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世 |
名 |
호 (공적) |
1 |
혁거세 (王) |
서라벌은 기름지고 풍요로운 땅이었다. 이 곳에는 여섯 마을이 촌장을 중심으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이 여섯 마을을 '진한의 6부'라고 하였다.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을 뽑는 회의를 하던 중 양산 촌의 「나정」이라는 우물 가 숲 속에서 찬란한 빛이 내리 뻗더니 그 곳에서 흰 말 한 필이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양산 촌의 촌장 '소벌공'이 가까이 가보니 말은 울음소리를 내며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자리에는 큰 알이 한 개 놓여져 있었다. 알에 손을 대자 껍질이 깨지며 아주 잘 생긴 사내아이가 나왔다. 여섯 촌장들은 아기를 꺼내어 깨끗이 씻었는데 몸에서는 광채가 났다. 아기는 고허 촌의 촌장 '소벌도리'에 의해 길러졌고 박처럼 큰 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은 "박", 이름은 나라를 밝게 비추어 준다고 하여 "불구내"라고 하였다. 그후 한참 뒤 빛난다의 뜻을 지닌 "혁"과 세상에 있다는 뜻의 "거세"로 바꾸어 이름을 "혁거세"라 하였다. 바로 이 날 사량리 알영이라는 우물가에서는 계룡 한 마리가 나타나 오른편 겨드랑이 갈비뼈 밑으로 여자아이를 낳았다. 얼굴은 유달리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한 할머니가 월성 북쪽 냇가에 가서 목욕을 시켰더니 그 부리가 빠져 너무나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되었다. 아이 이름을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고 하였다. 혁거세는 후에 알영과 결혼하여 신라를 다스리게 되었다. 6부 촌장들은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 하고 임금을 '거서간'(왕 또는 귀인이라는 뜻)이라 불렀다. 이때가 혁거세 나이 13세, 기원전 57년이었다.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을 뽑는 회의를 하던 중 양산 촌의 「나정」이라는 우물 가 숲 속에서 찬란한 빛이 내리 뻗더니 그 곳에서 흰 말 한 필이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양산 촌의 촌장 '소벌공'이 가까이 가보니 말은 울음소리를 내며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자리에는 큰 알이 한 개 놓여져 있었다. 알에 손을 대자 껍질이 깨지며 아주 잘 생긴 사내아이가 나왔다. 여섯 촌장들은 아기를 꺼내어 깨끗이 씻었는데 몸에서는 광채가 났다. 아기는 고허 촌의 촌장 '소벌도리'에 의해 길러졌고 박처럼 큰 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은 "박", 이름은 나라를 밝게 비추어 준다고 하여 "불구내"라고 하였다. 그후 한참 뒤 빛난다의 뜻을 지닌 "혁"과 세상에 있다는 뜻의 "거세"로 바꾸어 이름을 "혁거세"라 하였다. 바로 이 날 사량리 알영이라는 우물가에서는 계룡 한 마리가 나타나 오른편 겨드랑이 갈비뼈 밑으로 여자아이를 낳았다. 얼굴은 유달리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한 할머니가 월성 북쪽 냇가에 가서 목욕을 시켰더니 그 부리가 빠져 너무나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되었다. 아이 이름을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고 하였다. 혁거세는 후에 알영과 결혼하여 신라를 다스리게 되었다. 6부 촌장들은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 하고 임금을 '거서간'(왕 또는 귀인이라는 뜻)이라 불렀다. 이때가 혁거세 나이 13세, 기원전 57년이었다. |
2 |
남해차차웅 王 |
