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에서 자음은 대화 중에서 초성인 경우 아주 짧게 발음되고 종성인 경우에도 비음(ㅁ, ㄴ, ㅇ)이 아닌 경우는 역시 짧게 발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음과 연결된 모음이 길어짐으로 그 자음이 길게 소리나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 점에 착안하면 자음을 길게 발음한다는 것은 가능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일은 아니다. 따라서 한글은 단어에서 음절을 이루는 한 글자 한 글자를 또박 또박 읽어가면 된다. 모음도 장음으로 읽혀지는 경우는 같은 철자를 가진 단어[눈(eye), 눈(snow)]를 구별하기 위해서나 듣는 사람에게 어감[긴- 여행, 확-실한 방법]을 주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한글은 어떠한 경우라도 음절은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초성과 종성은 반드시 자음이고 겹쳐서 쓰는 경우(겹닿소리, 이중자음, 겹자음 )도 있다. 현행 한글에서 초성으로 쓰이는 겹자음은 ㄲ,ㄸ,ㅃ,ㅆ,ㅉ개 뿐이고 하나의 음소이다. 그러나 종성으로 쓰이는 겹자음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발음할 때 연음이 되지 않는 경우 겹자음 중 하나만 발음되고 연음이 되는 경우는 처음 글자는 종성으로 다음 글자는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발음된다. 또 중성은 반드시 모음이고 이중모음 또는 삼중모음이 올 수도 있으며 원칙적으로 하나의 음소이다.
영어에서 자음은 한글과 마찬가지로 일부는 길게 발음할 수는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한글의 자음이 반드시 모음과 합하여 음절을 이루는 것과 달리, 영어의 자음은 묵음이 아닌 경우 모음을 전후하여 각각의 소리값(음가)으로 발음되지만 모음과 결합된 발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음된다. 이는 악센트가 없는 단어, 즉 모음이 하나인 단어에서도 두드러진다. 그 예로 stop는 [스탑]으로, bloom은 [블루움]으로 발음된다. 한글처럼 음절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모음 다음에 오는 자음들도 각각의 소리값(음가)을 연달아 내게 된다 . 그 예로 past는 [패ㅅㅌ] 처럼 소리나지만 이는 한글의 음절 표현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온전한 한글의 음절로 [패스트]라고 표현해야 하며 여기서 모음 "ㅡ"는 "ㅅ"과 "ㅌ"을 한글의 음절로 표현하기위한 방편이다. 우리는 한글에서도 ㅅ, ㅌ 등의 소리값(음가)을 들려주기 위해 그 자음들에 모음 "ㅡ"를 붙여 "스", "트" 등으로 발음하여 들려준다. 그러나 "스"나 "트"가 모음 "으"를 힘입어 크게 소리나는 것은 영어의 원음의 발음과 다르므로 이들을 [패스트]라 표현하여 "큰 글자는 높고 강하게 작은 글자는 낮고 약하게" 원음처럼 발음하도록 유도하였다. 영어의 모음은 한글과 달라서 장음과 단음의 구분이 명확하여 모음의 길이가 다르면 그 뜻이 달라지는 단어들도 있다. 예로 bean[비인]과 bin[빈]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발음에서 장음과 단음을 구분하지 않으면 영어의 발음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다. 이 문제는 같은 모음을 중복해서 표현함으로써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한글로 영어발음을 표현하는 일 즉, 한글발음문장을 만드는 데는 영어발음의 고저와 장단이 확실하게 표현되지 않고서는 원어민 영어발음을 낼 수 없고, 한글의 음절 형태를 갖추지 않고서는 한글발음문장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고 하겠다. "영어 없이 영어배우기"는 모음의 중복으로 장음을, 글자의 대소로 강세, 악센트 및 억양을 표현하고, 한글과 다른 영어 고유발음을 영어발음의 음가를 그대로 지닌 "한글꼴 발음기호"로 하여 한글발음문장을 완벽한 영어 원어민의 발음으로 재현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