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의산/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전망이 좋다
▲ 용각산에서 눈앞에 펼쳐진 가야할 지맥길/
비슬지맥 2 구간 [비오재 - 남성현재] |
1. 일자 : 2015. 1. 15 (목) |
2. 날씨 : 맑음 6℃ |
3. 산행인원 : 둘이서 |
4. 산행구간 : 비오재 - 남성현재 |
5. 산행거리 : 28.5km /비오재 - 2.2km - 곡돌내재 - 2.8km - 용산재 - 2.8km - 갈고개 |
- 2.5km - 대왕산 - 2.1km - 벗고개 - 3.0km - 잉어재 - 3.0km |
- 선의산 - 4.9km - 용각산 - 3.0km - 보리고개 - 2.2km - 남성현재 |
6. 산행시간 : 10시간 20분(휴식/식사시간 59분 포함) |
비오재/4번 군도(07:35) - 곡돌내재/919번 지방도(08:23) - 용산재(09:07) |
- 갈고개/69번 지방도(10:05) 대왕산(11:30) - 벗고개(12:17) - 잉어재/929번 지방도(13:19) |
- 선의산(14:57) - 용각산(16:15) - 보리고개(17:11) - 남성현재/구 25번 국도(17:55) |
7. 교통 : 갈때 - 강남/고속 -> 동대구/기차 -> 경산/시내버스 -> 자인/시내버스 -> 용성/택시 -> 비오재 |
올때 - 남성현재/택시 -> 경산역/기차 -> 서울역 |
8. 구간상태 : |
비오재에서 포도밭 가운데로 오르면 무성한 찔레밭으로 여름철에는 통과하기가 만만치 않으므로 시멘트도로를 따르는 것이 좋겠다. 곡돌내재에서 남성현재까지는 육산지대에 등로정리가 잘되어 있고 고도차가 크지 않으며 오르내림이 적어 체력소모가 적은 편이다. 대왕산과 용각산 오름길이 가파르고 선의산과 용각산에서는 뛰어난 전망을 즐길 수 있다. |
9. 주의할 지점 : |
비오재에서 오른 임도의 능선분기점에서 지맥길은 우측 묘 3기 옆으로 내려서야하고 곡돌내재에서 남성현재까지는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어 조금만 신경을 쓰면 길 잏을 염려는 없고, 다만 선의산에서 용각산은 나무계단을 내려서자마자 이정표가 가르키는 좌측 사면길로 직진하지 않도록 주의할 지점이다. |
▲ 2구간 지도/출처 : 홀대모
10. 세부 산행기록 : |
범례 : xxx봉 -> 지도에 표기된 고도 |
xxxm봉 -> 지도에 없는 고도계가 지시한 고도 |
|
07:35 비오재/4번군도 2차선도로 08:29 사거리/우측으로 |
07:43 찔레나무지대 08:31 소나무지대 4거리/우측으로 |
07:46 임도갈림길/직진 08:38 채석장 절개지위 |
07:51 능선분기점/우측 아래 묘 3기 좌측 내림길로 08:45 채석장도로 갈림길/좌 숲으로 |
07:56 묘 1기 08:48 316m봉/이정표 갈고개 4.1km |
08:02 능선분기점/좌측으로 08:50 Y갈림길/우측으로 |
08:04 안부/좌측에 대추밭 08:54 336m분기봉/좌측으로 |
08:10 274.6봉/삼각점 09:01 간벌지대 |
08:15 이장묘터 09:07 용산재/이정표 갈고개 2.1km |
08:22 곡돌내재/919번 지방도 2차선도로 09:16 능선분기점/좌측으로 |
|