남해 차차웅 ?∼24 신라 제2대, 재위 4∼24 혁거세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알영부인(閼英夫人)이고, 비는 운제부인(雲帝夫人) 또는 아루부인(阿婁夫人)이다. 누이동생으로 아로(阿老)가 있다. 차차웅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왕은 남해왕 뿐이며 《삼국유사》에는 거서간(居西干)과 동격의 의미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 《삼국사기》에는 차차웅을 자충(慈充)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무(巫)를 의미하는 신라 방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남해왕 때는 정치 수장적 성격보다는 제사장적 기능이 강하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서기 6년에 시조묘(始祖廟)를 세우고 8년 탈해가 어질다 하여 맏딸로 아내를 삼게 하였으며, 또 대보(大輔)의 벼슬을 주어 나라의 일을 맡겼다. 14년 왜(倭)와 낙랑(樂浪)의 침입을 막았으며, 재위 21년에 죽어 사릉원(蛇陵園)에 장사지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
3 |
유리이사금 王 |
노례이사금(弩禮尼師今)이라고도 한다. 남해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다. 비(妃)의 이름은 알 수 없고, 일지갈문왕(日知葛文王)의 딸 박씨,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 또는 사요왕(辭要王)의 딸이라는 세가지 설이 있으나, 일지갈문왕의 딸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이사금이라는 왕호는 이질금(尼叱今), 치질금(齒叱今)이라고도 쓰는데, ‘잇금〔齒理〕’을 의미하는 신라 방언이라는 전통적 해석이 있으나 정확한 뜻은 알 수 없다. 사회적으로 이사금시대 왕의 성격은 부족연맹장(部族聯盟長)이라는 설이 있으나, 어떻든 종래의 거서간(居西干)시대보다는 문물제도면에서 향상된 시대였음은 인정할 수 있다. 28년에 〈도솔가 兜率歌〉를 지었고, 32년에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 최(崔), 손(孫), 정(鄭), 배(裵), 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하나 이때에 된 것은 아닌듯하다. 6부의 여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길쌈을 짜게 하여 8월 15일에 그 많고 적음을 보아 승부를 결정짓는 가배(嘉俳)놀이를 시켰는데, 이때 부른 노래가 〈회소곡 會蘇曲〉이었다. 낙랑(樂浪), 화려(華麗), 불내(不耐) 등의 사람들이 북변을 쳐들어 왔으며, 맥국(貊國)과 우호관계를 맺었다. 《삼국사기》에서는 40년에 이서국(伊西國:지금의 淸道)을 멸하였다고 하였으나 이것은 14대 유례이사금의 기사가 착오(錯誤)된 것이라 한다. 재위 34년 되던 해에 탈해(脫解)의 재능이 그의 두 아들보다 뛰어남을 들어 왕위를 잇게 하고 죽어, 사릉(蛇陵)에 장사지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
4 |
|
유리왕(儒理王)의 맏아들로 비(妃)는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이다. 원래의 칭호는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이며, 일지갈문왕(日知葛文王)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말갈족의 침입을 자주 받아 국력의 소모가 심하였는데, 농사를 장려하여 제방을 수축하고 전지(田地)를 개간하는 등 농정에 진력하였다. 또 민간에서 금은주옥(金銀珠玉) 등의 사치품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
5 |
원명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일성왕(逸聖王)의 맏아들. 어머니는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 박씨. 비(妃)는 지마왕(祗摩王)의 딸 내례부인(內體夫人) 박씨. 157년 처음으로 감물(甘勿) ·마산(馬山)의 두 현을 두고 죽령(竹嶺)의 길을 열었다. 165년 아찬 길선(吉宣)이 모반하였다가 백제로 달아나자 왕은 그의 송환을 요구하였으나 백제에서 응하지 않아 두 나라의 사이가 나빠졌다. 167년 백제가 신라 서쪽의 두 성을 격파하여 1000여 명의 백성을 잡아가자 군사 2만과 왕 스스로 8000기(騎)를 거느리고 나갔는데, 백제는 포로들을 석방하고 화친을 청하였다. 174년 왜국의 여왕 히미코[卑彌呼]가 사신을 보내왔다. .
