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수도권 전철역명 유래
수도권 전철1호선
1974년 8월 15일 지하철 1호선 청량리 - 수원, 구로 - 인천, 청량리- 성북 구간 38개 역 개통을 시작으로 2010년 1월 20일 현재는 96개 역으로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 (경원선)을 기점으로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경인선),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천안역 (경부선)과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장항선),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경부고속선) 사이 5개 노선의 통합 안내명이자 그 노선을 운행하는 7개 운행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이 운행 계통의 소유 기관은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 기관은 한국철도공사이다. 서울메트로도 운영에 참여한다. 수도권에서는 일반적으로 1호선이라고 하면 이를 가리킨다. 노선의 고유색은 남색이다,
(부호) ☞ (숫자는 역 번호) (☯ 갈아타는 곳) (★ 부 역명)
☟ 경원선
(100) 소요산(逍遙山) 동두천시 상봉암동 126번지에 있는 소요산역(逍遙山驛)은 인근에 있는 소요산에서 연유되었으며 개원당시에는 경원선 비둘기호만 운행했던 작은 역이었으나 2006년 12월 15일 의정부에서 소요산 연장으로 인하여 수도권 전철1호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역사(歷史) 1975년 12월 23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개시 1982년 9월 21일: 역사(驛舍) 신축 준공 2006년 5월 7일: 기존 역사 철거, 임시역사 영업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 역사 신축
☞ 소요산 유래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수이북 최고의 명산이다. 규모는 작지만 산세가 특이하고 봄철 진달래와 철쭉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철에는 오염되지않은 계곡에서 한낮 더위를 피할 수 있으며 가을 단풍은 유별나서 예부터 경기의 소금강이라 일컬어졌다. 이곳은 원효대사가 고행수도하여 큰 도를 깨친곳 이어서 불교 유적지로도 이름이 높다. 자재암, 원효폭포, 자유수호평화박물관 등의 관광명소가 소재하고 있으며 입구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어 수도권지역의 일일관광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101) 동두천(東豆川) = 동두천시 동두천동 245번지에 위치한 동두천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1912년 7월 25일 :동두천역으로 영업개시 1984년 2월 10일 시가지 남하로 동안역(東安驛)으로 변경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동두천중앙역 자리에 있던 동두천역이 현위치로 이전함으로 역명 환원 이와 동시에 동안역은 폐역됨
☞ 동두천 지명유래 옛날에는 가정리(架亭里)라 부르다가 한일합방 당시 개칭되었으며 동쪽에서 흐르는 하천이 머리를 동쪽으로 두르고 있어 동두천(東頭川)이라 하다가 동두천(東豆川)으로 머리두(頭)자에서 콩두(豆)자로 변하였다, 동두천시가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 한 것은 6, 25전쟁으로 미 보병 7사단이 주둔 하면서부터이다, 기지촌을 중심으로 1980년 동두천시로 승격되면서 양주군에서 불리 된 동명
(102) 보산(保山) = 동두천시 보산동 422번지에 위치한 보산역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경원선의 전철역이다. 기존 동두천중앙-동두천 간의 긴 역간거리로 광역 철도 이용에 불편이 예상되는 보산동 주민들을 위해 추가역으로 신설되어, 의정부-소요산 연장과 함께(2006년 12월 15일) 영업을 시작하였다.
☞ 보산동의 유래는 6, 25사변 이후 미군부대 주둔으로 인하여 없어진 보안리 보(保)자와 축산부락의 산(山)자를 합병하여 보산동이라는 대서 유래
(103) 동두천중앙(東豆川中央)(★한북대 漢北大) = 동두천시 생연2동 688번지에 위치한 동두천중앙역은 2006년 12월 15일까지는 동두천역이라는 역명으로 영업하였으나 수도권 전철1호선의 소요산 연장에 맞추어 역명을 동두천중앙으로 변경하였다,
※ 역사(歷史) 1911년 10월 15일 어수동역(御水洞驛)으로 영업 개시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동시에 38선 이남 지역의 최북단역이 됨 1983년 12월 9일 구 역사 신축 준공 1984년 2월 10일 동두천역으로 역명 변경 1997년 10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12월 15일 동두천역 이전(구 동안역으로), 그 자리에 동두천중앙역 신설,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운행 개시와 동시에 일반여객(통근열차) 취급 중지 2007년 12월 15일 운전간이역에서 보통역으로 승격
(104) 지 행 (紙 杏) = 동두천시의 지행동 481-2번지에 위치한 지행역은
2005년 1월 30일 - 철도 영업 개시 2006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운행개시한 지행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동두천시에 있는 경원선의 역이다. 경원선 복선 전철화 연장 개통을 대비해 건설되었다. 동두천중앙역과는 1km 정도 떨어져 있어 비교적 가까운 편으로, 승강장의 끝에서 상대편 역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 지행동명 유래 닥채나무를 많이 재배하여 종이를 생산하는 부락이라 하여 종이골이라 불리우 다가 일제 강점기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종이 골의 종이 紙와 이웃 행단부락의 은행나무 杏자를 따서 지행리로, 1981년 7월 1일 동두천시로 승격과 더불어 지행동으로 명명(命名)되었다,
(105) 덕 정 (德 亭)(★서정대학(瑞靖大學) = 양주시 덕정동에 위치한 덕정역은 1911년 10월 15일 철도영업을 개시,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역 1호선 소요산 연장에 맞추어 개통되었으며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 덕정동 지명유래 옛 덕정리 언덕에 정자나무가 있어 덕정이 덕쟁이 덕정동이라 하였다, 현 덕정역 북방 20ⅿ 지점의 낮은 구릉에 정자가 있어 유흥장으로 널리 이용되어 유산정이라 하였다, 그러나 뜻이 부적합하여 덕정이라 개칭하였으며 덕정리로 변하였다,
(106) 덕 계 (德 溪) 경기도 양주시 고덕로 139번길 317 (덕계동 209-5)에 있는 덕계역은 동명에서 명명(命名)되었으며 경원선의 전철역이다. 덕정-양주 간 긴 역간거리를 보완하기 위해 건설하였으나 역사 주변 주민의 보상 문제로 인해 착공이 늦어져, 2006년 12월 15일에 경원선 소요산 - 의정부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의 당시에는 개통되지 않다가 2007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 덕계동의 유래 도덕리와 돈계리에서 각 한 자씩 따서 덕계리라 하였다. 도둔리, 옛날 반촌으로 도덕 군자가 사는 공이라 하여 도덕동이라 불렸다 한다. 도둔이라고 한다 돈계, 뒷산을 발원지로 하는 하천으로 바깥에서 보면 상류가 숨겨있어, 숨어있는 시내' 라 하며, 그 밑에 자리 잡은 동네라 하여 돈계라 부른다.
(107) 양 주 (楊 州) = 양주시 평화로 99(남방동 118-1)에 위치한 양주역(楊州驛)은 양주시에서 명명되었으며 1948년 12월 25일 주내역(州內驛)으로 경원선 철도 영업 개시 1972년 7월 2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 2007년 12월 28일 양주역으로 역명 변경한 경원선의 철도역이다. 2007년 12월 28일 주내역으로는 지역 홍보가 다소 떨어진다고 판단한 양주시의 요청(要請)으로 현재와 같이 양주역으로 변경되었다. 이 역에서 미군기지로 가는 선로가 있다.