1구간 산행때와 같이 강남터미날에서 2040 동대구행 고속버스를 타고 동대구터미날에는 0004 도착한다. 터미날뒤에 위치한 여인숙에서 눈을 붙이고 0520 여인숙을 나와 도로앞의 해장국집에서 아침을 먹고 동대구역에서 0600 부전행 열차를 타고 0609 경산역에 내린다. 자인에서 0850 육동행 버스를 타면 비오재에 바로 내리지만 산행시간이 너무 늦어 용성으로 가서 택시를 타기로 하고 시외버스터미날로 이동하여0640 언양행 시외버스가 자인과 용성을 경유하는지 확인해보니 용성은 경유하지 않고 0745 버스가 용성을 경유한다고 한다. 경산역앞으로 되돌아와 399번 자인행 버스를 타고 자인에 내려 용성행 버스로 갈아타는데 산객 한분이 버스기사분께 비오재 가느냐고 물어보자 육동가는 버스를 타라고 하니 버스에서 내려간다. |
나도 비오재에 가니 용성에서 택시를 타자고 하여 함께 가면서 얘기를 나눈다. 나이도 나와 같은 갑장으로 비오재에서 잉어재까지 하고 시간이 되면 남성현재까지 갈 계획이란다. 0715 용성에 내려 용성택시에 전화를 하니 5분만 기다리란다. 5분후에 도착한 택시로 비오재에 내려 산행준비를 하고 경산시와 청도군계따라 포도밭 가운데로 들어서 오르자 무성한 찔레나무가 앞을 막는다. 족적을 찾아 묘 2기를 지나고 만난 시멘트도로에서 지나온 구간을 뒤돌아본다. 임도로 바뀌어 좌측으로 휘는 곳에서 직진하여 3분 정도 오르면 능선분기점으로 우측 아래 묘 3기가 자리하고 있다. 지맥길은 임도가 아니고 우측 묘 3기 좌측옆으로 내려서야 한다. 묘 1기를 지나 임도를 건너고 다시 묘 1기를 지난 능선분기점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니 좌측으로 시야가 트이며 대추밭이다. |
잠시 잡목을 헤치며 오른 274.6봉에는 준희님의 표지판에 나무에 걸려있다. 이장묘터를 지나자 우측으로 표고버섯재배단지가 나타나고 뒤쪽으로 마을이 보이고 919번 지방도 2차선도로가 지나는 곡돌내재(대천고개)에 내려서니 이정표(갈고개 4.6km, 석현교 4.4km, 곡란리)가 서있다. 임도를 따르다 좌측으로 휘는 삼거리에서 직진하여 숲으로 들어서 4거리를 만나고 우측으로 진행하니 소나무지대에 4거리로 우측으로는 축사와 과수원뒤로 곡란리일대가 내려다 보인다. 직진하여 채석장위 절개지에서 우측으로 채석시설물이 까마득하게 내려다 보이고 뒤로는 희곡저수지가 앞쪽으로는 깎아지른 절개지 중턱에서 뽀얀 먼지를 날리며 채석작업이 한창이다. |
절개지를 우측에 두고 내려서 채석장도로와 헤어져 좌측 숲으로 들어선다. 낙엽이 수북한 십자안부를 직진하여 이정표(갈고개 4.1km, 곡돌내재 1.5km)가 서있는 318m봉에서 우측으로 쓰러진 낙엽송 1그루를 지나고 Y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한다. 간벌지대를 오른 336m봉에서 지맥길은 좌측으로 갈말지를 가운데 두고 ∩자형으로 갈고개로 이어진다. 내려서 묘 1기를 연이어 지나면 좌측으로 시야가 트이며 과수원이 내려다 보인다. 이정표(갈고개 2.1km)가 서있는 용산재에서 좌측 갈고개방향으로 시멘트도로에 내려서고 임도로 바뀌어 우측으로 휘는 곳에서 직진하여 통나무계단을 오른다. 소나무지대의 능선분기점에서 좌측으로 진행한다. |

▲ 비오재/ 육동방향
▲ 비오재/ 자인/용성방향
▲ 밭 상단에서 지나온 구간을 뒤돌아보고/
▲ 지독한 찔레나무지대/ 한여름에는 ...
