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윙댄스 = 스윙재즈에 맞춰서 추는 커플댄스 !!
커플댄스라 함은 남녀가 사이좋게 함께 춤을 추는 걸 말하는 거겠죠.
강습 신청하신 분들은 대부분 이미 (당근!) 알고 계실테고요
커플이란 말에 혹해서 신청하신 분들도 (당근!) 계실 것 같은데요 ^^
간혹 백명 중에 한 분 정도는 스윙댄스가 혼자 추는 춤인 줄 알고 오신 분들이 있더라고요.
힙합댄스같은 것을 생각하셨던 것 같은데.. 대략 난감하죠 이런 분을 만나면 ^^;
가끔 떨어져서 춤을 추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스윙댄스는 기본적으로는 두 사람이 함께 손을 맞잡고(!) 추는 춤이랍니다. (얼마나 좋아)
여러분은 재즈음악을 좋아하시나요..?
음악에 따라서 그에 맞는 커플댄스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지만 (왈츠, 라틴댄스, 스윙 등등등)
그 중에서 스윙댄스는 재즈음악에 맞춰서 추는 커플댄스입니다.
재즈도 무척 다양한데요, 특히 스윙댄스를 추기에 편한 재즈 장르를 스윙재즈라고 합니다.
2) 리더? 팔뤄?
처음 강습신청하실 때, "리더신청(남)" "팔뤄신청(여)" 라고 되어 있던 걸 기억하시나요?
'그러면 스윙댄스에서는 남자는 리더라고 부르고 여자는 팔뤄라고 부르는 건가..?'
머리 좋으신 분들은 여기까지는 금방 생각하시는데요
왜 남자분을 리더라고 하고 여자분을 팔뤄라고 하는지는 잘 모르실 것 같네요.
이 부분은 커플댄스라면 모두 비슷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두 사람이 함께 호흡을 맞춰 춤을 추기 위해서는
두 사람 중에 한 사람이 춤을 이끌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춤을 리딩(Leading)하는 것이지요.
춤을 리드하는 사람을 리더(Leader)라고 하고 보통 이 역할은 남자가 맡게 됩니다.
다른 한 사람은 리더의 신호에 따라 춤을 따라가는 역할을 맡게 되는데요
이를 팔로잉(Following)이라고 하고요
보통은 여자분이 팔로워(Follower)가 되어 이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여자가 리더가 될 순 없나요..? .. 라고 물으신다면
아.. 물론 그럴 수도 있습니다만..
실제로 보게 되면 그다지 아름답지 않은 광경이 연출됩니다. ^^;;
오랜 세월동안 그렇게 역할 분담이 계속해서 이어져 온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거겠죠..?
3) 지터벅 = 지루박 ??
스윙댄스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 지터벅, 린디, 블루스, 발보아, 쉐그 등등등 -
여러분들이 배우시게 될 지터벅(Jitterbug)은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들이 배우기에 쉽고 재미나면서도 이후로 배우게 될 다양한 스윙댄스의 기초가 되는 춤이니까요
열심히 배우시기 바랍니다
아줌마 아저씨들께서 동네 무도장에서 많이 추시는 "지루박"이라는 춤을 들어 보셨을 것 같은데요
지루박의 어원이 바로 지터벅이랍니다.
미국식 발음 "지러벅~" 이 일본에 가서 "지루박~"이 됐다고 합니다. (영어가 객지에서 고생을 많이 합니다.. ^^;)
그런데 춤 자체는 서로 많이 다르다고 하네요.
지루박은 지터벅이 라틴스타일로 변형된 "자이브"와 오히려 더 유사하다고 합니다.
4) 지터벅의 기본 스텝은 6카운트 !!
6카운트 라는 용어가 나오니까 갑자기 좀 어려워지는 느낌이 드는데요..
간단히 생각하면, 카운트라는 것은 박자라고 생각하시면 되구요..
기본 스텝이 6카운트라는 것은 6박자로 스텝을 밟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음악은 보통 4박자나 8박자 아닌가요..? 혹시 6/8박자에 맞춰 추는 건가요..?
..라고 물어 보시는 머리 좋은 분들이가끔 있습니다만.. ^^;;
그렇진 않고요.. 일반적인 짝수박자의 음악에 맞춰서 추면 됩니다
지터벅의 모든 춤동작은 이 6카운트 스텝을 베이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맨 처음에 6카운트 스텝을 몸에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5) 스텝~ 스텝~ 락스텝~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요. 처음 스텝을 배웠던 순간의 감동을. ^^
저에게 지터벅을 가르쳐 줬던 싸부님들의 "스텝~ 스텝~ 락스텝~"하는 목소리가 지금 다시 들리는 듯 합니다. ^^
앞에서 말했던 6카운트 스텝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스텝~ 스텝~ 락스텝~" 입니다.
처음 두박자 동안은 왼발로 스텝을 밟고
다음 두박자 동안은 오른발로 스텝을 밟습니다.
마지막 두박자 동안은 첫박에 왼발을 뒤로 살짝 디디고 둘째박에 다시 오른발을 제자리에서 밟습니다.
(이상은 리더 기준의 설명이고.. 팔뤄의 경우는 발이 완전히 반대입니다.)