☞ 양주시 지명유래
양주지역에 최초의 국가가 형성된 것은 삼한시대 마한의 모수국 이었으며 '양주"라는 지명은 후삼국시대에 최초로 나타난다. 이때의 양주는 지금의 서울로 추정되며 오늘날의 양주는 조선왕조 개국후, 1395년 도읍을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한양주민을 그 당시 견주로 옮기고 견주를 양주군으로 개칭하여 현재의 위치와 지명이 일치하게 된다. 양주는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가 군사적으로 충돌이 잦았던 곳으로 고려말에는 회암사를 중심으로 조선왕조를 개창 하는데 산실 역할을 하였다.
(108) 녹 양 (綠 揚)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757(녹양동 14-11)에 위치한 녹양역(綠楊驛)은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소요산 구간 연장으로 영업개시한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경원선의 역이다. 역명은 동명에서 명명되었다,
☞ 녹양동 지명유래
녹양동은 의정부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北)으로는 양주시 양주동과 접하고 있다. 녹양리라는 지명은 조선시대에 이 곳에 녹양평(綠楊坪)이라는 군마(軍馬)사육 목장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녹양평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에 의하면 그 규모가 동서 7리, 남북 12리라고 하였으며, 중군(中軍)과 좌군(左軍)의 말을 방목하던 곳으로 마릿수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그런데 이 곳에 관한 기록은 그 후에 찬술된『여지도서(輿地圖書)』나 『대동지지』에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전에 폐지된 듯 하다.
(109) 가 능 (佳 陵)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33(가능동 197-1)에 위치한 가능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의정부 북부 임시역이였으나, 2005년 8월 임시역사 사용을 마치고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전철1호선이 소요산역까지 개통하면서 역명이 가능역으로 바뀌었다, 현재 지리적으로 의정부 시내에서 가장 북쪽의 역은 녹양역이므로 의정부 북부역이 라는 기존의 명칭은 사라졌다,
☞ 가능동(佳陵洞) 지명유래
가능동은 1914년 4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때 시북면(柴北面) 가좌리(嘉座里), 어능리(魚陵里), 직동(直)洞)을 합쳐서 가능리(佳陵里)로 개칭하였다가, 1956년에 2개리로 분할되어 가능1리와 가능2리가 되었다. 1970년 7월 1일 가능3동이 분리·신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82년 2월 1일에 동(洞) 관할구역 변경으로 4개통의 24개반이 의정부4동으로 분리되어
☟ 서울교외선
(110) 의정부(議政府) = 의정부시 시민로 95(의정부동 168-54)에 위치한 의정부역은 의정부시에서 명명된 것이다, 연혁을 살펴보면 1911년 10월 15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1950년 6월 30일 한국 전쟁으로 인해 역사 소실 1966년 8월 4일 역사 신축 준공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 1986년 9월 2일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창동~의정부 간 9.4km 개통)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소요산 구간 연장 개통 관계로 경원선 통근열차 착발역 변경으로 인해 일반 여객 취급 중지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 중지
☞ 의정부의 지명유래
조선 제3대 태종이 방번(芳善)과 방석(芳碩)을 살해하고 ‘왕자의 난’을 일으키자 태조는 불충불의(不忠不義)한 자와 함께 살 수 없다고 하여 함흥(成興)으로 옮겼다. 이후 태종은 여러차례 사자(使者)를 보내어 용서를 빌었으나 태조는 사자를 감금, 살해하고 돌려보내지 않았다. 함흥차사라는 말이 이때부터 생겨났다. 그러나 그 후 태조는 화가 누그러지는 듯하면서 태종 2년(1402) 12월에 지금의 의정부까지 돌아오게 되었다. 태조는 한양으로 돌아가지 않고 지금의 의정부 지방에 130일 동안 장기간 머물렀다. 의정부 3정승을 포함한 각 대신들은 한양보다도 지금의 의정부로 와서 정무(政務)를 의논하고 결재를 태조에게 받았기 때문에 의정부라는 지명이 생겨났다고 전한다.
(111) 회 룡 (回 龍) = 1986년 9월 2일 영업 개시한 의정부시 평화로 363(호원동 50-5)에 위치한 회룡역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경원선의 역이다. 인근에 회룡사에서 명명한 것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 회룡사(回龍寺)의 유래
회룡사는 신라 신문왕 1년(681)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으나 조선조 무학대사에 의하여 1395년(태조 4)에 처음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정설이다. 절의 창건과 관련하여서는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에 얽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얘기가 전해지고 있다.
① 1398년(태조 7) 태조가 함흥에서 한양의 궁성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곳에 있던 왕사 무학을 방문했다. 무학은 1394년에 정도전(鄭道傳)의 미움과 시기를 받아 이곳 토굴에 몸을 숨기고 있었는데 이 때 태조의 방문을 받았던 것이다. 태조는 여기서 며칠을 머물렀고, 이에 절을 짓고는 임금이 환궁한다는 뜻으로 그 이름을 회룡이라 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1881년(고종 18년)에 승려 우송(友松)이 쓴 <회룡사중창기>에 전하고 있다.
② 함흥에 내려가 있던 태조가 1403년(태종 3년) 환궁한 뒤 이곳에 있던 무학을 찾아 왔으므로 무학대사가 태조의 환궁을 기뻐하여 회룡사라 했다는 것이다.
③ 1384년(우왕 10년) 이곳 도봉산에서 이성계는 무학대사와 함께 창업성취를 위한 기도를 했는데, 이성계는 지금의 석굴암에서, 무학은 산등성이 가까이 있는 무학골에서 각각 기도를 드렸다는 것이다. 그 뒤 이성계가 동북면병마사 라는 직책을 맡고 요동으로 출전하자 무학은 홀로 남아 작은 절을 짓고 손수 만든 관세음보살상을 모시고 그의 영달을 축원했다고 한다. 그 뒤 왕위에 오른 이성계가 이곳으로 와서 무학을 찾아보고 절 이름을 회룡사로 고쳤다고 한다.
(112) 망월사(望月寺) (★신흥대학) = 의정부시 평화로 219(호원동 50-5)에 위치한 망월사역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이다. 부역명은 신흥대학(信興大學)으로 인근에 신흥대학과 망월사가 있다. 1966년 6월 21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1986년 9월 2일 수도권 전철 개통 (창동~의정부간 9.4km) 1997년 7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1999년 12월 13일 북부역사 준공 역명은 인근 망월사에서 따왔다,
☞ 망월사(望月寺)는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신라 시대인 선덕여왕 8년(639년)에 해호(海浩)가 신라 왕실을 위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망월사라는 이름은 절 동쪽에 토끼 모양의 바위가 있고, 남쪽에는 달 모양의 봉우리인 월봉이 있어 토끼가 달을 바라보는 것처럼 보인다는데서 유래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왕이 있는 경주 월성을 바라본다는 뜻이라는 설도 있다.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태자가 나라가 망한 뒤 이곳에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신라 왕실과 관련이 깊고, 의정부에서 가장 오래된 절이다. 전쟁 피해로 여러 차례 소실되어 건물은 현대에 다시 지은 것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망월사 혜거국사 부도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113) 도봉산(道峰山) (☯ 수도권 7호선) = 도봉구 도봉동 363번지에 위치한 동봉산역은 1986년 9월 2일에 개통하였으며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인근에 도봉산이 있어 명명되었다. 7호선 차량 상당수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인근에 도봉공영차고지가 있다.