▲ 시멘트임도위에서 지나온 구간을 다시 뒤돌아보고/
▲ 안부/ 좌측은 대추나무 과수원/
▲ 274.6봉/
▲ 대천고개로 이어지는 도로와 뒤로 야생조수협업단지마을/
▲ 곡돌내재(대천고개)/ 좌측 청도군 소천리 방향
▲ 곡돌내재/ 우측 용성방향
▲ 곡돌내재에 서있는 이정표/
▲ 우측 아래 축사와 곡란리일대가 내려다보이고/
▲ 채석장/ 돌을 캐는 작업이 한창이다
▲ 채석장뒤로는 희곡지가/
▲ 능선분기점의 이정표/ 갈고개까지 4.1km
▲ 능선분기점/ 좌측으로
▲ 간벌한 소나무지대를 통과하면/
▲ 과수원이 내려다보이고/
▲ 안부인 용산재(갈마재)의 이정표/ 갈고개방향으로 임도를 따르다
▲ 임도가 우측으로 휘는 곳에서 통나무계단을 올라 숲으로
09:22 248m봉/묘 1기/우측으로 11:07 478m봉/바위 |
09:30 우사면길/추락방지용 밧줄 11:19 567m봉 |
09:33 이정표/갈고개 1.8km 11:30 대왕산(606m)/이정표 잉어재 5.1km |
09:45 295.5봉/삼각점 11:43 605m봉 |
09:49 67번 송전탑 11:49 610m봉/좌측으로 |
09:54 묘 2기 11:57 641.2봉/삼각점 |
10:00 광주안공묘지대 12:05 589m봉 |
10:05 갈고개/69번 지방도 2차선도로 12:09 묵은 묘 1기 |
10:13/37 파란 간이건물/묘 1기/휴식 12:14 묵은 임도따라 |
10:40 커다란 느티나무 1그루 12:17 벗고개/이정표 잉어재3.0km |
10:48 좌사면길 12:22 절충장군 최공묘 |
10:53 능선분기점/이정표 대왕산 1.6km 12:27 520m 바위봉 |
10:59 448.1봉/삼각점 |
|
240m 분기봉에서 좌측으로 묘 3기를 지나자 우측의 나무사이로 생활폐기물처리장으로 짐작되는 시설물이 보이고 묘 1기가 있는 248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선 십자안부 좌측에는 작은 저수지가 자리하고 있다. 조금 가파르게 오르다 304m봉은 추락방지용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우사면길로 우회하여 마루금에 합류하면 좌측 304m봉 오름길 몇 m위에 우회길이 생기기전에 설치한 것 같은 갈고개 2.8km 이정표가 서있다. 잠시후 좌사면길은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는 295.5봉 바로 아래로 이어진다. 무심코 진행하다 보면 그냥 지나치기 쉽다. 잡목속의 삼각점을 확인하고 이정표(갈고개 1.3km, 곡돌내재 4.3km, 용산리)가 서있는 3거리에서 좌측 갈고개방향으로 67번 송전탑을 통과하고 이장묘터를 지난다. |
우측 나무사이로는 전원주택단지가 보이고 묘 2기를 지나 안공묘지대위에서 시야가 트이며 갈지리와 우측으로는 삼성마을과 과수원사이 448.1봉으로 이어지는 가야할 지맥길이 한눈에 들어온다. 묘지길따라 69번 지방도가 지나는 갈고개에 내려서니 4차선 확장공사가 완료되지 않았는지 안전시설물이 놓여있고 좌측 도로 한켠에 399번 버스가 정차되어 있는데 종점인가보다. 도로건너에는 모텔과 갈고개휴게소가 있어 음료를 구할수 있겠다. 도로를 횡단하여 우측으로 마을길을 따르면 주황색 지붕의 집앞에 이정표(대왕산 2.6km,곡돌내재 5.6km)가 서있다. 좌측으로 시멘트 마을길따라 오르며 지나온 구간을 뒤돌아보고 임도로 바뀌어 파란 함석의 작은 간이창고밑 좌측의 묘지에서 휴식을 취한다. |
