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호 |
신라본기 재위기 (先王과의 관계) |
신라사초 재위기 (先王과의 관계) |
생몰년 (신라사초) |
5. 파사이사금 |
A.D.80~A.D.112 (유리의 아들) |
A.D.126~A.D.158 (유리의 아들) |
? ~ A.D.158.10(壽 ?) |
6. 지마이사금 |
A.D.112~A.D.134 (파사의 아들) |
A.D.159~A.D.191 (파사의 아들) |
A.D.131.3 ~ A.D.191.8.(壽 61) |
7. 일성이사금 |
A.D.134~A.D.154 (유리의 아들) |
A.D.192~A.D.212 (남해의 손자) |
A.D.135.8.5 ~ A.D.212.2.(壽 78) |
8. 아달라이사금 |
A.D.154~A.D.184 (일성의 아들) |
A.D.213~A.D.243 (일성의 아들) |
A.D.180.9. ~ A.D.243.5.(壽 64) |
9. 벌휴이사금 |
A.D.184~A.D.196 (탈해의 손자) |
A.D.244~A.D.256 (석추의 아들) |
A.D.189.4. ~ A.D.256.4.(壽 68) |
10. 내해이사금 |
A.D.196~A.D.230 (벌휴의 손자) |
A.D.257~A.D.291 (벌휴의 손자) |
A.D.230.4. ~ A.D.291.3.(壽 62) |
11. 조분이사금 |
A.D.230~A.D.247 (벌휴의 손자) |
A.D.292~A.D.309 (벌휴의 손자) |
A.D.254.8. ~ A.D.329.2.(壽 76) |
12. 첨해이사금 |
A.D.247~A.D.261 (조분의 동복아우) |
A.D.310~A.D.324 (조분의 동복아우) |
A.D.274.1. ~ A.D.324.12.28.(壽 51) |
13. 미추이사금 |
A.D.262~A.D.284 (구도의 아들) |
A.D.325~A.D.349 (구도의 아들) |
A.D.292. ~ A.D.362.10.(壽 71) |
14. 유례이사금 |
A.D.284~A.D.298 (조분의 아들) |
A.D.350~A.D.364 (조분의 아들) |
A.D.306.1. ~ A.D.367.2.(壽 62) |
15. 기림이사금 |
A.D.298~A.D.310 (조분의 손자) |
A.D.364~A.D.370 (조분의 손자) |
A.D.330.4. ~ A.D.372.6.(壽 43) |
16. 흘해이사금 |
A.D.310~A.D.356 (내해의 손자) |
A.D.370~A.D.377 (내해의 손자) |
A.D.329.8. ~ A.D.392.5.(壽 64) |
17. 내물이사금 |
A.D.356~A.D.402 (말구의 아들) |
A.D.377~A.D.402 (말구의 아들) |
A.D.350.3. ~ A.D.402.2.7.(壽 53) |
18. 실성이사금 |
A.D.402~A.D.417 (대서지의 아들) |
A.D.402~A.D.417 (대서지의 아들) |
A.D.359.6. ~ A.D.417.5.(壽 59) |
19. 눌지마립간 |
A.D.417~A.D.458 (내물의 아들) |
A.D.417~A.D.458 (내물의 아들) |
A.D.387.1. ~ A.D.458.8.20.(壽 72) |
20. 자비마립간 |
A.D.458~A.D.479 (눌지의 아들) |
A.D.458~A.D.479 (눌지의 아들) |
A.D.414.3. ~ A.D.479.2.3.(壽 66) |
21. 소지마립간 |
A.D.479~A.D.500 (자비의 아들) |
A.D.479~A.D.500 (자비의 아들) |
A.D.436.5. ~ A.D.500.11.5.(壽 65) |
22. 지증왕 |
A.D.500~A.D.514 (습보의 아들) |
A.D.500~A.D.514 (습보의 아들) |
A.D.437.10. ~ A.D.514.7.(壽 78) |
23. 법흥왕 |
A.D.514~A.D.540 (지증의 아들) |
A.D.514~A.D.540 (지증의 아들) |
A.D.480.2.10. ~ A.D.540.7.(壽 61) |
【백제본기와 남당유고 백제왕기 기년 비교】
묘호 |
백제본기 재위기 (先王과의 관계) |
백제왕기 재위기 (先王과의 관계) |