☞ 도봉산(道峰山)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북한산 국립공원의 한 부분이다. 백두대간의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뻗은 한북정맥의 연봉을 따라 운악산·불곡산을 거쳐 남서쪽으로 내려오다가 서울 동북쪽에서 우뚝 솟아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으로 이어진다. 최고봉인 자운봉(紫雲峰, 739.5m), 남쪽으로 만장봉(萬丈峰)·선인봉(仙人峰), 서쪽으로 오봉(五峰)·여성봉 이 있다.
(114) 도 봉 (道 峰) = 동봉구 동봉2동 89-159번지에 위치한 도봉역은 마을 이름에서 명명되었다, ♦ 도봉동은 도봉산의 이름을 따서 도봉이라는 마을이름이 시작된 것은 일제 때인 1914년부터 일제가 양주군의 해등촌면(海等村面) 지역인 이 부근과 노원면(蘆原面) 지역을 합하여 노해면(蘆海面)으로 고치고 이 도봉산 아래의 다락원, 서원말, 무수울 등 마을을 합하여 도봉동이라 하였다,
(115) 방 학 (放 鶴) = 도봉구 방학1동 738번지에 위치한 방학역은 도봉서원의 터를 잡으려고 도봉산에 올라가 내려다보니 학(鶴)이 평화스럽게 많이 놀고 있어 방학굴이 되었다는 설과 이곳 지형이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방학골이 라는 설이 있으나 곡식을 찧는 기구인 방아가 있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우리말로 방아골로 불렀던 곳이 한자음이 비슷한 방학리로 다시 방학동이란 동명에서 유래
(116) 창 동 (倉 洞) (☯ 수도권 4호선) = 도봉구 창5동 135-1번지에 위치한 창동역은 1911년 10월 경원선 개통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1985년 4월 20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한성대입구 구간 개통에 따라 환승역이 됨. 1985년 12월 22일 1호선 역사 신축.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 중지.
역명은 나라의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인 조선시대 후기 어영청의 북창이 이곳에 있었기에 동명이 된 데에서 유래
(117) 녹 천 (鹿 川) = 1985년 8월 22일에 개통한 도봉구 창4동 38번지에 위치한 녹천역은 월계동 767번지 근방에 있는 계곡이 합쳐지는데 마치 사슴머리에 난 뿔 같다하여 녹천이라 불렀다는 설과 이 지역에 홍수로 인해 폐허가 된 마을 뒷산에서 사슴이 내려와 마을 앞 중랑천에서 목욕을 하고 간 이후부터 농사가 잘되고 마을일도 순조로워져 녹천이라고 부른데서 유래
(118) 월 계 (月 溪)(★인덕대학) = 1985년 8월 22일에 개통한 노원구 월계4동 261번지에 위치한 월계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다, 녹천(鹿川) 현촌(現,村) 능골등의 합한 마을로서 중량천과 우이천이 동서로 흐르고 있는 곳이다, 월계는 달내 나 달계의 한자 표기로 보인다, 한편 중량천과 우이천으로 둘러싸인 지역이 반달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이라는 설과, 중량천의 지류 이름에서 비롯되어 월계동이라 불렀다는 설도 있다
☟ 경춘선
(119) 성 북 (城 北)(★광운대 앞) = 노원구 성북역 5길 2(월계동 85)에 위치한 성북역(城北驛)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자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의 그룹대표역이다. 경춘선 무궁화호와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가 운행되며, 대부분의 병점발 전동차 및 일부 전동차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부역명은 광운대앞으로 인근에 광운대학교가 있다. 역명과는 달리 성북구가 아닌 노원구에 위치한 것은 1963년 역명 변경당시 성북구 관할구역내 있어 성북역이라 한 것을 그대로 사용
※ 성북역의 연혁 1939년 7월 25일 연촌역(硯村驛) 영업 개시, 경춘철도(京春鐵道) 소속 1946년 5월 17일 미군정의 사철 접수령 반포로 인해 국유화
1963년 3월 5일 성북역(城北驛)으로 역명 변경 1970년 4월 7일 성북역 화물기지 설치 1971년 10월 5일 성동 - 성북간 경춘선 시내구간 폐지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2005년 12월 15일 중앙선의 회기 - 덕소 구간 복선 전철화 연장 개통으로 인해 용산 - 성북 구간 운행 중단
(120) 석 계 (石 溪)(☯ 수도권 6호선) = 1985년 1월 14일에 개통한 노원구 화랑로 343(월계동 85)에 위치한 석계역(石溪驛)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경원선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전철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운행된다. 역명은 성북구 석관동의 석(石) 자와 노원구 월계동의 계(溪) 자를 합쳐 석계(石溪)로 명명되었다.
※ 석계역 연혁 1984년 12월 28일 역사 신축 준공 1985년 1월 14일 경원선 석계역 영업 개시 (보통역) 2000년 8월 7일 6호선 석계역 영업 개시 (상월곡~봉화산 간 4.2km 개통) 2002년 12월 15일 승강장 확장 공사로 인해 하행(인천방향) 승강장 이전 2004년 1호선(경원선) 승강장 확장공사 완료
(121) 신이문(新里門)(★한국예술종합대학)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 64-6번지에 위치한 신이문역은 1980년 1월 5일 국철 경원선상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이다. 역 신설, 영업 개시 (출구 2개) 2007년 4월 13일 신이문역 남부출입구 사용개시, 출구 5개로 확장, 역이 이문동에 위치하고 있지만 굳이 신이문이라는 역명을 사용하는 이유는 2004년 7월 5일 이문차량기지 건설 관계로 폐역된 망우선 이문역과의 명칭 중복에 따른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부역명은 한국예술종합학교(韓國藝術綜合學校)로, 인근에 한국예술종합학교와 한국철도공사 이문차량기지가 있다
☞ 이문동 유래 도둑이 많아 포졸들의 방범초소를 이문에 설치함으로써 그 이 후로 이문리라 하였다, 조선시대 한성부의 성밖의 지역으로 이문동으로 하였는데 일제 강정기중 1936년 경성부가 확정되면서 이문정으로 동부출장소에 있다가 동대문구에 편입 되었다,
(122) 외대앞(外大前) = 동대문구 휘경로 27(이문동 360-9)에 위치한 외대앞역(外大앞驛)은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이다. 개통 당시 역명은 휘경역(徽慶驛)이었으나, 한 때는 부역명으로 외대앞을 쓰면서 역 명칭이 휘경(외대앞)이었고 1996년 1월 1일에 역에 인접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의 이름을 딴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대학교의 창립자 김흥배 박사는, 6.25동란 직후 1954년 1월 한국외국어대학의 설립인가를 받아, 그해 1월 안호삼 교수를 초빙, 초대학장에 임명하였으며, 4월 20일 서울특별시 종로 2가 82번지 영보빌딩에서 개교하기에 이르렀다. 1957년 9월 1일 교사(校舍)를 현재의 이문동에 신축(新築) 이전, 1958년에 첫 졸업생(133명)을 배출, 이문시대의 막이 오르고 외대동문의 사회진출이 시작되었다.
(123) 회 기 (回 基)(★경희대 앞)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동대문구 휘경서길 22(휘경동 317-101)번지에 위치한 회기역은 1980년 4월 1일 개통한 수도권 전철 경원선 1호선이다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회기 - 덕소간 개통한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부역명은 경희대앞(慶熙大앞)으로, 인근에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서울시립대학교가 있다.
