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탕님 강릉여행 간단 건축개요■ ■
▶공사명: 강릉시 철근콘크리트 단독주택 현장
▶건축현장 위치: 강릉시 유천동
▶주요구조: 기초(줄기초), 계단(철근콘크리트), 지붕(경량목구조)
▶외부마감재 : 벽체- 지정벽돌 / 지붕 - 아연도 칼라강판
▶설계사: 아이에스엠 건축연구소 (iSM Architects)
▶건축주: 설탕님

라돈차단 건축자재 : 스테고랩 (STEGO WRAP)
스테고 랩 (STEGO Wrap Vapor Barrier) #브랜드하우징
스테고 랩은 최고등급의 “폴리핀”수지로 만든 다층 플라스틱 압출 제품입니다.증기 장벽으로 사용되어 토양에서 발생하는 가스(라돈, 메탄)를 차단하며,휘발성 독성물질(기름 부산물)도 완벽히 차단합니다.
스테고 랩은 최고등급의 “폴리핀”수지로 만든 다층 플라스틱 압출 제품입니다.
증기 장벽으로 사용되어 토양에서 발생하는 가스(라돈, 메탄)를 차단하며,
휘발성 독성물질(기름 부산물)도 완벽히 차단합니다.
고탄성과 유연성을 가진 제품으로 15Mil의 제품은 50 ~ 55평의 땅을 포장할 수 있으며 영구적인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브하 #브랜드하우징 #문팀장의목조주택이야기 #네이버카페 #목조주택 #단독주택 #콘크리트주택

압출법 단열재 XPS(Extruded Polystyrene Sheet) - 브랜드하우징
아이소핑크라고 제일 흔하게 불리웁니디ㅏ.
압출법 보온판은 일반적인 특징이 비드법 보온판과 거의 같지만 흡수율이 매우 낮아 지붕(옥상)이나 지면에 닿는 부위 등 직접 물에 닿는 부위에
적용이 가능함.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단열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단열 적용시 접착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스타코 작업을 할때에는 시공이 힘듭니다.
기타 특징은 비드법 단열재와 같으나 통상적으로 흡수율이 거의 없다는게 가장큰 장점인듯합니다.
지하층의 외단열로 사용될 경우 바닥판은 압축강도를 고려해야 하기때문에1호, 측벽은 2호규격이상을 사용토록 한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70℃가 넘어가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생긴다는 몇가지 현장 사례가 발생하여 외부마감재로 쓰일경우 여름 벽면의 온도가 70℃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외벽에 큰 하자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의견과 숙성을 하면 문제가 없다는 의견으로 나뉜다.
그러므로 지상층 방통타설전 단열재와 지붕단열재에는 고민을 해봐야 할듯합니다.

압출법 단열재의 특징은 무엇일까요?-브랜드하우징
첫째,
습기에 강하며 방수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방수성인 높으니 투습은 약하다고 보시면됩니다.
둘째,
자연요소 (보온, 보냉, 압력 등)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또한 순수 고분자 재료인 폴리스티렌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조직 자체가 부식과 부패가 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다양한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지요.
셋째,
시공 · 가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부스러지지 않는 단열재 압출 보드는 비드법단열재와는 다르게 자르고 나더라도 부산물이 적다.
넷째,
온도에 약하고 경시변화 (외부의 조건에 의한 변형)가 일어나게 되면 열전도율이 2 ~ 30% 감소하게 된답니다.
다섯째,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스타코 작업을 하거나 기타 미장 마감을 적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여섯째,
동네 철물점에는 잘 판매가 되지 않기때문에 미리미리 여유있게 주문을 해야 합니다.

▶브랜드하우징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81번길 10 아미고타워 707호 brandhousing
▶전화번호:
031-714-2426
▶첫상담은 전화 하셔서 민실장님 찾으시면 됩니다

‘패시브 하우스’란?
구체적으로는 냉방 및 난방을 위한 최대 부하가 1㎡당 10W 이하인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를 석유로 환산하면 연간 냉방 및 난방 에너지 사용량이 1㎡당 1.5ℓ 이하에 해당하는데요.
한국 주택의 평균 사용량은 10ℓ이라고 합니다.
‘단열’이라는 것은 열을 100% 가두는 것이 아니라
열이 전달되는 속도를 늦추는 개념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겨울의 경우, 보통의 집은 일정한 시간 동안 ‘햇빛 등을 통해
집안으로 공급되는 열량’보다 ‘빠져나가는 열량’이 훨씬 많습니다.
따라서 방은 금방 추워지게 됩니다.
하지만 두 열량이 서로 같게 되는 수준까지 집안의 단열을 끌어올릴 경우,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과 사람의 체온과 같은 소량의 온기만으로도 방 안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게
‘패시브 하우스’의 원리
패시브 하우스는 1988년 독일의 건설물리학자
볼프강 파이스트와 스웨덴의 룬드대학 교수 아담손이 제안했다고 합니다.
이후 1991년 독일 다름슈타트에 첫 패시브 하우스가 들어서면서 유럽에서 보편화되었습니다.
#브랜드하우징#문팀장의 목조주택 이야기#패시브하우스

패시브하우스의 간단한 개념! 4가지 (문팀장의 목조주택 이야기(브랜드 하우징)-Brand housing)
① 고단열 구조체(Super Insulation)
② 고효율 창(Highly Efficient Windows)
③ 환기 열교환기(Ventilation with Heat Recovery)
④ 효율적 난방시스템(Efficeint Heating Technology)
- 건물기밀성≤0.6ACH@50 pascal pressure
- 난방에너지소비량≤15kWh/m^2/year
- 주에너지소비량≤120kWh/m^2/year
- 창호 열관류율≤0.8W/m^2/K
- 환기시스템 열회수율≥75%
- 열교성능≤0.01W/mK
#브랜드하우징#문팀장의 목조주택 이야기#패시브하우스

패시브하우스 공정별 건축시공시 공기의 누기 예상부위 체크리스트-1
출력하여 각 공정별로 체크해 간다면, 패시브하우스에서 요구하는
기밀성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시공시 누기 예상부위 체크리스트
건축구조면
창호와 벽체가 만나는 부위
문과 벽체가 만나는 부위
창호프레임 접합 부위
창문과 창틀이 만나는 부위
문짝과 문틀이 만나는 부위
기계설비면
오수 및 배수 인출관의 외벽관통 부위
옥외 부동수전 인출관의 외벽관통 부위
수도 인입관의 외벽관통 부위
가스 인입관의 외벽관통 부위
욕실 배기덕트의 외벽관통 부위
주방 및 다용도실의 후드배기덕트의 외벽관통 부위
보일러 연도의 외벽관통 부위
환기장치 덕트관로의 외벽관통부위
#브랜드하우징#문팀장의 목조주택 이야기#패시브하우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