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류 | 적용 | |
구조별 | 하이브리드 IC, 모노리딕 IC | |
용도별 | 일반전자부품용, 통신전자부품용, 군용 | |
기능별 |
함수발생용, 위상고정용, 톤 디코더용 등의 목적용 OP AMP(연산증폭기)등 광범위 범용 | |
동작별 | 앰프(amp)계, 스위칭계 |
이러한 리니어 IC는 다시 회로별로 분류하게 되면 아래표와 같이 분류된답니다.
분류 | 적용 | |
앰프(AMP) | OP AMP, AUDIO AMP, VIDEO AMP, RF/IF AMP, 전원용 등 | |
스위칭 | 아날로그 스위치, 레벨 컴퍼레이터, 타이머 등 | |
기능 | 위상고정회로, 함수발생기, 톤 디코더 등 |
리니어 IC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사용되어지고 또 수많은 종류가 있고, 동일한 리니어 IC라고 할지라도 IC 제조업체마다
특성과 성능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있어 반드시 제조업체의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사용하여야 한답니다.
이러한 리니어 IC의 내부회로는 기본적으로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회로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차동이란 입력된 신호의 차이을 증폭시키는 증폭을 의미하는데,
이 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Noise를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합이랍니다.
다음은 리니어 IC의 기본회로로 구성되는 차동증폭기 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첫댓글 OP AMP가 무엇인가요?
op-amp는 보통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라고 하고요.. 아나로그 컴퓨터에서 dc 전압에 의한 연산을 주목적으로 개발된 앰프인데....최근에는 dc 뿐만 아니라 ac 증폭이나 검파, 발진, 필터, 비교기, 스위치, 전원등 많은 곳에 사용되는 능동소자랍니다..
Differential Amplifier? 미분증폭기 아닌가요?
Differential Amplifier는 통상 차동 증폭기라 하는 데요..이 증폭기는 두개의 입력단으로 들어온 입력 신호의 전압차를 증폭하는 회로랍니다. 이러한 차동증폭기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나 에미터 결합 논리 게이트(Emitter coupled)의 입력단으로 사용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