사적 제219호. 신라의 박씨 왕인 제8대 아달라왕(阿達羅王), 제53대 신덕왕(神德王),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삼릉이다. 능(陵)의 형식은 규모가 큰 원형 토분(土墳)이며, 표식(表飾)은 하나도 없고, 상석(床石)이 하나 있으나 이것은 최근에 설치한 것이다. 중앙에 위치한 신덕왕릉은 1953년과 1963년 2차례에 걸쳐 조사되어 내부 구조가 밝혀졌는데, 널길[道]을 갖춘 석실(石室)이 있고, 석실 내부는 회(灰)를 칠하였다. 또한 밑에서 1.4m 높이까지 2단으로 방형(方形) 구획을 만들고, 그 안에 황(黃) ·백(白) ·주(朱) ·청(靑)의 채색을 한 흔적이 있다. | |
6 |
碧芳 벽방 |
封 : 葛文王 (봉 : 갈문왕) |
7 |
無影 무영 |
前山君 전산군 配, 李氏 |
8 |
瓣得 판득 |
朝里君 조리군 配, 全氏. |
9 |
光欽 광흠 |
大誕君 대탄군 配, 昔氏. |
10 |
美一 미일 |
山西君 산서군 配, 駕洛가락金氏. |
11 |
乃物 내물 |
水道侯 수도후 配, 丁氏,昔氏. |
12 |
相建 상건 |
蛋山侯 단산후 配, 金氏 |
13 |
鱗葉 인엽 |
大川君 대천군 配, 金氏 9 남1녀. 墓 : 浪山丑坐 配, 秋氏 |
14 |
啓輔 계보 |
大司侯 대사후 配, 山西趙氏.昔氏. |
15 |
明信 명신 |
水侯 수후 配, 康氏, 墓 : 浪山丑坐 金氏. 墓 : 東山亥坐 |
16 |
貞環 정환 |
狼侯 랑후 配, 秋氏 |
17 |
老겸 노겸 |
隱逸君 은일군 配, 汶백金氏. |
18 |
楠善 남선 |
擧山君 학산군 配, 山西李氏. |
19 |
金山 금산 |
禮始君 예시군 配, 浦主李氏. |
20 |
應燦 응찬 |
渤海君 발해군 配, 前七文氏. |
21 |
德興 덕흥 |
安定大君 안정대군 配, 延山趙氏. |
22 |
大寧 대녕 |
隱逸郡 은일군 配, 단양李氏. |
23 |
尼淳 니순 |
狼侯君 양후군 配, 汀浦崔氏. |
24 |
隆劒 강일 |
碧山君 벽산군 配, 汀浦崔氏. |
25 |
之坤 지곤 |
水浦大君 수포대군 配, 洛山金氏. |
26 |
成順 성순 |
東山大君 동산대군 |
27 |
宣聖王 선성왕 |
|
28 |
神德王 신덕왕 |
휘(諱)는 경휘(景暉)이시고, 신라 제53대 왕이시다. |
29 |
景明王 경명왕 |
휘는 승영(昇英/?∼924)이시고, 신라 제54대 왕이시다. |
30 |
彦침 언침 |
언침(彦침: 밀성대군): 신라 54대 경명왕(景明王: 赫居世王의 29세)의 장남으로 태어나 밀성대군에 봉군되었고 후손들이 밀양(密陽)을 본관(本貫)으로 세계(世系)를 이어온 혈통의 씨족(氏族)이다. 대군이 밀성군으로 봉군된 후 자손이 살아온지 천년에 지파가 번창하고 이름난 재상과 선비가 많이 탄생하였으며 한 나라안에 아주 큰 씨족이 되었으며 대군이 아우 七人과 같이 봉군된 사실은 신라사기에 실려있다. 단기4255(1922)년 팔도 성손들이 모여 원덕사를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구룡골)에 세우고 대군 후예인 12 중조와 21위를 배향하였고, 단기4259년 을축년에 밀양시 영남루 언덕에 단(壇: 제단)을 만들고 단기4261년 정묘년 밀양시 무안리에 삼한 벽공도 대장군 휘욱(郁)과 요동 독포사 란(瀾)의 3대 조(3代 祖)를 제사하니 이곳을 경덕단과 만운재라고 한다 |
31 |
郁 욱 |
大將軍 경명왕(景明王)의 손자(孫子)이시며, 밀성대군(密城大君) 언침의 아드님이시다. |
32 |
欄 난 |
督捕使 밀성대군(密城大君) 언침의 손자이시며, 대장군(大將軍) 욱(郁)의 아드님이시다. |
33 |
營庭 영정 |
參知政事 고려 때 한림학사(翰林學士)와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시었다 |
34 |
其서 기서 |
고려 때 합문지후(閤門祗侯)를 지내시었다. |
35 |
施做 시주 |
고려(高麗)에서 보문각시제(寶文閣侍制)를 지내시고, 이부시랑(吏部侍郞)으로 중국(中國)에 다녀오시어,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시었다. |
36 |
讚行 찬행 |
門下侍中 참지정사(參知政事) 영정(永禎)의 증손(曾孫). |
37 |
彦孚 언부 |
密城府院君 밀성부원군 (密城府院君), 찬행(讚行)의 맏아드님이시다. |
