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절기와 세시풍속 - 선림원 절기학교
망종 芒種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 까끄라기 씨앗 "보리는 베고 벼는 뿌리는" 여름 절기
망종 무렵은 까끄라기 종자 "벼"는 모내기를 끝내고, "보리"는 수확. 망종 즈음에는 한낮의 기온이 높이 올라가 한여름인듯 더워진다.
《망종(芒種)의 유래》
망종(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사이에 들며, 음력 4·5월, 양력 6월 6일 경이다.
망종(芒種)이란 벼·보리로 대표되는 까끄라기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말한다. 망종(芒種)에는 보리는 베어서 종자를 갈무리하고, 벼 종자는 다 자라서 모내기하기에 적당한 시기를 말한다. 옛말에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이라는 말도 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이 있듯이 망종(芒種)까지는 보리를 베고 보리밭을 갈무리해야 논에 물을 들여 모내기를 하고 밭갈이를 해서 다른 작물의 파종이 가능해진다. "망종 넘은 보리, 스물 넘은 비바리"라는 말이 있는데, 보리는 망종을 지나면 시들어지고 처녀는 스물을 넘기면 황금기가 지나 생리적으로 기울어 감을 말하는 것이다. 망종을 넘기면 초여름 장마에 농작물이 쓰러지는 수가 많다. 요즘은 비닐모판의 모 성장이 10일 정도 단축되었기에, 한 절기 앞선 소만(小滿) 절기에 모내기가 시작된다. 남쪽에서는 모내기와 보리 베기가 겹치는 이 무렵에 "발등에 오줌싼다"고 할만큼 1년 중 제일 바쁜 시절이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사마귀가 나오고,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는 울음을 멈춘다”고 하였다.
《망종(芒種) 절기의 풍습》
"보리그을음"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망종(芒種) 일에 아직 남아 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불에 그슬려 먹으면 이듬해 보리 농사가 잘 되어 보리가 잘 여물고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전한다.
"망종보기"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듬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음력 4월 내에 망종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되어 빨리 거두어들일 수 있으나 5월에 망종이 들면 그해 보리농사가 늦게 되어 망종 내에도 보리 수확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감자캐기" 망종 즈음이 되면 초 봄에 심어 두었던 감자를 캐기 시작한다. 보리를 수확하고 햇감자를 캐는 망종(芒種)은 보릿고개를 힘겹게 넘긴 농민들이 곡식 걱정을 한 숨 돌리는 시기다. 식량이 풍부해진 근래에는 하지감자라 하여 '하지'에 감자를 캐는 경우가 많다.
전라남도와 충청남도·제주도에서는 망종(芒種) 날에 하늘에서 "천둥" 이 요란하게 치면 그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여긴다. 경상남도 도서(島嶼)지방에서는 망종(芒種)이 늦게 들어도 안 좋고 빠르게 들어도 안 좋으며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한다. 망종 날 "풋보리 이삭" 을 뜯어 와서 손으로 비벼 보리 알을 모은 뒤 솥에 볶아 맷돌에 갈고 채로 쳐서 "보릿가루죽" 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제주도 지역에서는 망종이 일찍 들면 그해 보리가 좋고 늦게 들면 보리가 좋지 않다고 하며 또 이날 "우박" 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한다.
《망종(芒種)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夏三月, 此謂蕃秀, 天地氣交, 萬物華實.夜臥早起, 無厭於日, 使志無怒, 使華英成秀, 使氣得泄, 若所愛在外, 此夏氣之應, 養長之道也. 逆之則傷心, 秋爲痎瘧 奉收者少, 冬至重病.
