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22 FE모델 단종 되나
삼성전자가 보급형 프리미엄 라인업인 갤럭시 팬에디션을
단종할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폰 시장이 축소하고 있고,
반도체 공급도 부족해 선택과 집중을 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되는데요. IT매체 샘모바일은 삼성전자가 올해
갤럭시 s22 FE를 출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16일
보도 했습니다. 이후에도 FE 출시는 미지수여서
2020년 갤럭시 s20 FE를 처음 선보인 이후 3년 만에
FE 라인업 단종이 유력하다고 덧붙였는데요
s20 FE는 미국 유럽 등에서 인기를 얻으며 첫 해에만
500만대 이상 팔렸습니다. 하지만 s21 FE의 경우 출시
시기가 밀리며 올해 1월에나 공개됐고 판매량이 전작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21 FE는 지난해
6월부터 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등 출시를 감지할 수 있는
정보가 있었습니다. 반면 갤럭시 s22 FE는 올해 들어 아무런
정보가 나오지 않고 있고, 삼성전자는 제품 출시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입니다. FE 단종은 보급형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는 삼성전자의 밑그림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우선 그동안 보급형을 담당했던 A 시리즈 제품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했고 삼성전자는 중저가 시장에서 중국 업체와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A 시리즈 성능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올해
출시한 A53,A73 등은 S시리즈에 들어간 주요 기능을 모두
탑재했다고 하네요. 또 S22 시리즈 제품의 스펙트럼이
넓어진 것도 원인으로 꼽히는데요. 사실상 노트를 대체한
갤럭시 s22 울트라가 등장하면서 갤럭시 s22와 s22+가 보급형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수요까지 아우르는 구도를 형성했습니다.
FE 시리즈의 입지가 애매해진 것이죠. 애플은 아이폰 SE,
구글은 픽셀6a 등을 내놓으면서 보급형 프리미엄 시장을 꾸준히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삼성전자에는 폴더블폰이 있어
차별화 전력이 필요한데요 라인업 확대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판매량, 수익성을 확보하는게 한층 유리한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오는 8월에 새로운 폴더블폰인 갤럭시 z폴드4,
z플립4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z폴드4는 화면 비율을
변경하고, 카메라 성능을 전작보다 강화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