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타이어 사이즈는 타이어의 측면에 표시돼 있다 이 타이어에는 세가지 표시 방식이 모두 표기돼 있다. |
타이어의 크기 표기 방식
1. 영미식 : 인치로 표시
26 X 1.9 (앞의 숫자는 타이어의 지름(외부의 지름)을 인치로 표기한 것이다/뒤의 숫자는 타이어의 폭을 인치로 표기한 것이다)
주로 MTB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치 표기는 정확치가 않다. 표기와 실제 타이어를 장착할 때는 크기가 다른 경우가 많다.
![]() | ||
▲ 타이어 크기 표기방식(인치 표기 방식). |
2. 대륙식(프랑스 등) : 미터법으로 표시
700C X 17 (앞의 숫자는 타이어의 지름(외부지름)을 mm로 표시한 것이다. /뒤의 숫자는 폭을 mm로 표시한 것이다.)
주로 로드바이크 표기법이다.
![]() | ||
▲ 타이어 크기 표기방식 (미터법 표기 방식). |
3. 표준 표기법 (ETRTO-에트르토- 규격 /ISO(국제 표준화기구)
앞의 두 자리수와 가운데 대시(-), 그 다음에 세 자리수 이렇게 표시한다.
예) 37-622
![]() | ||
▲ 타이어의 표기방식(ETRTO/ISO 국제표준방식) |
이것은 앞은 타이어의 폭을 mm로 나타난 것이고 뒤의 숫자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의 직경을 말한다. 림의 직경은 타이어의 직경과 같다.
자전거를 살 때는 이 표준 표기법과 인치 또는 미터법으로 함께 표기가 된 것이 많다. 이 표준표기법에 따른 표기를 기준으로 하면 가장 정확하다.
이것은 ETRTO(에트르토,유럽 타이어 림 기술 기구 ETRTO European Tire and Rim Technical Organization )가 정한 방식이다
* ETRTO(에트르토,유럽 타이어 림 기술 기구 ETRTO European Tire and Rim Technical Organization )
통상 ETRTO(에트르토)라고 불리는 유럽의 타이어 제작 회사와 휠 제작 회사를 중심으로 한 관계 단체에 의하여 구성된 조직으로, 유럽 각국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타이어와 휠에 관한 규격을 「ETRTO 규격」의 발행을 통해 알린다.(자동차 용어사전)
<적정 공기압의 표시>
타이어마다 옆면에 보면 타이어에 넣을 수 있는 적정 공기압이 표시가 돼 있다. PSI (pounds per square inch)단위로 표시돼 있다. bar도 사용한다. 이 bar는 기압의 단위이다. 이 적정공기압은 범위로 표시돼 있다.
예를 들어보자. 산악자전거의 경우 MIN 40- MAX 65 PSI 이런 형식으로 표시돼 있는데 이 타이어의 경우 최소 40에서 최대 65PSI까지 공기를 넣으라는 뜻이다.
공기압은 보통 산악자전거는 조금 낮게, 로드바이크는 아주 높게 넣는다. 하이브리드는 이 두 종류 타이어의 중간 정도다.
보통 산악자전거는 35-65psi, 로드바이크는 80-120psi다. 각각의 타이어에 표기된 이 기준 범위에서 조금씩 조절하면 된다. 하이브리드는 이 중간 정도다.
또 체중에 따라서도 체중이 무거운 사람은 좀더 많이 넣어야 한다.
바람을 넣을 때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기(압력게이지)가 달린 펌프가 좋다. 이런 펌프를 구입하면 좋지만 이런 펌프가 없다면 자전거 가게에서 넣으면서 측정을 하면 된다.
![]() ![]() | ||
▲ 적정공기압표시 |
![]() | ||
▲ 압력게이지 |
<타이어의 방향>
타이어에는 방향이 표시돼 있다. 타이어의 무늬의 모양(트레드 패턴)에 따라 달리는 방향에 맞게 타이어를 장착해야 한다. 로드바이크의 경우 무늬가 전혀 없어서 진행방향에 관계없이 끼워도 되는 것도 있다. 타이어 옆면에 보면 이 진행방향이 화살표로 표시가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