여름 석 달, 이는 번수(蕃秀)라고한다. 천지(天地)의 기운(氣運)이 교감(交感)하여 만물(萬物)이 개화(開華)하고 결실(結實)한다. 밤에 늦게 잠자리에 눕고 일찍 일어나며, 햇볕을 피하지 말며, 지(志)가 노(怒)함이 없게 하여 정신(精神)의 화려하고 번성함이 빼어나게 하며, 기(氣)가 泄(설)함을 득(得)하게 하여 마치 아끼는 바가 밖에 있는 것 같이 할 것이다. 이것이 하기(夏氣)에 응(應)하여 장기(長氣)를 기르는 방법이다. 이를 거스르면 심(心)을 상(傷)하여 가을에 痎瘧(학질)이 되고, 수기(收氣)를 봉(奉)함이 적어져 겨울이 되면 거듭 앓게 된다. _ 『동의보감(東醫寶鑑)』
《망종(芒種) 절기 음식》
망종 무렵에는 "보리" , "햇감자" , "매실" , "오디" 를 먹는다. 수확을 바로 마친 보리는 맛이 달고 찰지다. 보리밥 · 보리떡은 소화가 잘되고 몸에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망종 즈음에는 감자를 캐는데 옛날에는 보리수확과 함께 감자를 캐어 보릿고개를 넘기고 식량이 풍부해지는 시기이다. 오디와 매실을 수확하는데, 오디는 검게 익은 것은 영양이 풍부하고 당도가 높아 아이들과 노인의 영양식으로 좋으며, 덜 익은 초록오디는 당뇨에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오디가 붉어지기 전에 익기 전에 수확하여 여린 잎과 함께 가루 내어 작은 수저로 2~3 정도 매일 복용하면 당뇨에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생활속의 선도수행 - "망종" 절기수행 - 여름철 생활선도
24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법은,
절기에 따른 올바른 섭생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여름은 오행(五行) 중 화(火)에 해당하는데, 화(火)는 확산하는 기운이 강하다. 화(火)는 인체의 오장(五臟) 중 심장(心臟)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쓴맛이다. 여름은 음력 4, 5, 6월에 해당하며, 입하(立夏)에서 대서(大暑) 까지(양력5.5~7.23일경)이다. 음력 4월은 맹하(孟夏)라고 하며 입하(立夏) 소만(小滿)이 속하고, 음력 5월은 중하(仲夏)라고 하며 망종(芒種) 하지(夏至)가 속한다. 음력 6월은 계하(季夏)라고 하며 소서(小暑) 대서(大暑) 절기가 속한다.
사람의 건강은 오행(五行)의 조화(調和)에 달려 있으므로 화기(火氣)가 너무 강성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화(火는) 열(熱)를 수반하게 되고, 열기의 확산은 필연적으로 내부(內部) 장기(臟器)를 냉(冷)하게 만들게 되므로, 지나치게 찬 음식을 즐기는 것을 자제하고, 종종 뜨거운 음식을 섭취하여 장기가 냉해지는 것을 막도록 해야한다.여름이 되면 천지는 화(火)의 기운을 받게 되니, 상승의 기운이 절정에 달하여 확산의 기운을 띠게 되어, 식물들은 잎이 무성해지고, 동물들은 번식하며, 사람의 기운 또한 외부로 향하게 되어 화려한 것을 좋아하게 되고 타인의 눈을 의식하게 되어 자칫 실속이 없어질 수 있으므로 수행자는 고요히 자신을 들여다보는 참선과 명상의 시간을 자주 갖도록 해야 한다. 선교 수행대중은 선풍(仙風)을 숭상하는 청정수행으로 선교신앙의 향기가 세상에 널리 전해지기를 기원한다. 선제들의 선풍은 일심정회하는 수행의지의 발현이며 선교(仙敎) 교화선(敎化禪)의 향기이다.
_ 선교총림선림원 취정원사님 『생활선도 이야기』 중 발췌. *저작권관련, 무단사용을 금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망종절기를 맞이하여,
선교에서는 여름의 절기가 주관하는 심장(心臟)을 건강하게 하는 "절기체조"와 "선도공법" 수련으로 이어집니다. 선교 수행대중은 취정원사께서 교유하신 선교수행 선도(仙道) 대중포덕 "24절기 선도수행" 선교 교화선 수행은, "24절기 절기백과" 에서 24절기 표, 24절기의 유래, 24절기날짜와 입절시각, 절기채조와 수행을 상세히 공부하며 실천하도록 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선교 #仙敎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seongy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