감나무밭사이로 오르면 커다란 느티나무 1그루가 자리하고 좌사면길로 오른 능선분기점에는 이정표(대왕산 1.6km, 갈고개 1.0km, 김전소류지 1.5km)가 서있다. 가파르게 밧줄을 잡고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는448.1봉에 올라서고 바위가 있는 478m봉에 이어 다시 가파르게 오르면 567m봉이다. 바위지대를 내려섰다 오른 대왕산은 넓은 공터에 유래를 적은 정상석과 항일 대왕산 죽창 의거전적비, 이정표(갈고개 2.7km, 잉어재 5.1km)가 서있고 주위의 나무들로 전망은 별로다. 좌측으로 내려서 598m봉을 지나고 602m봉에서 좌측으로 641.2봉에 올라서니 삼각점과 이정표(잉어재 3.9km, 대왕산 1.2km, 학일산 6.2km)가 설치되어 있다. |
우측으로 내려서 589m봉과 묵은 묘 1기를 지나 묵은 임도를 만나고 임도따라 십자안부로 이정표(잉어재3.0km, 대왕산 2.1km, 큰골 0.7km, 사림리 1.2km)가 서있는 벗고개에 내려서니 우측에는 시멘트임도가 다가와 있고 준희님의 표지판이 참나무에 걸려 있다. 오름길에 처사경주김공묘에 이어 축대를 쌓은 절충장군최공묘를 지나 밧줄을 잡고 올라선 520m 바위봉 바로 아래 참나무에 준희님의 표지판이 걸려있다. 바위봉이라 표지판을 걸기가 마땅치 않아 그러신 것 같다. |

▲ 안부 좌측으로 조그만 저수지가 보이고/
▲ 우사면길이 만들어지기전에 설치된 이정표로 몇m 벗어나 있다/
▲ 잡목속에 295.5봉의 삼각점/
▲ 능선분기점의 이정표/ 갈고개도 이제 얼마 안남았고
▲ 67번 송전탑을 통과하고/
▲ 시야가 트인 광주안공묘지대를 지나면/
▲ 삼성마을이 건너다보이고 지맥길은 마을길따라/
▲ 갈고개/ 좌측 청도군 갈지리 방향에 399번 경산행 시내버스가 주차돼 있다
▲ 갈고개/ 경산시내 방향
▲ 마을입구 들머리의 이정표/ 대왕산이 2.7km
▲ 마을을 지나 올라온 시멘트도로위에서 지나온 구간을 뒤돌아보고/
▲ 과수원의 간이건물에서/ 휴식
▲ 수령이 꽤 돼보이는 느티나무 아래 이정표/
▲ 가파른 오름길에 최근에 설치된 밧줄을 잡고 오르면/
▲ 448.1봉의 삼각점/
▲ 567m봉에서는 나무사이로 대왕산이 모습을 드러내고/
▲ 대왕산/ 유래를 새겨 놓았다
▲ 대왕산의 이정표/ 잉어재까지 5.1km
▲ 641.2봉의 이정표/
▲ 641.2봉의 삼각점/
▲ 십자안부인 벗고개의 이정표/
▲ 등로 우측으로 시멘트임도가 다가와있고/
▲ 암봉인 520봉을 내려서면/
▲ 참나무에 걸려있는 준희님의 표지판/
12:31 전망바위 14:24 650m능선 |
12:35 468m봉/준희님 격려표지판 14:35 671m봉/묵은 묘 1기 |
12:41 묘 1기 14:41 704.8봉/전망바위 |
12:48 안부/우측에 시멘트도로 14:45 이정표/선의산 0.7km |
13:02 486봉/삼각점 14:50 734m봉/바위 |
13:11 임도/넓은 공터 14:57 선의산(756.4m)/삼각점 |
13:19 잉어재/929번 지방도 2차선도로 15:00 이정표/용각산 |
13:25/48 묘 3기/점심 15:04 암반지대 |
13:54 이장묘터 15:11 이정표/용각산 3.3km |
14:03 좌사면길 15:16 우사면길 |
14:10 이정표/선의산 2.0km 15:22 Y갈림길/좌측으로 |
14:15 좌사면길 15:27 이정표/남성현재 7.3km |
14:21 신방리 갈림길/이정표 1.4km |
|
