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고비고사리/산혈련(散血蓮)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BEB4F51C2EF7F01)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E5A4F51C2EF83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1046E4F51C2EF882D)
가지고비고사리
이명 : [가지고사리] [가지고비]
학명 :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분류군 : Hemionitidaceae
일명 : イワガネソウ(Iwa-gane-so)
영명 : Bamboo Fern
잎
엽병은 길이 50-60㎝로서 연한 녹색이지만 뒷면은 흑갈색이다. 엽신은 길이 40-50㎝, 너비 30-35㎝로서 긴 난형. 3-5쌍의 우편으로 갈라지고 가장 밑부분의 1-2쌍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과 소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짧은 대가 있다. 측맥은 톱니 밑까지 닿지 못하며 여기저기에서 합쳐져서 그물맥을 형성한다.
열매
포자낭군은 측맥을 따라 달리고 가장자리까지 가깝게 닿는 것도 있다.
뿌리
굵은 근경이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오고 연한 갈색 인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주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며 강원도까지 올라온다.
형태
상록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80-100cm
생육환경
숲속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근경(根莖) 혹은 전초(全草)를 산혈련(散血蓮)이라고 한다.
ⓐ가지고비고사리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근경(根莖) 혹은 전초(全草)이다.
ⓑ약효 : 거풍(祛風), 청열(淸熱), 활혈(活血),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 근경은 목적(目赤), 종통(腫痛), 미능골통(眉稜骨痛), 안와상부(眼窩上部) 가장자리의 통증(痛症), 풍습(風濕)(류머티즘으로 인한 관절통(關節痛), 월경폐지(月經閉止)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개가지고비 var.fauriei TAGAWA : 그물맥이 드문드문 생기며 한라산에서 자란다.
학명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1(4) : 262 (Engl. & Prantl, 1899)
1. Hemionitis japonica Thunb.
Fl. jap. 333 (1784)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국명 가지고비고사리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5)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1. 가지고비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2. 가지고사리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Bamboo Fern
일본명
イワガネソウ
Coniogramme japonica ( Thunb. ) Diels
Nat. Pfl. 1 [4]. 262. 1899. 1899
1 [4]. 262. 1899 0
Distribution:
Japonia Formosa.
Original Data:
Distribution: Japonia Formos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봉아궐(鳳丫蕨)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이명(異名)
Coniogramme ankangensis Ching et Hsu
Coniogramme gracilis Ogata
Coniogramme centro-chinensis Ching
Coniogramme japonica var. gracilis Tagawa
Dictyogramme japonica Fée
Gymnogramma japonica Desv.
Notogramma japonica C. Presl
Hemionitis japonica Thunb.
Dyctiogramme japonica (Thunb.) C. Presl
植株高80-120厘米。根狀莖橫走,略有鱗片。葉遠生,草質,無毛;葉柄禾稈色,基部有疏披針形鱗片;葉片矩圓三角形,長50-70厘米,寬22-30厘米,下部二回羽狀,向上一回羽狀;小羽片或中部以上的羽片狹長披針形,漸尖頭,基部楔形,邊緣有疏細鋸齒。葉脈網狀,在主脈兩側各形成2-3行網眼,網眼外的小脈分離,頂端有紡錘形水囊,伸到鋸齒基部。孢子囊群沿葉脈分布,無蓋。
廣布於長江以南各省;朝鮮南部,日本也有。
生濕潤林下和山穀陰濕處,海拔100-1800米。全草入藥,可消腫解毒。
南蕨鳳丫蕨C. centrochinensisChing小羽片或中部以上羽片披針形或闊披針形,基部近圓形或圓楔形,主脈兩側各有網眼1行,小脈不到鋸齒基部。分布於長江中下遊及福建。
按省份分布:
浙江省,江西省,安徽省,台灣省,湖南省,,廣東省,福建省,湖北省,貴州省,江蘇省,重慶市,廣西壯族自治區,安徽,雲南
&&&&&&&&&&&&&&&&&&&&&&&&&&&&&&&&&&&&&&&&&&&&&&
산혈련(散血蓮)
Coniogramme japonica(Thunb.) Diels[Hemionitis japonica Thunb.]
【出處】 出自《湖南藥物志》
영문명(英文名)
Japanese Coniogramme
별명(別名)
活血蓮、眉風草、大葉鳳凰尾巴草、鳳丫蕨、鳳丫草、眉鳳草、羊角草、鐵蕨、鳳尾草
약재기원(藥材基源)
爲裸子蕨科植物鳳丫蕨的根莖或全草。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全年或秋季采收,洗淨,鮮用或曬幹。
원형태(元形態)
多年生草本,高80-100cm。根狀莖長而橫走,被淡褐色鱗片。葉疏生,葉柄長50-60cm,稻稈色,除基部外無毛,背部有溝;葉片卵圓形,長達50cm,寬25-30cm,一般爲1次羽狀複葉,但下部羽片常爲2回羽狀複葉;羽片可達5對,線狀長橢圓形,長達20cm,寬2cm左右,先端長漸尖,基部有短柄,楔形,多少下延,邊緣有微鋸齒;葉紙質,無毛,葉脈在近羽軸處形成網眼,其他概爲平行脈。孢子囊群沿葉脈著生,不具囊群蓋。
생경분포(生境分布)
生態環境:生於海拔100-1800m的闊葉林下和溪溝陰濕處。
성상(性狀)
性狀鑒別 根莖疏生鱗片。葉草質,無毛;葉柄黃棕色,基部有少數披針形鱗片;葉片矩圓三角形,長50-70cm,寬22-30cm,下部二回羽狀,向上一回羽狀;小羽片或中部以上的羽片狹長披針形,先端漸尖,基部楔形,邊緣有細鋸齒;葉脈網狀,在主脈兩側各形成2-3行網眼,網眼外的小部分分離,先端有紡綞形水囊,伸到鋸齒基部。孢子囊群沿葉脈分布,無蓋。氣微,味苦。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含蕨素(pterosin)D,表蕨素(epipterosin)L和蕨素X、Y。
根莖含β-穀甾醇(β-sitosterol),棕櫚酸β-穀甾醇酯(β-sitosterylpalmitate),β-穀甾醇-D-葡萄糖甙(β-sitosteryl-β-D-glucoside),環鴉片甾烯醇(cyclolaudenol)。
葉含辛苯酮(octabenzone)。
성미(性味)
微辛;寒;微苦;涼
귀경(歸經)
肝經
공능(功能)
거풍제습(祛風除濕);산혈지통(散血止痛);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主治)
풍습관절통(風濕關節痛);어혈복통(瘀血腹痛);폐경(閉經);질타손상(跌打損傷);목적종통(目赤腫痛);유옹(乳癰);각종종독초기(各種腫毒初期)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 15-30g;或泡酒。
주의(注意)
孕婦慎服。
부방(附方)
①治目赤腫痛: 鳳丫蕨根一兩(鮮用,去鱗毛),水煎,加白糖早晚飯前各服一次。
②治各種腫毒初起: 鳳丫蕨全草水煎,沖甜酒服。
③治乳癰: 鳳丫蕨全草,加通草,水煎,沖酒服。(①方以下出《浙江天目山藥植志》)
④治眉毛風(眉棱骨痛): 眉風草根莖磨酒或水,外搽,一日多次。
⑤治咳血: 眉風草根莖一兩,煨水服。⑥治風濕關節痛: 眉風草根莖、鳳尾草根各一兩,泡酒服。(④方以下出《貴州草藥》)
【적록】 《중화본초(中華本草)》《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