생몰년 (백제왕기) |
0. 우대왕 |
|
B.C.47.1~B.C.41.1(우태) 해부루의 서손 |
? ~ B.C.41.1 |
기 록 없 음 |
B.C.41.5~B.C.37.1(소서노) 연타발의 딸 |
B.C.66 ~ B.C.6.2(壽61) | |
|
B.C.37.1~B.C.19.9(주몽) 소서노의 繼夫 |
B.C.58 ~ B.C.19.9(壽40) | |
1. 온조왕 |
B.C.18.5~A.D.28.2 주몽의 아들 또는 우태의 아들 |
B.C.18.1~B.C.2(비류) 우태의 아들 |
B.C.47 ~ B.C.2(壽46) 고구려사초 A.D.1.5 薨 |
B.C.2~A.D.28.2(온조) 우태의 아들 |
B.C.44.3 ~ A.D.28.2(壽72) | ||
2. 다루왕 |
A.D.28.2~A.D.77.9 온조의 아들 |
不明 |
不明 |
3. 기루왕 |
A.D.77.9~A.D.128.11 다루의 아들 |
A.D.137~A.D.188 |
? ~ A.D.188 |
4. 개루왕 |
A.D.128.11~A.D.166 기루의 아들 |
A.D.188~A.D.188.12 기루의 아들 |
? ~ A.D.188.12 |
4-1. 구지왕 |
기록 없음 |
A.D.188.12~A.D.226.5 기루의 아들 |
A.D.155 ~ A.D.226.5(壽72) |
5. 초고왕 |
A.D.166~A.D.214.10 개루의 아들 |
A.D.226.5~A.D.254.1 구지의 아들 |
A.D.214.4 ~ A.D.274.10(壽61) |
6. 구수왕 |
A.D.214.10~A.D.234 초고의 아들 |
A.D.254.1~A.D.264.6 초고의 아들 |
A.D.230.8 ~ A.D.264.6(壽35) |
7. 사반왕 |
A.D.234~A.D.234 구수의 아들 |
- |
? ~ A.D.266.2 |
8. 고이왕 |
A.D.234~A.D.286.11 개루의 아들 |
A.D.264.6~A.D.286.11 초고의 同母子 |
A.D.235.1 ~ A.D.286.11(壽52) |
9. 책계왕 |
A.D.286.11~A.D.298.9 고이의 아들 |
A.D.286.11~A.D.298.9 고이의 아들 |
? ~ A.D.298.9 |
10. 분서왕 |
A.D.298.9~A.D.304.10 책계의 아들 |
A.D.298.9~A.D.304.10 책계의 아들 |
? ~ A.D.304.10 |
11. 비류왕 |
A.D.304.10~A.D.344.10 구수의 아들 |
A.D.304.10~A.D.344.10 구수의 아들 |
? ~ A.D.344.10 |
12. 계왕 |
A.D.344.10~A.D.346.9 분서의 아들 |
A.D.344.10~A.D.346.9 분서의 아들 |
? ~ A.D.346.9 |
13. 근초고왕 |
A.D.346.9~A.D.375.11 비류의 아들 |
A.D.346.9~A.D.375.11 비류의 아들, 분서의 母弟 |
? ~ A.D.375.11 |
14. 근구수왕 |
A.D.375.11~A.D.384.4 근구수의 아들 |
A.D.375.11~A.D.384.4 근구수의 아들 |
? ~ A.D.384.4 |
15. 침류왕 |
A.D.384.4~A.D.385.11 근구수의 아들 |
A.D.384.4~A.D.385.11 근구수의 아들 |
A.D.351.7 ~ A.D.385.11(壽35) |
【고구려본기와 남당유고 고구려사초(략) 기년 비교】
묘호 |
고구려본기 재위기 (先王과의 관계) |
고구려사초(략) 재위기 (先王과의 관계) |
생몰년 (남당유고) |
1. 추모왕 |
B.C.37 ~ B.C.19.9 (해모수의 아들) |
B.C.37~B.C.19.4 (해모수의 아들) |
B.C.58 ~ B.C.19.4(壽40) |
2. 유리명왕 |
B.C.19.9~A.D.18.10 (추모의 아들) |
B.C.19.9~A.D.28.10 (추모의 아들) |
B.C.40.7 ~ A.D.28.10(壽69) |
유리명왕의 몰년(沒年)은 고구려본기의 기록이 옳다고 생각됨. A.D.18~A.D.28년간에 계루부의 출신이며 고(高)씨 왕이 즉위 재사태자의 부친이며 태조왕의 조부로 온조로 추정(본문 참조) | |||
3. 대무신왕 |