잠시 오른 전망바위에서 지나온 지맥을 뒤돌아보고 날등의 암릉과 바위지대를 지나면 준희님의 격려표지판이 반겨주고 표지판에 누군가가 468m로 써놓았다. 우사면길에 이어 밧줄을 잡고 내려서 묘 1기를 지나자 우측에는 시멘트도로다. 도로에 내려섰다 바로 좌측 숲으로 들어서 길게 오른 486.1봉에는 준희님의 표지판이 산벚나무에 걸려있고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다. 길게 내려서니 좌측으로 임도가 이어지는 넓은 공터가 나타나는데 여기가 지도상 이현재가 아닌가 싶다. 직진하여 진행하자 우측으로 이어지, 시방소류지, 송백지와 그 옆으로는 베스트골프아카데미도 내려다보인다. 절개지위에서 좌측으로 시멘트수로따라 내려선 잉어재는 929번 지방도 2차선도로가 좌측 청도군 매전면과 우측 경산시 남산면을 이어준다. |
우측 경산시방향으로 도로따라 이동하면 이동통신탑이 자리한 곳에 이정표(선의산 3.0km, 금천리 1.5km,대왕산 5.1km, 신방리)가 서있다. 겨울이라 잡목의 저항이 적어 비오재에서 6시간이 채 안걸렸다. 동행하신 분은 계획대로 14시전에 도착했기때문에 일부 야간산행을 감수하고라도 남성현재까지 진행을 해보겠다고 하신다. 여기까지 동행하며 외롭지 않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었는데 혼자 산행을 접기가 부담이 된다. 남성현재까지 4~5시간, 조금 속도를 높여 낮의 길이도 길어졌으니 18시전에 도착을 목표로 동행하기로 하고 시멘트옹벽을 오른다. |
밧줄을 잡고 오른 묘 3기가 자리한 넓은 묘지대에서 점심을 먹으며 1627 경산역 출발 기차 예매를 취소한다. 이장묘터와 묘 1기를 연이어 지나고 좌사면길에 이어 선의산 2.0km 이정표에서 선의산방향으로600m봉에 올라선다. 좌사면길에 이어 우사면길로 마루금에 합류하니 이정표(선의산 1.4km, 이어재 1.6km,신방리 3.7km)가 서있다. 우측 선의산방향으로 진행하여 묵은 묘 1기가 자리한 671m봉을 지나자 암릉이 앞을 막는다. 암릉 중앙과 좌측에 밧줄이 설치되어 있어 좌측으로 돌아 두 번 밧줄을 잡고 올라선 704.8봉의 전망바위에서는 시야가 트여 지나온 지맥이 한눈에 조망되고 금천면일대가 내려다보인다. |
선의산 0.7km 이정표(선의산 0.7km, 금정골(도선사) 3.0km, 신방리)가 서있는 갈림길 안부에 이어 바위가 있는 734m봉을 지나 나무계단을 오르면 선의산으로 넓은 공터에 특이하게 계란모양의 정상석과 삼각점, 일제만행 쇠말뚝 뽑은 곳 표석,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시야가 트여 지나온 구간과 가야할 구간이 장쾌하게 펼쳐지고 멀리는 통신탑의 비슬산, 경산시내까지 조망된다. 암벽이라 바로 내려설 수 없어 우측에 설치된 통나무계단을 내려서자마자 지맥길은 이정표가 가르키는 좌측 용각산 5.0km 방향으로 무심코 직진하지 않도록 주의할 지점이다. 선의산정상을 좌측위에 두고 한차례 돌아 암반지대를 내려서면 용각산 3.3km 이정표가 서있는 능선이다. 우사면길 우측에는 두 줄의 흰색 비닐끈이 둘러쳐져있고 수북한 낙엽을 밟으며 Y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남성현재 7.3km 이정표를 만난다. |

▲ 준희님의 격려표지판에 힘을 얻고/
▲ 시멘트도로에 내려섰다 좌측 숲으로/
▲ 486.1봉의 삼각점/
▲ 임도가 올라와 있는 넓은 공터/
▲ 잉어재로 오르는 도로와 수방저수지가 내려다보이고/
▲ 잉어재/ 우측 경산시내 방향
▲ 잉어재/ 좌측 청도군 방향
▲ 시멘트옹벽 우측 끝 이동통신안테나옆이 들머리로 이정표가 서있다/
▲ 능선분기점의 이정표/ 선의산이 2.0km
▲ 우사면길로/
▲ 능선분기점의 이정표/ 선의산이 가까와지고 있다
▲ 암봉인 704.8봉이 앞을 막고/ 좌측과 중앙에 밧줄이 설치되어 있어 쉽게 오를 수 있다
▲ 704.8봉에 서니 지나온 구간이.../