☞ 회기동 유래 산 5번지에 염산군의 생모인 성종의 폐비 윤씨의 묘인 회묘(懷墓)(현재 서삼능에 이장)가 있었던 데서 유래되었다, 연산군 10년(1504년)에 능으로 승격되어 회능이라 하던 것을 그 뒤 능이 다시 묘로 되므로서 회묘동(懷墓洞)으로 불렸다가 회(懷)를 소리가 같은 회(回)로 고쳐 회기동(回基洞), 회묘리(回墓里)로 불렸다가 다시 회기리가 되었다, 일제 감정기에 회기정으로 쓰다가 1946년에 우리말로 바꿀 때 회기동(回基洞)으로 되었다,
☟ 서울지하철 1호선
(124) 청량리(淸凉里) = 동대문구 전농2동 620-69번지에 위치한 청량리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지나며 병기역명은 서울시립대입구로 인근에 서울시립대학교가 있다. 바로 근처에 중앙선·영동선·태백선·경춘선이 운행하는 지상 청량리역이 있어 이와 구분하기 위해 지하 청량리역이라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신창역과 천안역에서 출발한 전동차를 포함한 일부 전동차들의 시·종착역 구실을 하고 있다.
☞ 청량리동은 현재 청량리1동에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던 데서 유래된다, 청량사가 있는 곳은 바리산의 푸른 숲과 맑은 샘물이 흘러 여름에 청량한 기운이 감돌아 피서지역으로 적합한 곳이다,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에 속하여 청량리라 하였다, 일제 감정기에 청량리정으로 한 것을 1946년에 동명을 우리말로 고칠 때 청량리동으로, 행정동은 1~2동으로 구분 되었다가, 2007년 시 조례의 의하여 청령리동으로 하였다, ,
(125) 제기동(祭基洞) = 동대문구 제기동 지하 51번지에 위치한 제기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1호선에 있는 역이다. 역 위로 정릉천이 지난다. 인근에는 한약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약령시와 경동시장이 있다.
☞ 제기동 동명유래는 조선시대 풍농(豐農)을 기원하기 위해 친경대(親耕臺) (“즉,, 선농단(先農壇)을 만들고 왕이 제사를 지내던 자리라는 데에 동명이 기원을 두고 있다, 즉 조선 6대왕인 성종이 자신의 친경지인 적전을 마련하고 친제(親祭)를 거행한 뒤부터 동명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되나 민간에 불려 지기는 자연부락 명칭인 방아다라(현 경동시장 부근) 계터,(제터)라 하기도 하고 성북구 안암로 길 벽산 아파트 정문 옆 언덕길을 제터 고개, 또는 고개 넘어 동네를 계터 안말이라고도(현재 벽산 아파트 단지) 한다, 1936년 3월 31일 현재 제기동 관할구역을 보면 제기동 1046의 1번지를 기점으로 136의 247을 연결하는 고산로(古山路)(고대에서 경동시장)를 경계로 한 동쪽지역을 제기1동으로 하고, 제기1동의 관할구역을 제외한 전역을 제기2동으로 하고 있다,
(126) 신설동(新設洞) (☯ 2호선 성수역까지) = 동대문구 신설동 97-75번지에 위치한 신설동역은 동명에서 명명된것이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서울메트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성수지선)의 전철역이다. ※ 미래 향후 2015년에 이 역 이후로 신설동-우이간 서울경전철이 개통될 예정이다.
♦ 신설동 조선시대 숭실방에 새로 설치된 계(契)라고 한뜻을 가지고 불렀다 이로 인하여 새로운 마을이라 하여 새말 또는 신리라 하는 것을 한자로 신설동이라는 동명에서 유래
(127) 동묘앞(東廟前) (☯ 수도권 6호선) = 2005년 12월 21일 개통한 종로구 숭인동 117번지에 위치한 동묘앞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서울메트로(서울 지하철 1호선)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 지하철 6호선)가 운영하는 전철역이다. 역명은 인근에 동관왕묘가 있는 데서 명명되었다. 1호선의 역은 6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개통되었고, 그로 인해 신설동역 이후의 1호선 역번호가 변경되었다. 동대문역에서 시·종착하던 1호선의 일부 서울메트로 소속 차량은 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연결선로를 통해 군자차량기지로 입고된다.
☞ 사당 보물 제142호 동묘는 중국 촉한의 유명한 장군인 관우에게 제사지내는 묘로서 원래 명칭은 동관왕묘(東關王廟)이다. 동묘를 짓게 된 이유는 임진왜란 때 조선과 명나라가 왜군을 물리치게 된 까닭이 성스러운 관우 장군께 덕을 입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서 인데, 명나라의 왕이 직접 액자를 써서 보내와 공사가 이루어졌다.
동묘는 선조 32년(1599)에 짓기 시작하여 2년 뒤인 1601년에 완성되었다. 현재 건물 안에는 관우의 목조상과 그의 친족인 관평, 주창 등 4명의 상을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6칸이고 지붕은 T자형의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지붕 무게를 받치는 장식은 새의 부리처럼 뻗어 나오는 익공계 양식이다.
(128) 동대문(東大門) (☯ 수도권 4호선) = 종로구 창신1동 552번지에 위치한 동대문역은 서울의 대표적인 동대문(흥인지문)에서 명명된 것이며 동대문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만나는 역이다. 청계천 인근에 각종 의류상가가 밀집해 있어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다.
☞ 보물 1호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시대 서울을 둘러쌌던 성곽의 문이다. 동대문(東大門)이라고도 한다. 1396년(태조 5년)에 처음 지어졌다. 1453년(단종 1년)과 1869년(고종 6년)에 고쳐지었다. 조선총독부가 흥인지문을 숭례문과 함께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지나간 역사적 의미가 있는 상징물로 여겨 1934년에 보물 2호로 지정하였다는 주장이 있다. 본래 흥인지문은 동대문구에 속했으나, 수 차례 행정구역이 조정되어 지금은 종로구 관할에 속하게 되어 혼동하는 사람이 많다.
(129) 종로5가(鍾路五街) = 종로구 종로5가 124-8번지에 위치한 종로5가역은 옛 한양(漢陽)때부터 종로는 보신각이 있으므로 종루가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종로라 하였다, 종로5가은 법정동명에서 유래 되었다,
(130) 종로3가(鍾路三街) (☯ 수도권 전철 3호서 ☯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구 종로3가 61-68번지에 위치한 역은 법정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서울메트로(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 지하철 5호선)의 전철역이다.
(131) 종 각 (鐘 閣) = 종로구 종로1가 44번제에 위치한 종각역은 인근에 보신각(普信閣)에서 따왔스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역이다. 지하상가가 설치되어 있으며 영풍문고와 종로타워 등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교보타워 및 교보문고는 도보로 갈 수 있다. 종각역 사거리에는 보신각이 있다. 이 곳에는 매년 12월 31일 제야의 종 타종 행사를 하는데, 이러한 타종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많은 인파가 몰려 각종 사고의 위험성이 우려되어 특정 시간대의 모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과 가까우며, 1번 출구에서 도보 5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한다. 이 역과 시청역 사이에는 상당히 급한 곡선 선로가 존재한다. 이는 당시 동아일보 본사 사옥 지하구간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급하게 선로를 꺾어 건설하였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에도 이 구간에서의 운행 속도는 40Km/h 정도로 대단히 느려서, 지하철 1호선 전체 구간의 표정속도를 감소시키는 주 원인이 되고 있다.