38 |
孝臣 효신 |
文翼公 시호(諡號)는 문익(文翼), 밀성부원군 (密城府院君) 언부(彦孚)의 장남이시다. |
39 |
公弼 공필 |
忠烈公 시호(諡號)는 충렬(忠烈), 평장사(平章事) 효신(孝臣)의 아드님이시다. |
40 |
育和 육화 |
공필(公弼)의 둘째아드님이시다. |
41 |
允恭 윤공 |
內侍中 고려 때 내시중(內侍中)을 지내시었다. |
42 |
光澧 광례 |
윤공(允恭)의 둘째아드님이시다. |
43 |
有效 유효 |
|
44 |
興 |
|
45 |
고려의 문신으로, 密城君(밀성군) 惟孝(유효)의 손자이며, 密城君(밀성군) 興의 아들이다. 司憲府 糾正(사헌부 규정)과 太師(태사)를 지냈으며, 道學(도학).文章(문장).節義(절의)로 당세에 이름이 높았다. 糾正公派(규정공파)의 派祖(파조)로 시호는 武烈(무열)이며, 沃川(옥천)의 遠德祠(원덕사)에 祭享(제향)되었다. 受敎忠節錄(수교충절록)에서는 "...東方道學(동방도학)의 祖宗(조종)... 崇義殿(숭의전) 孔子廟(공자묘)에다 같이 제사하기를...高麗太師代死功臣(고려태사대사공신) 淸白吏(청백리) 糾正公(규정공) 朴 鉉(박 현)...文成公(문성공) 安裕(안유).文憲公(문헌공) 崔沖(최충) 등과 한 몸이다..."라고 공을 극찬하고 있다. | |
46 |
文有 문유 |
佐郞公 좌랑공 고려 때 문과(文科)에 급제, 전리좌랑(典理佐郞)을 거쳐, 경주판관(慶州判官) 3품(品)을 지내셨다. |
47 |
思敬 사경 |
上將軍 상장군 文有(문유)의 장남이시다. |
48 |
枕 침 |
典書公 전서공 思敬(사경)의 외아드님이시다. |
49 |
剛生 강생 副提學公 부제학공 |
己酉(기유=1369, 공민왕18)生으로 호조전서(戶曹典書) 침의 둘째 아들. |
50 |
切文 절문 |
正字公 정자공 剛生(강생)의 둘째 아드님으로, 문과(文科) 권지교서(權知校書)를 지내시었다. |
51 |
仲孫 중손 |
恭孝公 공효공 切問(절문)의 둘째 아드님이시다. |
52 |
楗 건 恭簡公 공간공 |
자는 자계(子啓), 시호(諡號)는 공간(恭簡), 응천군(凝川君) 중손(仲孫)의 아들. 1453년(단종 1)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집현전수찬(集賢殿修撰)이 되고, 교리(校理)를 거쳐 사정(司正)을 지냈다. 1455년(세조 1)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이 되었고, 사인(舍人)·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거쳐 1468년(예종 즉위) 수전라도관찰사(守全羅道觀察使), 이듬해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에 오르고 1472년(성종 3) 진하부사(進賀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후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거쳐 1477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1479년 황주선위사(黃州宣尉使), 이듬해 반송사(伴送使), 1483년(성종 14)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다음해 평안도 관찰사, 대사헌, 2년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1492년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 1495년(연산군 1) 우참찬(右參贊)으로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를 겸하여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했고, 형조 판서 우찬성(右贊成)을 거쳐 좌찬성(左贊成)으로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다. 1504년(연산군 10) 폐비(廢妃) 윤씨의 추시(追諡)를 반대하다가 함경도 관찰사로 좌천, 1506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가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 등과 반정(反正)에 참여, 중종을 추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이 되고 밀산군(密山君)에 봉해졌으며, 이듬해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 뒤에 좌찬성·영경연사(領經筵事)를 지냈다
