道) 대중포덕 "24절기 선도수행" 선교 교화선 수행은, "24절기 절기백과" 에서 24절기 표, 24절기의 유래, 24절기날짜와 입절시각, 절기채조와 수행을 상세히 공부하며 실천하도록 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선교 #仙敎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seongyo.kr/
[작성 :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seongyokore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