A.D.18.10~A.D.44.10 (유리의 아들) |
A.D.28.10~A.D.64.10 (유리의 아들) |
A.D.4.2. ~ A.D.64.10.(壽61) |
4. 민중왕 |
A.D.44.10~A.D.48 (유리의 아들) |
A.D.64.10~A.D.68.5 (유리의 아들) |
A.D.7.4. ~ A.D.68.5.(壽62) |
5. 모본왕 |
A.D.48~ A.D.53.11 (무휼의 아들) |
A.D.68.5~A.D.73.11 (무휼의 아들) |
A.D.40.11. ~ A.D.73.11.(壽34) |
신명선제 (재사) |
기록 없음 (유리의 아들) |
A.D.73.11~A.D.112.5 (유리 혹은 무휼 아들) |
A.D.48.4. ~ A.D.121.2.(壽74) |
재사태자의 부모가 유리명왕과 갈사왕 해소의 딸, 혹은 대무신왕과 갈사왕 산해의 딸이라고 두 가지로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사초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며 호동(好童)태자의 아우라고 기록하였으나, 대무신왕이 모본(慕本)이 불초함을 알고 개과(改過)하기를 기다려 전위(傳位)하라는 유명을 남겼다면, 재사태자를 후계자로 삼지 않을 연유가 없다. 본기신편열전 갈사태후열전, 호동태자열전에 의하면 해소가 갈사태후를 보내어 잠시 친하게 되었으며(동부여가 고구려에 사신을 보낸 A.D.20년으로 생각된다), 갈사태후는 처음에 유리명왕과 사이에서 재사를 낳았다고 하였다. 또 해소가 죽음에 임하여 해루를 보냈다고 하였는데 백제본기에는 A.D.23년의 일이다. 후한서 동이열전에는 A.D.121년에 고구려 왕 궁(宮)이 죽어 후한(後漢)의 조정에서 조문을 보냈으며, 가을에는 궁(宮)이 현토를 포위하였다는 모순되는 기록이 있는 것은 실제로는 재사(再思)의 사망을 착오한 것이다. 재사(再思, 신명선제)의 생몰년은 A.D.22.~A.D.121.2.(壽100)로 추정한다. | |||
6. 태조왕 |
A.D.53.11~A.D.146.12 (재사의 아들, 高宮) |
A.D.112.5~A.D.146.12 (재사의 아들) |
A.D.68 ~ A.D.165.3.(壽98) |
7. 차대왕 |
A.D.146.12~A.D.165.10 (재사의 아들, 壽95) |
A.D.146.12~A.D.165.10 (재사의 아들) |
A.D.71 ~ A.D.165.10.(壽95) |
8. 신대왕 |
A.D.165.10~A.D.179.12 (재사의 아들) |
A.D.165.10~A.D.179.12 (재사의 마복자) |
A.D.121.1. ~ A.D.179.12.(壽59) |
※ 대무신왕의 생년은 삼국사기와 남당유고가 일치하나 몰년이 20년 차이가 남, 삼국시기를 기준으로 호동(대무신왕의 아들)의 사망 당시 대무신왕은 29세, 호동은 10세 전후이나, 남당유고에 의하면 대무신왕은 57세, 호동은 28세임.
※ 태조왕의 생몰년은 고구려본기 기준으로는 A.D.47~A.D.165.3.(壽119)임.
※ 신대왕의 생몰년은 고구려본기 기준으로는 A.D.89~A.D.179.12.(壽91)임.
첫댓글 저는 이곳에서 활동한 공로가 없으며 준회원에 불과한데, 원고를 모집한다는 쪽지를 받았습니다.
과연 제가 이곳에 글을 올릴 공로가 있었던가. 이곳의 카페의 성향과 나는 불일치하는 것이 아닌가. 여러번 고민하다가 글을 올립니다.
본래는 앞부분에 남당 박창화 선생을 소개하는 글이 있고, 유고의 검증에 관한 글도 있으나, 아직 선생의 유족을 만나서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지 못하였기에, 현재까지 국사편찬위원회에 공개된 파일을 근거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초기왕의 재위기를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이제부터라도 활동 많이해주시고,등급신청서작성하셔서 등급도 올려주세요. 추천은 모두 하실 수 있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