공간공 묘(경기 양주군) |
53 |
承燧 승수 參知公 참지공 |
上代 宗嗣계통을 承奉함. 蔭階가 通政大父이시고 관직은 병조參知(참지)와 外職은 임실현감이 시다. 공간공보다 앞서 돌아가시니 기일은 5월 4일이시다. 墓 : 공간공 東便 비석있음 配, 淑夫人 파평尹氏 . 아버지는 司直俊童. 忌. 10월6일 配, 沃溝張씨. 忌.7월9일 3남 3녀. 묘, 공간공묘 우편 |
54 |
葵 규 |
字 : 叔向 . 中宗朝 1519년 에 進士하시고 관직으로 曺儲倉守(조저창수)와 高陽郡守을 역임하시 고 73세에 卒 하시다. 墓 : 조부 恭簡公 後子坐에 비석있음. 配, 叔人 양주趙씨이시니 父는 縣監 壽堅(현감 수견) 증조부는 司直瓚, 고조부는 대제학 文簡公號社谷 . 忌 : 10월10 일 墓, 楊州 合墳 |
55 |
玉元 옥원 |
字 : 汝美 .郡守 生 : 1506 년. 중종原年(丙寅). 忌 : 1598년 4 월 9일(戊戌) 配, 林川調氏 . 父 士郞(사랑). 生 : 1513년 忌 : 1578년10월17 일 |
56 |
思劍 사검 |
字 : 淳和. 禦侮(어모)將軍 生 : 1528 년 4월 7일.중종23년 (戊子). 忌 :1572년6월6일 配, 天安盧氏 父 泰世 . 生 : 1527 년 忌 : 1574년 9월10 일 |
57 |
禮立 예립 |
武科 現信校尉守 訓鍊院 검정 生 : 1566 년 5월5일생. 조선 명종21년 (丙寅). 忌 :1633년4월9 일. 墓:선산 配, 順川 金氏. 生 : 1568 년. (戊辰). 忌 : 1636년10 월20 일. 墓 : 雙墳 |
58 |
相廉 상렴 |
生 : 1620 년 10월10일생(庚申).광해군12년. 忌 : 1658 년9월28 일. 墓 : 선산 配, 은진宋氏. |
59 |
遠輝 원휘 |
字 : 敬思 生 : 1680 년 숙종 6년 (庚申). 忌 : 1743 년. 墓: 北面 新村 卵坐 配, 順川金氏. |
60 |
東年 동년 |
字 : 治德 生 : 1721 년 경종원년(辛丑). 忌 : 2월 10 일. 墓 : 彩雲子 坐 配, 江華奉氏 . 生 : 1703 생(癸未). 忌 : 5 월 |
61 |
師秀 사수 |
字 : 季心 生 : 1754년 (甲戌)생 영조 30년, 忌 : 12 월 25일. 墓 : 논산시 왕전리 配, 延安金氏 . 生 : 1758년 (戊寅). 忌 : 7 월 5일
墓 : 충남 논산시 노성면 왕전리 |
62 |
瑞億 서억 |
字 : 義道 生 : 1781년생, 정조 5년 (辛丑). 忌 : 10 월 27 일. 墓 : 선영 配, 泗川金氏 . 生 : 1776 년 (丙申). 墓 : 충남 논산시 노성면 왕전리 |
63 |
光武 광무 |
字 : 國中 生 : 1803 년 순조 3년 癸亥生. 忌 : 6 월 18 일. 墓 : 왕전리 乾坐 配, 晉州氏 . 生 : 1808 년 戊辰 生. 忌 : 9 월 23 일. 墓 : 왕전리 配, 안동金씨.1813년생 癸酉生. 忌 : 7월21일.
墓 : 西邊酉坐 논산시 노성면 왕전리 |
64 |
裁成 재성 |
字 : 善玉 生 : 1854 년 철종 5년 甲寅생. 忌 : 5 월 6 일. 配, 和順 崔氏 . 生 : 1860년 庚申生. 忌 : 正月6日
墓 : 충남 논산시 노성면 왕전리 |
65 |
聖鎭 성진 |
生 : 辛巳 ( 光武 5년, 1881년). 忌 : 6월 25일. 墓 : 논산시 등화등 配, 全州李氏 봉자. 生 : 1885년 (乙酉 生) 忌 : 6월 10일. 墓 : 同寅 (子) 準信, 準淳, 準희(女) |
66 |
準淳 준순 |
1926년 충남 논산군 노성면 왕전리 출생. 配 강정순(晉州) (子) 敬來, 正來, 惠淑, 惠貞 . |
67 |
敬來 경래 |
(子) 魯炫, 敏知 |
68 |
魯鉉 노현 |
66 |
準淳 준순 |
67 |
敬來 , (황혜순) |
正來 (김은주) |
혜숙 (김병창) | 혜정 (김흥규) | |||
68 |
魯鉉 |
민지 |
재휘 |
재영 |
대성 | 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