마지막에 밟는 스텝을 락스텝(Rock Step)이라고 하는데요
앞뒤로 흔들~ 하는 느낌이 나서 그런 용어가 만들어진 게 아닌가 싶습니다.
참고로 지터벅을 원스텝 스윙(One-Step Swing)이라고도 하는데요
2박자에 한 번씩 스텝을 밟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답니다.
6) 바운스~ 바운스~ 바운스~
DJ Doc의 "Run To You"의 가사로도 나오는 바운스(Bounce) ..
스윙댄스에서는 너무나 중요한 개념이라죠.
말그대로 통통 튀는 느낌을 말하는 건데요
둥실둥실~ 이라고도 할 수 있겠고.. 덩실덩실~ 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도 같고요.. ^^
스텝을 밟으실 때 살짝살짝 무릎과 발목 굽혀주는 것을 말합니다.
스윙댄스는 스윙재즈에 맞춰 추는 댄스라고 말씀드렸죠..?
바운스는 이 스윙재즈의 느낌을 특히 잘 살려주는 스윙댄스의 요소입니다.
참고로 바운스에는 업-바운스(Up-Bounce)와 다운-바운스(Down-Bounce)가 있는데
스윙의 바운스는 다운-바운스(Down-Bounce) 라고 합니다.
7) 센터
사람 몸의 중심은 어디일까요..? 무게중심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은데..
맞추시는 분께는 10만원 상당의 도서상품권을 선물로..
.. 드렸으면 좋겠지만 그건 좀 어려울 것 같고요.. ^^;;
말씀을 드리면 사람 몸의 중심은 아랫배라고 합니다.
보통 단전이라고 불리는 곳인데요.. 이 부분을 스윙댄스에서는 보통 "센터"라고 부릅니다.
센터는 사람 몸의 중심, 즉 무게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센터의 위치는 바로 그 사람의 무게중심의 위치라고 할 수 있는데요
간단히 말해서 센터의 위치가 그 사람의 위치입니다.
그럼 센터의 위치는 바꾸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될까요..?
답은 바로 "걸음을 걷는 것" 입니다.
너무 당연한 얘기라고요..? ^^
너무나 당연하지만 이 개념은 스윙댄스에서는 너무나 중요한 개념이랍니다.
꼭 머리에 기억해 두셨으면 좋겠네요.
(뒤에 나오는 '프레임'과 '텐션', 그리고 '센터의 위치이동'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답니다.)
8) 홀딩(Holding)? 그립(Grip)? 커넥션(Connection)?
비슷비슷하면서 조금씩 다른 이 세가지 용어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맨 처음에 스윙댄스는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추는 춤이라고 소개를 해 드렸는데요
이 세가지 용어는 바로 "손을 맞잡는" 상태를 말합니다.
홀딩 은 "손을 맞잡는 것 자체" 를 말하는 거구요
그립 은 "손을 잡는 모양새" 를 말합니다.
커넥션 이라는 말은 두 사람이 맞잡은 손을 통해서 "연결된 상태" 를 말합니다.
홀딩은 단순히 손만 맞잡는 것은 아니구요..
상대편의 등을 잡기도 하고 어깨부분을 잡기도 합니다.
9) 프레임(Frame)
앞으로 춤을 배우시는 동안 "프레임을 잘 지켜야 한다"는 얘기를 꽤 많이 듣게 되실텐데요..
프레임이 뭘까나..? 틀인가..?
쉽게 말해 '각'을 잡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춤을 추는 동안에 어깨에서부터 팔 끝까지 각을 잡은 채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로
"프레임" 되겠습니다.
10) 텐션(Tension)
자~ 이제 드뎌 이번 공부의 마지막입니다.
정말 여러분들은 앞으로 춤을 추는 내내 (지터벅 뿐만이 아니라 이후의 모든 스윙댄스를 배우면서)
이 텐션이라는 녀석을 알기 위해 무수히 노력하시게 될 것 같은데요.
텐션을 정복하는 자, 스윙댄스를 정복할 수 있으리라~ 고 감히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만큼 심오하고 많은 경험을 통해서만 체득할 수 있는 개념이라지요.
서론이 너무 길었는데요..
처음이니까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텐션이란 바로 "밀고 당기는 느낌"을 말합니다.
리더와 팔뤄는 이 텐션의 느낌을 통해서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춤을 추는 것이니만큼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는 굳이 더 설명드리지 않아도 아실 것 같습니다.
지터벅을 배우면서 이 텐션의 맛을 처음 알게 되실텐데요..
스윙의 중독성은 바로 이 텐션의 느낌에서 오는게 아닐까라고 생각해 봅니다.
첫댓글 심오한 세계에 온거 같아요 ㅎㅎㅎ 그래도 열심히 배워보겠습니다 ~
3번에 36기라고 되어있어요 ㅋㅋ오타나신거같아요 ㅎㅎ
수정했슴다~
정독 완료ㅋㅋㅋ
앞으로도 강습 후 정리 글 부탁드려요 쌤^^
잘 따라갈수 잇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와웅~ 저도 정독했어요!! 역시 우리 강사님 멋져요~~~
오~ 깔끔한 정리!! 다시금 개념이 깔끔하게 정리되었어요 감사감사
잘 정리해 주셔서 이해가 잘 되서 좋아요
다만 몸이 안 따라 준다는..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