☞ 보신각(普信閣) 서울 종로에 있는 종각. 조선 태조 4년(1395)에 건립된 것으로, 임진왜란과 6·25 전쟁 때 각각 소실되어 재건되었으며, 고종 때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건 후부터 이 이름이 붙었다.
(132) 시 청 (市 廳) (☯ 수도권 2호선) = 중구 태평로1가 31번지에 위치한 시청역(市廳驛)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서울메트로의 전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환승역이다. 역명은 인근에 위치한 서울특별시청에서 따왔다. 1호선의 경우 이 역과 종각역 사이에는 상당히 급한 곡선 선로가 존재한다. 이는 당시 동아일보 본사 사옥 지하구간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급하게 선로를 꺾어 건설하였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에도 이 구간에서의 운행 속도는 40Km/h 정도로 대단히 느려서, 지하철 1호선 전체 구간의 표정속도를 감소시키는 주 원인이 되고 있다.
☞ 서울시청은 1925년 3월에 착공하여 1926년 10월에 준공한 것입니다. 이 설계는 총독부 건축과장 암정장삼랑(岩井長三郞), 동(同) 기사(技師) 세경일(笹慶一) 등이 담당하였습니다. 철근 콘크리트조(造)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서 총면적 2,502평이었고, 벽체는 벽돌로 쌓고 외벽면(外壁面)은 하부 징두리에 화강석을 붙인 외에는 모르타르 칠로 석조 모양을 내었습니다. 건축양식은 근대주의 이전의 과도기적인 절충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133) 서울역(지하역) (☯ 수도권 4호선) = 중구 봉래동2가 122번지에 위치한 서울역은, 사적 제284호 서울역사(驛舍)에서 따왔다, 1899년 4월 착공되어 같은 해 9월 18일에 인천~노량진 33.2km 구간을 개통하였다. 이어 1900년 8월 8일 한강철교(漢江鐵橋)가 개통되면서, 같은 해 서울 남대문역까지 기차가 들어오게 되면서 겨우 10평짜리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대충 짓고 ‘남대문정거장이라 불렀다. 1925년 9월에 현 위치에 서울역이 완공한 서울역에 이름 따서 별도의 지하철 서울역이라고 하였다,
(134) 남 영(南 營) = 용산구 갈월동 96-1번지에 위치한 남영역(南營驛)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경부선의 전철역이다. 인근에 서울 지하철 6호선이 교차 통과하고 있으나 양 노선 모두 역간거리가 너무 짧아지는 문제로 환승이 이루어지지지 않는다. 역명과는 달리 남영동이 아닌 갈월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영동과도 약간 거리가 있다.
☞ 남양동은 한강로』를 따라서 직사각형의 지형을 가진 남영동은 서울 남쪽에 군영이 있었던 것에서 그 지명이 유래하였다. 현재 남영동 남쪽에는 주한미8군이 주둔하고 있으며 해방전 일본군 주둔지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135) 용 산(龍 山)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용산구 용산역길 24(한강로3가 40-999)에 위치한 용산역은 용산구에서 명명된 것이며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역이다. 호남선과 전라선, 장항선 일반열차가 출발하는 역이다. 경부선 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또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환승역이며, 동인천· 천안행 급행열차가 시·종착한다.
☞ 용산구(龍山區)의 명칭이기도 한 용산은 도성 서쪽인 모악의 남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가, 만리현을 지나 한강변을 향하여 굽이쳐 나간 모양이 마치 용이 몸을 틀어 나간 형세와 같고, 또 한강변(용산구와 마포구의 경계)에서 보면 머리를 든 용의 형상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36) 노량진(鷺梁津) = 동작구 노량진로 102(노량진1동 112번지)에 위치한 노량진역은 동명에서 명명 된것이며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899년 9월 18일에 한국 최초로 경인선 33.2km의 철도가 개통됨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일반 열차는 2005년 1월 20일 이후로는 취급하지 않도록 변경, 무정차 통과하게 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 업무만 하게 되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이 인근에 있지만 민자역사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환승통로를 가설할 수 없어 현재 직접 환승은 불가하며, 출구를 통해 역을 빠져나온 뒤 다시 개찰구를 이용해야 한다. 선불·후불식 교통카드 사용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에 따른 거리비례 1회 차감 환승할인이 가능하지만, 1회용 교통카드(재구매 필요)나 정기권(1회 추가차감) 이용객은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다. 2008년 12월 23일 착공한 노량진 민자역사가 완공되면 환승통로가 개설될 예정이다. 1번 홈의 경우 선상역사 이용 없이 길에서 수평적으로 개찰구를 통과하면 승강장과 바로 통하게 되어 있다
☞ 노량진(鷺梁津)의 유래 조선시대 한강의 방비를 맡은 한강 삼진(三鎭)의 하나인 노량진(鷺梁鎭)이 있었으며 노량진(나루터) 앞의 한강을 노들강이라 하고 이곳 나루의 백노가 노닐던 곳이라 하여 동명이 된 것에서 유래
(137) 대 방(大 方) = 영등포구 신길7동 1336번지에 위치한 대방역은 경부선의 전철역으로, 경부선에서 유일하게 광역 철도와 본선이 전혀 다른 위치에 놓인 채 건설되었다. 주소 상으로는 영등포구 신길동이지만 역사 건물이 양쪽 구에 걸쳐 있는 형태로서, 70% 이상이 동작구 대방동에 있기 때문에 역명은 대방으로 결정되었다
☞ 대방동의 유래 신대방동 일대에 높은 절과 번댕이라는 두 마을로 이루어진 곳이다, 번댕이는 번당리(樊唐里)로 표기되어 왔는데 1914년 3월 1일 일제가 행정구역을 폐치, 분합할 때 시흥군 경성부 하북면 번대방리(樊大方里)로 바뀌었고, 1936년 4월 1일 관할구역을 확정할 때 번대방리 중 상도천(上道川)의 오른쪽 지역이 경성부에 편입되어 번대방정이 되었다가 해방 후인 1946년 10월 1일 대방동으로 바뀐 곳이다,
(138) 신 길(新 吉) (☯ 수도권 전철 5호선) = 1997년 4월 30일에 개통한 영등포구 신길동 42-2번지에 위치한 신길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 신길동 유래 문헌상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1914년 일제에 의하여 경기도 시흥군 하북면 지역으로 신길리의 상방하관(上方下串)이라 부르던 곳이었다,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1943년 경성부 영등포구역 관할하에 있다가 1946년 영등포구 신길동이 되어 현재에 이루고 있다, 신길동에는 조선시대부터 영등포에서 바로 서울로 들어가는 방학호진(放鶴湖津) “즉,, 방아곶나루가 있다,
(139) 영등포(永登浦) = 영등포구 영등포1동 618번지에 위치한 영등포역은 영등포구에서 따왔다, 예전에는 한강을 통해 선박이 드나드는 포구였으므로 영등포라 하였다, 영등의 내력은 당시 갯마을이었던 곳에 영등할머니 영등 굿 놀이와 같은 무속신앙에서 유래 되었다, 1990년에는 서울특별시 최초로 민간사업자가 역사(驛舍)를 운영하는 민자역사 형태의 역이 되었다.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서울 - 천안 간 B급행 열차의 경우 서울행 차량만 역에 정차한다. 2008년 12월 1일부터 철도 시간표 전면개정에 의하여 광명행 전동 열차의 시·종착역이 되었다.
