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분(春分)의 유래 》 춘분(春分)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21일경, 태양이 태양이 황경 0° 위치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節氣)로 한국에서는 대개 입춘(立春)부터 봄이라고 생각하지만 유럽은 춘분(the spring equinox) 부터 봄으로 여긴다. 아직은 꽃샘추위가 남아 밤낮의 기온차가 크지만, 꽃샘추위 속에서도 봄꽃이 만발하고 한낮에는 봄 햇살이 따스해 봄나들이가 시작된다. 특히 남쪽지방에서는 매화와 벚꽃이 만발하고 개나리와 진달래가 피기 시작하는 등 봄날의 정취가 완연하다. 『중종실록』에는 춘분을 기점으로 흉사(凶事)를 처리하는 일은 춘분 전(前)에 마치도록 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춘분절에 즈음하여 새로운 봄기운을 맞이하고 나라의 종사(宗社)와 백성의 농사(農事)를 길상(吉祥)하도록 배려한 기록들로 보인다. 부정(不淨)하고 불길(不吉)한 일들을 춘분 전에 해결하고 새롭게 만물이 활기차게 소생하는 춘분절기를 맞으려는 깊은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고려사』 사한조(司寒條)에 "고려 의종 때 의식으로 맹동과 입춘에 얼음을 저장하거나 춘분에 얼음을 꺼낼 때 사한단(司寒壇)에서 제사한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춘분절기가 되면 한낮에는 간혹 더운 기운이 생기고 햇살이 따사로와 이날부터 얼음을 꺼내 썼던 것을 알 수 있다.
춘분날 날씨를 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 가뭄과 홍수를 점치는 풍습이 있었다. 《증보산림경제》 15권에 옛사람들은 "해가 뜰 때 정동(正東) 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에 적당하여 보리 풍년이 들고, 만약 청명하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열병이 많다"고 믿었다. 춘분에 동풍(東風)이 불면 보리 풍년이 들며, 서풍(西風)이 불면 보리가 귀하며, 남풍(南風)이 불면 오월 전에는 물이 많고 오월 뒤에는 가물며, 북풍(北風)이 불면 쌀이 귀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풍습은 자연과학 측면에서 살펴볼 때 기후를 살펴 농사를 준비하는 매우 현명한 관찰법이었다.
춘분(春分)을 즈음하여 농가에서는 본격적인 농사준비에 바쁜데 농사의 시작인 논밭을 첫 번째로 가는 일인 '애벌갈이'를 엄숙하게 행하여야만 한 해 동안 걱정 없이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춘분날을 '머슴날' 이라하여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대접하고 일년 농사를 부탁하기도 하였습니다. 춘분날은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로 농사일이 바빠지는 시기이다. 겨울철에 얼었다 땅이 풀리면서 연약해진 논두렁과 밭두렁이 무너지는 것을 막으려고 말뚝을 박기도 하고 하늘바라기논(천수답)처럼 물이 귀한 논에서는 물받이를 준비했습니다.
春三月此謂發陳天地俱生萬物以榮夜臥早起廣步於庭被髮緩形以使志生生而勿殺予而勿奪賞而勿罰此春氣之應養生之道也逆之則傷肝夏爲寒變奉長者少 "봄철 3달은 발진(發陳) 이라고 한다. 천지 간에 생기가 다 발동하여 만물이 소생하고 번영한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뜰을 거닐며 머리를 풀고 몸을 편안하게 늦추어 주며 마음을 유쾌하게 하며 생겨나는 만물에 대해서는 그 생장을 도와주고 죽이지는 말며 주기는 하면서 빼앗지는 말며 상은 주되 벌은 주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봄철에 맞게 양생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간(肝)을 상하고 여름에 가서 철이 아닌 추위가 와서 자라게 하는 힘[奉長]이 적어진다" _ 『동의보감(東醫寶鑑)』
《 춘분(春分) 절기 음식 》 경칩과 춘분 즈음에는 고로쇠수액을 마시는 풍습이 있습니다. 고로쇠수액은 골리수(骨利水)라고 하여 위장과 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전합니다. 춘분에는 나뭇가지에 촉촉하게 물이 오르고 쑥과 냉이, 돌미나리, 머위순 등이 돋아나 미각을 풍부하게 합니다. 지방에 따라서는 콩을 볶아서 먹는데 콩을 볶는 이유는 곡식을 축내는 새와 쥐를 없애기 위한 풍습으로 전한다. 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봄은 오행(五行) 중 목(木)에 해당한다. 목(木)은 성장하는 기운이 강하다. 오장 중 간(肝)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신맛이므로 봄철 나물을 새콤하게 무쳐먹는 것은 목기(木氣)를 보충하여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가 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춘분절기를 맞이하여, 선교에서는 봄의 절기가 주관하는 간(肝)을 건강하게 하는 "절기체조"와 "선도공법" 수련으로 이어집니다. #선림원 #절기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선교 #仙敎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seongyo.kr/ [작성 :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seongyokorea@hanmail.net |
첫댓글 일심정회합니다...()
일심정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