▲ 송백리일대가 한눈에/
▲ 신방리 갈림길의 이정표/
▲ 선의산 오름길 암릉에 설치된 나무계단/
▲ 선의산/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전망이 좋다
▲ 일제가 박아 놓은 쇠말뚝을 뽑은 곳 표석/
▲ 지나온 지맥을 되짚어보고/
▲ 가야할 지맥길이 앞에 펼쳐지고/
▲ 경산시내를 줌인하여/
▲ 통신탑의 팔공산?이 우뚝하고/
▲ 두곡리 갈림길의 이정표/
▲ 수북한 낙엽을 밟으며/
▲ 이정표를 지나/
15:32 안부 17:07 신 이정표 남성현재 2.5km |
15:41 이장묘터 17:11 보리고개/구 이정표 남성현재 3.3km |
15:47 이정표/용각산정상 30분 17:17 묘 2기/Y갈림길/좌측으로 |
15:51 우사면길 17:24 488m봉/묵은 묘 1기 |
16:01 662m능선 17:27 임도 갈림길/직진 |
16:08/26 용각산 갈림길/이정표 용각산 0.2km/휴식 17:30 신 이정표/남성현재1.4km |
16:13/15 용각산(692.5m) 17:35 501.7봉/삼각점 |
16:34 묘 2기 17:41 헬기장 |
16:40 530m봉 17:47 신 이정표/남성현재 400m |
16:47 임도/신 이정표 남성현재 3.8km 17:51 신 이정표/남성현재 200m/우측으로 |
16:56 이장묘터 17:55 남성현재/구 25번 국도 2차선도로 |
16:59 482.1봉/삼각점 |
|
김해김씨 묵은 묘 2기를 와 안부를 지나고 밋밋한 502m봉에서 이장묘터를 지나 내려선 십자안부를 직진한다. 우사면길로 마루금에 합류하여 용각산정상 30분거리 이정표를 지나고 우사면길에 이어 가파르게662m의 능선에 올라선다. 완만하게 오르면 용각산 갈림길로 이정표(선의산정상 4.2km, 남성현재 6.3km/용암온천 상설투우장 6.0km, 용각산정상 0.2km/곰티재 4.1km)가 서있는데 최근 새로 설치된 이정표와 거리가 달라 혼란을 일으킨다. 용각산에 다녀오기위해 배낭을 내려놓고 빽빽한 진달래나무 사이로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광고로 유명한 진해거담제 상품명을 떠오르는 용각산에 올라서니 정상석을 따로 설치하지않고 원래 있던 바위에 용각산을 음각해 놓았다. |
사방으로 시야가 트여 지나온 구간은 물론 가야할 구간이 장쾌하게 펼쳐지고 용산리일대가 내려다보인다. 갈림길로 되돌아 내려와 휴식을 취하고 묘 2기와 십자안부를 직진하여 오른 530m봉에서 신 이정표(남성현재 3.8km, 청도 소싸움장 6.0km, 선의산 5.1km)가 서있는 곳에 내려서니 좌측으로 임도가 다가와있다. 묘 1기와 이장묘터를 지나면 용암온천 갈림길로 구 이정표가 서있는데 남성현재 4.0km로 표기되어 있어 좀전 남성현재 3.8km 이정표를 지나왔는데... 고개를 갸웃하게 만든다. 잠시 오르면 등로에 삼각점이 박혀있는 지도상 482.1봉이다. Y갈림길에서 사면길은 우회길이고 직진하여 올라선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서 마루금에 합류하니 중앙고속도터널위로 자동차소리가 요란하다. |
신 이정표(남성현재 2.5km, 송금리 1.5km, 선의산 6.4km)를 지나 묵은 임도따라 내려선 보리고개에는 남성현재 3.3km로 표기되어 있는 구 이정표가 서있다. 남성현재까지 신 이정표보다 구 이정표가 대략 1km정도 더 멀게 표기되어 있는 것 같다. 해는 산꼭대기에 걸려 갈길도 바쁘고 거리가 짧은 신 이정표는 최근에 설치했으니 신 이정표를 믿고 묵은 묘 1기가 자리한 442m봉에 올라서고 임도가 우측으로 휘는 곳에서 직진하여 수북한 낙엽을 밟고 올라 만나는 남성현재 1.4km 이정표는얼마 안남았다는 생각에 반가울 뿐이다. 20분정도면 남성현재에 도착 할 것 같아 경산택시를 콜하니 지금은 올 수 없다며 10분후 다시 연락해달란다. 잠시 오르면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는 501.7봉으로 서래야 박건석님의 안산 코팅지가 걸려있다. |