(140) 신도림(新道林) (☯ 수도권 전철2호선) = 1984년 5월 22일에 개통한 구로구 신도림동 460-26번지에 위치한 시도림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의 전철역이다. 1호선의 역은 2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경부선상에 신설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도림동유래 조선시대 말까지는 경기도 시흥군 상북면 도야미리(道也味里) 원지목리(遠芝牧里)등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1914년 3월 1일 경기도내 각 면의 명칭과 구역을 다시 정함에 따라 경기도 시흥군 북면 도림리(道林里)가 되었다, 1936년 4월 1일 경기도 시흥군의 영등포읍과 북면 동면지역의 일부가 경성부에 편입될 때 도림리 중 상도천(上道川) 우안(右岸)지역만 경성부에 편입되어 도림정이 되고 상도천 좌안(左岸)지역은 이에서 제외되어 경기도 시흥군 동면 도림리로 편입되었다, 1949년 8월 13일 서울특별시 행정구역이 확정될 때 도림리는 영등포구에 편입 되었는데 1936년에 먼저 편입된 되림리가 있는 까닭에 신도림리라 하였다,
☟경인선
(141) 구 로(九 老) (☯ 경부선) = 구로구 경인로 361-5(구로5동 585-5)에 위치한 구로역은 경인선 경부선이 분기되는 역이며 역명은. 동명에서 따왔다, 옛날 이곳 구로동에 사는 아홉 노인이 오랫동안 장수하였으므로 구로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본래 시흥군 동면 지역으로 1949년 8월 영등포구에 편입되었고, 1980년 4월 영등포구에서 나누어져 구로구가 신설되고, 1995년 3월 1일 구로구에서 금천구가 나누어졌다,
(142) 구 일(九 一) (★ 동양공전앞) 1995년 2월 16일에 개통한 구로구 구로1동 642-7번지에 위치한 구일역은 경인선의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부역명은 동양공전앞(東洋工專앞)으로, 인근에 동양공업전문대학이 있다. 이 역은 안양천 위에 위치하며, 구로1동에서 명명되었다, 소요산행과 인천행의 승강장이 다르다.
(143) 개 봉(開 峰) (★ 한영신대) = 구로구 역전길 23(개봉본동 415번지)에 위치한 개봉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경인선의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된다. 부역명은 한영신대(韓榮神大)로, 인근에 한영신학대학교가 있다.
☞ 개봉동 유래 그전 부천군 소사읍(素砂邑) 지역으로 개웅(開雄), 갈탄(葛灘)(가린열 가린여울), 덕고개, 광주물, 잣절(柏寺), 천신(天神) 등의 마을을 합하고 개웅과 골봉, 매봉 등의 이름을 합쳐 개봉동이라 불렀다고 한다,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면서 영등포구 오류동출장소, 1968년 오류출장소 폐지되어 영등포구 직할동이 되었다, 1973년 경기도 시흥군 서면 광명리 일부를 개봉동에 편입 1980년 영등포구에서 구로구로 분구되어 현재의 이루고 있다,
(144) 오류동(梧柳洞) = 구로구 오류역길 11(오류1동 66번지)에 위치한 오류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경인선의 철도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전철역이다.
☞ 오류동 유래 오동나무 버드나무가 많아 조선시대 부평도호부 오류리로 처음 그 이름이 보인다, 1895년 5월 26일 인천부 부평군 수타면 오류리, 1896년 8월 4일 부평군이 인천부에서 벗어나 경기도의 속하게 됨에 따라 자연히 경기도 부평군 수탄면 오류리가 되었다, 1914년 3월 1일 경기도 부편군 게남면 오류리, 1931년 4월 1일 경기도 부천군 소사면 오류리로 바뀌고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행전 구역 확장에 따라 시흥군, 김포군, 부천군의 12개면 90개리를 서울특별시로 편입하여 오류출장소 관할에 있다가, 1968년 출장소가 폐지됨에 따라 영등포구 직할로 편입, 1980년 4월 1일 영등포구에서 구로구가 신설함에 따라 구로구에 속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45) 온 수(溫 水) (★ 성공회대입구) (☯ 수도권 전철 7호선) = 1988년 1월 16일 개통한 구로구 온수동길 121 (온수동 51-7번지)에 위치한 온수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경인선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부역명은 성공회대입구(聖公會大入口)로 인근에 성공회대학교와 유한대학이 있다.
현재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시·종착역으로, 온수역 이후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지구 일대를 거쳐 인천 메트로 1호선의 부평구청역에 이르는 연장 노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온수역에서 직진하는 1호선과 달리 부천시 북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3기 지하철로 구성되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연장 노선이 2011년 3월에 개통되면 중간 정차역이 된다. 그러나 연장 구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천시의 재정 악화로 인해 부천시 구간의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
☞ 온수동 유래는 온수골에서 유래하였는데 옛날 이 지역일대에서 더운물이 나왔기 때문에 온수골이라 하였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약 300년 전에 물이 나왔다고 하나 이는 막연한 전설인 것 같다, 조선영조 대에 부평도호부 온수리, 1895년 5월 26일에 인천부 부평군 수탄면 온수리, 1914년 3월 1일 경기도 부평군 계남면 온수리, 1931년 4월 1일 경기도 부천군 소사면 온수리가 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오류출장소 온수동으로 변천 되어왔다, 오류출장소가 폐지됨에 따라 영등포구 직할 동으로, 1980년 4월 1일 구로구가 영등포구에서 분할 신설됨에 따라 자연히 구로구 관할이 되었다,
(146) 역 곡(驛 谷) (★ 가틀릭대) = 부천시 원미구 역미1길 1 (역고동 382번지)에 위치한 역곡역은 옛날에는 벌응절리 사하리(沙下里) 사리월(士里月) 지역을 합하여 옛날 역원(驛院)이 있었다 하여 역곡이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경인선의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는 전철역이다. 부역명은 가톨릭대로, 인근에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聖心校庭)이 위치하여 있다.
(147) 소 사(素 砂) (★ 서울신대) = 1997년 4월 30일에 개통한 부천시 소사구 경인로 395 (소사본동 395번지)에 위치한 소사역은 이 지역의 수백 년 묵은 괴목이 있었기에 1914년 부천군이 탄생하면서 계남면 괴안리라 하였고 계남면이 소사읍으로 바뀌었다 소사는 예로부터 복숭아로 유명한 전원지로 소사 또는 소새 소쇠등으로 불렀다 토박이말로 소새(쇠)로 읽는다, 이곳에 오래 산 촌로들은 지금도 소새(쇠)라고 말하지 소사라고 말하지 않는다, 소사는 사금이 있는 석별토지 질에서 유래 된 동명에서 유래
(148) 부 천(富 川) (★ 부천대입구) = 부천시 소사구 자유시장길 2 (심곡동 316-2번지)에 위치한 부천역은 1914년 군 면 통폐합 때 인천(仁川)과 부평(富平)에서 글자를 따 부천군(富川郡)으로 하였다, 1899년에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소사역이었다, 1973년 부천시가 되기 전에도 소사역을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부천역으로 변경하였다,
※ 연혁 1899년 9월 18일 : 소사역(素砂驛) 영업 개시 1973년 7월 1일 부천역(富川驛)으로 역명 변경 (부천시 승격) 1974년 7월 30일 역사 신축 준공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개통 1980년 8월 10일 김포선 폐선 1999년 2월 1일 민자역사 준공
(149) 중 동(中 洞) = 1987년 12월 31일에 개통한 부천시 소사구 장승업 1길 99(송내동 632번지)에 위치한 중동역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경인선의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 한다 부천시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하여 중동역이 됨
(150) 송 내(松 內) = 부평시 소사구 송내동에 위치한 송내역은 솔 안말로 경인 국도와 경인전철 사이에 위치한 마을입구에 해묵은 소나무가 마을을 둘러싸고 있어 한자로 소나무 송(松)자와 안은 안내(內)자에서 송내라는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에 위치한 경인선의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중이다.
(151) 부 개(富 開) = 1996년 3월 28일 개통한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수로 350 (부개1동 468번지)에 위치한 부개동은 본래 부평군 부내면 마부리였는데 1940년 인천부로 편입되어 명치정이 되었다가 해방 후 동명을 우리식으로 고치면서 부계동명에서 유래
(152) 부 평(富 平)(★가톨리대성모자애병원) (☯ 인천 지하철1호선) = 부평구 동수로 350(부평1동 738-21번지)에 위치한 부평역은 길주목에서 고려 충선왕 (1310)에 부평으로 개칭하면서 부평은 넓은 황무지를 개척하여 넓은 곡창지가 되었는데 농지가 넓어 수확이 많이 나고 풍요로운 평야라는 지명에서 명명되었으며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역이다. 경인선의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메트로 1호선간의 유일한 환승역 기능 외에 가끔 화물 취급도 한다.
(153) 백 운(白 雲) = 1984년 11월 29일 개통한 부평구 백운서길 15(십정동 539번지)에 있는 백운역은 1999년까지 만해도 이곳은 서울방향 백운역방향 인천방향의 간석 오거리로 넘어가는 원통고개가 있어 당초에는 원통역으로 인천시 지명위원에서 결정 되었으나, 1984년 역 이름을 공모할 때 주민들이 고려 1219년 때 대문호였던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 부평부사의 호를 따서 백운역으로 변경하였음
(154) 동 암(銅 岩) = 부평구 십정2동 474-1번지에 위치한 동암역은 지리적으로 이 지역에서 구리가 많이 나와서 자연부락 동암리라 부른데서 유래되었으며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경인선의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인천 메트로 1호선 간석오거리역과 꽤 가까운 곳에 있다. 인근에 인천메트로가 있다. 이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중이다
(155) 간 석(間 石) = 1994년 7월 11일 개통한 남동구 석정로 438 (간석동762-25)에 위치한 간석역은 간석이 신설당시 염전지역으로 가칭 영빙역으로 하였으나 산업화의 변동으로 염전이 서서히 사라지고 간석동에 위치하고 있어 간석역으로 확정하였으며 간석역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경인선의 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는 역이다. 인천1호선 간석오거리와 혼동할 우려가 있다
☞ 간석동(間石洞)의 유래 간석동이란 양촌과 돌말이 합쳐져서 생긴 이름이며 구한말 인천부 주안면2리였으나 1913년 부천군 다주면 간석리로 되었다. 이 간석리는 석촌, 간촌, 석암으로 이루어졌다. 해방 후 1946년 동명개정으로 간석동이 되었다. 자연부락으로 '돌말' '큰말' '넉말' '양촌' '벌터' '쇠마니' '풀무꼴'등이 있다. 1970년대 이후 새로운 시가지조성으로 인구가 급증하여 인천의 중심지가 되어 가고 있다. 현재는 시세확장에 따라 4개 동으로 늘어났다
(156) 주 안(朱 安) = 인천시 남구 주안로 95-19(주안동 125번지)에 위치한 주안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인천광역시 남구 주안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경인선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부역명은 인하대학교(仁荷大學校)이지만, 실제로 인하대학교·인하공업전문대학과는 버스로 20여 분 거리로 멀리 떨어진 편이다. 급행열차가 정차하며, 인천 지하철 2호선과의 환승이 예정되어 있으며, 과거 일부 경인선 전철이 종착하기도 했다.
☞ 주안동유래 석 바위 뒷산의 이름이 주안산이며 이 산의 흙색이 붉고 산형태가 마치 기러기가 내려앉은 것 같다하여 주안산이 되었다, 주안동은 1906년 5월 인천부 다소면 충후부리와 시미리라고 불리우다가, 1914년 3월 1일 부천군이 신설되고 동년 4월 1일 주안면과 다소면을 통합 사충리로, 1936년 10월 1일 인천부에 편입된 직후 간석동의 일부와 관교동에 일부를 편입하여 주안리로 개칭한데에서 유래
(157) 도 화(道 禾) = 2001년 11월 30일에 개통한 인천광역시 남구 숙골로 24번길9 (도화1동 668에 위치한 도화역은 다소면 베(禾)말 일명 쑥골 도마(道馬)다리라 불리우다가 1903년 동리명(洞里命) 확정 때 화동, 도마교리였던 것을 1914년 도화동으로 개칭 불렀고, 도미교리란 경인도로가 개설 할 때 말이 지나는 다리마을 이라는 뜻이고 도화리란 도마교리의 도(道)자와 화동이란 화(禾)자를 따서 지은 동명에서 유래
(158) 제물포(濟物浦) (★인천대앞) = 남구 경인로 129(도화동 450-39번지)에 위치한 제물포역은 1899년 9월 18일 경인선이 노량진에서 제물포까지 개통할 때 인천해안(仁川海岸)에 있는 옛 지명으로 1883년 1월 1일 일본인에 의해 개항(開港) 할 때 이름을 제물포로 물자가 건네지는 포구(浦口)란 뜻에서 유래된 제물포역은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과 숭의동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경인선의 철도역이다. 개업 당시의 역명은 숭의역(崇義驛)이었으며 지금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부역명은 인천대앞이다. 인천대학교는 2009년 9월 1일 부로 송도로 이전하여 부역명이 사라졌다. 2009년 중에 부역명이 재능대학으로 바뀔 예정이 있고, 차내 안내방송은 현재 인근의 재능대학에 대한 안내방송이 실시되고 있다.
(159) 도 원(桃 源) = 1994년 7월 11일 개통한 동구 참외전로 245(창영동 179-1 번지)에 위치한 도원역(桃源驛)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경인선의 역으로,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으로 영업 중이다. 명칭과는 달리 도원동이 아니라 창영동에 위치하고 있다. 역 앞에는 1897년 3월 22일 쇠뿔고개(현 도원역 부근)에 한국철도최초기공지비(韓國鐵道最初起工址碑)가 있으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에도 이 기념비가 그려져 있다.
☞ 중구 도원동 유래 공설운동장 맞은 편에 위치하고 있는 도원동은 본래 구한말 인천부 다소면 장천리와 독각리 일부가 합쳐져 생긴 마을이었다. 개항 직후 일본인들이 운영하는 복숭아 과수원이 마을 산 언덕에 있었다. 그 뒤로 이 산을 도산(桃山)이라 부르게 됐다고 한다. 해방 뒤 도원동이 되었는데, 산 언덕에 활터가 있었고 지금 소방서 자리엔 화장터와 전염병 환자를 격리해서 치료하던 덕생원이 있었다.