해는 서산뒤로 모습을 감추고 어둑해지기 시작하니 마음은 조급해지고 헬기장을 통과하여 남성현재400m 신 이정표가 서있는 능선 갈림길에서 좌측의 사면길로 내려서면 이정표(남성현재 200m)가 나타난다. 좌측은 휴게소로 내려서는 길이고 우측 급경사의 사면길로 구 25번 국도 2차선도로가 지나는 남성현재에 내려서니 선의산 8.9km 이정표가 서있고 완전히 어두워졌다. 좌측의 청도방향 휴게소에는 불이 밝혀져있고 음악소리가 흘러나온다. 산행장비를 정리하고 경산택시를 불러 타고 가면서 경산역 열차시간을 확인하고 경산역앞에 내려 1918 서울역행 KTX 표를 구입한 다음 역앞의 식당에서 동행하신 분이 사주신 저녁을 먹고 열차에 오른다. 동행 하신분 외롭지않은 산행이 되어 즐거웠습니다. |

▲ 용각산정상이 30분거리 이정표를 만나고/
▲ 용각산 갈림길의 이정표/
▲ 용각산/ 사방으로 시야가 트여 전망이 좋다
▲ 남성현재로 이어지는 지맥과/
▲ 선의산에서 이어져온 지맥이 한눈에/
▲ 저멀리 지나온 대왕산까지 시야에 들어오고/
▲ 곰티재방향 운산리일대/
▲ 좌측으로 임도가 붙어 있는 십자안부의 이정표/
▲ 잠시후 만나는 이정표/ 조금전 이정표에서는 남성현재까지 3.8km 인데 여기는 4.0km
▲ 등로의 482.1봉 삼각점/
▲ 송금리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면/
▲ 보리고개의 이정표가 나타나고/ 남성현재까지 약 1.0km 차이가 있다
▲ 남성현재까지 1.4km/
▲ 501.7봉의 삼각점/ 안산이라는 코팅지가 걸려있고
▲ 햇님은 산너머로 모습을 감추고 헬기장을 지나/
▲ 남성현재의 이정표/
▲ 어둠이 깔린 남성현재/ 좌측 청도방향
11. 세부 교통편 : 시간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아래 홈페이지에서 재확인 바랍니다 |
|
ㅇ 비오재 갈때 : |
- 경산시내버스 : 자인 -> 육동 0850 1040 1225 1450 1620 2020 2235 |
ㅇ 비오재에서 올때 : |
- 경산시내버스 : 육동 -> 자인 0725 0940 1120 1300 1540 1650 2050 |
* 용성택시 : 053-852-1116 (6,000 원) |
* 자인택시 : 053-851-7290/857-4400 (13,000 원) |
|
ㅇ 남성현재 갈때 : 대중교통이 없으므로 남성현에서 도보로 이동하거나 경산에서 택시 이용 |
- 청도군내버스 : 청도 -> 남성현 0700 0750 ~ 1920 2020 (10회) |
ㅇ 남성현재에서 올때 : |
- 청도군내버스 : 남성현 -> 청도 0715 0805 ~ 1615 1815 1935 2035 (10회) |
* 경산택시 : 053-801-9009 (17,000 원 + 콜비 1,000 원) |
* 청도택시 : 053-373-8283/1900 (남성현에서 13,000 원) |
|
* 교통정보 : http://map.naver.com/ |
|
12. 숙박 : |
- 경산 : 시내 여관/모텔 다수 |
- 청도 : 읍내 여관/모텔 다수, 남성현에도 모텔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