(160) 동인천(東仁川) = 중구 참외전로 121(인현동 1-618번지)에 있는 동인천역은 1899년 9월 18일 유현역(柳峴驛)으로 영업개시 1926년 상인천역으로 역명을 개칭하였고 1955년 인천부 지역의 동쪽에 위치해 있어서 동인천이라 명명되었으나 현재의 지리상으로는 인천의 서부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시민들은 이 일대를 통상적으로 동인천이라 칭하고 있다. 인근에는 답동성당이나 신포시장, 대한서림, 애관극장, 내리교회 등 다소 오래된 구시가지가 있다. 특히 자유공원과 신포동 일원에는 구한말 일제 강점기 개화기 유적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161) 인 천(仁 川) = 중구 재물량로 307-2(북성동1가 3번지)에 있는 인천역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그룹대표역으로 경인선의 종점이다. 인천역 일대를 예전부터 인천 사람들은 "하인천"이라고 불렀고, 인천역은 자연히 "하인천역"이라 불렸다. 지금도 이 곳에서는 인천역을 하인천역으로 부르는 사람을 볼 수 있고, 인천역 건너편에는 인천중부경찰서 하인천지구대가 있다. 1908년 영업을 개시했으며, 1974년부터 전철역으로서 수도권 전철 영업을 시작했다. 인근에 차이나 타운과 월미도, 인천항, 인천 자유 공원이 있다. 향후 수인선과 월미은하레일이 개통되면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인천 이란 지명유래는 칠대어향(七代御鄕) “즉,, 고려 때 7대의 걸쳐 왕의 어머니와 왕비를 배출한 명문지역으로 고려 인종(1122-1146)의 어머니 순덕왕후 인주 이씨(仁州 李氏)의 고향이 되므로 인주라 한 것을 고려 말 공민왕 2년(1390년)에 이르러 경원군(慶源郡)으로 개칭,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이르러 모든 군이나 현에 주(州)로 바꾸는 바람에 인주가 물에 가깝다하여 인천군으로 바꾸었다 인천의 유래는 인주 이씨에서 유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인천 이씨를 인주이씨 경원이씨라고도 한다,
☟ 경부선
(141) 구 로(九 老) (☯ 경인선) 구로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역이다. 경부선에서 경인선이 분기되는 역이다.
(p 142) 가산디지털단지(加山디지털 團地) (☯ 전철 7호선) 금천구 벚꽃십리길 68(가산동 468-4번지)에 위치한 가산디지털단지역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경부선 상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7호선 역 승강장의 경우, 암반을 뚫어 건설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벽과 승강장이 인공 암석으로 되어있었다. 하지만 지하 동굴형 인테리어가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화재에 취약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2009년 9월 승강장 벽면 교체 작업에 착수, 2010년 1월 공사를 완료하였다.
본래의 역명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동에 위치하고 있어서 가리봉(加里峰)이었으나, 1995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인하여 동명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변경됨에 따라 2005년 7월 1일에 역명을 이곳 디지털단지의 이름 따서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변경하였다.
(p 143) 독 산(禿 山) (★ 하안동입구) = 1998년 1월 7일 개통한 금천구 벚꽃십리길 260(독산동 1081-21번지)에 위치한 독산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한 경부선의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부역명은 하안동입구(下安洞入口)로, 인근 안양천을 경계로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과 매우 가까이 인접하고 있다.
☞ 독산동유래는 구룡동(九龍洞), 가운뎃말, 말뫼(斗山), 반수(盤水), 문성동(文星洞), 서촌, 주막거리, 징개물거리 등을 합한 마을로서 산봉우리가 나무가 없어 대머리 독(禿)처럼 뾰족하게 벗어졌으므로 독산동이라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에 기록된 본관: 금천(衿川) 강희(姜曦) 호는 독산(禿山)에게 어는 사람이 호를 붙였는가 아니면 딴 뜻이 있는가? 하고 물었다, 강희가 대답하기를 내 집 뒷산이 벌거숭이 산이다, 원래는 나무가 있었는데 한성외부에 있는 까닭에 도끼로 찍히고 소나 염소 따위에게 먹힘을 당하여 벌거숭이가 되었다고 한 것으로 보면 조선중기 이전부터 독산이라고 부른 것이 확이 된다, 지금의 독산동 문성초등학교 부근의 산이다,
(p 144) 금천구청역(衿川區廳驛) = (☯ 경북고속전선) 서울 금천구 벚꽃십리길 378(시흥1동 113-77번지)에 위치한 금천구청역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다. 이 역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시흥연결선을 통하여 분기한다. 2006년 12월 이후로는 고속철도 광명역으로 갈 수 있는 광명 셔틀의 환승역 역할을 겸하고 있다.
금천구 시흥1동에 있어서 원래 역명은 시흥(始興)이었는데, 경기도 시흥시 소재 역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많고 지역 홍보 효과가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인근에 준공된 금천구청 신청사의 이름을 따 역명을 변경하였다.
(p 145) 석 수(石 水) = 1982년 8월 2일 개통한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산업도로 1027(석수2동 422-3번지)에 위치한 석수역은 관악산과 삼선산에서 둘러 쌓인 안양유원지 일대에 석공(石工)이 많아 석구동(石手洞)이라 하였으나 1932년 개설된 수영장을 석수동수영장(石水洞水泳場)이라고 하면선서 石手가 石水로 바뀌게된 동명에서 유래
(p 146) 관 악(冠 岳) =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462(석수1동 110-21번지)에 위치한 관악역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위치한 1974년 8월 15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과 함께 경부선에 개업한 전철역이다. 역명으로 인해 서울특별시 관악구 소재 역으로 자주 오해되는 경우가 있어서, 2009년 7월 1일부터 안양예술공원이라는 부역명이 제정되었다. 인근의 안양예술공원으로 가는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1970년대 대한민국 철도청에서는 인근 전력분배소 위치 부근에 임시승강장 안양풀장역을 영업하기도 하였다.
(p 147) 안 양(安 養) =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230 (안양1동 88-1번지)에 위치한 안양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신라 효공왕 3년(900)에 고려태조 왕건이 남쪽을 정벌하러 지나다가 삼선산에 오색구름이 가득피어 오르자 이를 이상히 여겨 살펴보다가 능정(能正)스님을 만나 세워진 안양사찰의 이름을 따 동명이 된 데에서 유래
(p 148) 명 학(鳴 鶴) (★ 성결대앞) =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20 (안양8동 383-1번지)에 위치한 명학역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위치한 경부선의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부역명은 성결대앞(聖潔大앞)으로, 인근에 성결대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 명학이란 역명은 법정동이 아닌 안양8동에 자연부락 옛 지명으로 명학초등학교 아래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가 1974년 서울 - 수원간 전철개통과 동시에 명학역이 건설되면서 부터이다, 구전에 따르면 조선조 인조 때 좌의정을 역임한 심기달이 부친 심간의 묘를 비산1동 수푸루지 뒷산에 묘를 쓰려고 땅을 팠는데 돌 밑에 학 두 마리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 중 한 마리가 안양2동 소재 양명고등학교 옆에 위치한 오미산 뒤로 날아갔고 한 마리는 명학초등학교 옆에 위치한 바위에 날아와 앉더니 슬피 운 후 어디론가 날아갔다고 한다, 그 후부터 이 바위를 학이 울던 바위라 하여 명학바위라 칭했고 마을이름도 명학동이라 부른데서 유래
(p 149) 금 정(衿 井) (☯ 수도권 전철 4호선) = 1988년 10월 25일 개통한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87-7번지에 위치한 금전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승강장(昇降場)에서 바로 갈아 탈수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전철역이다. 경부선 부설 당시에는 영업하지 않다가, 안산선의 개통과 더불어 안산선의 분기 역할을 수행하는 수도권 전철 전용역으로 만들어졌다. 경부선에서 과천선과 안산선이 합류·분기·직결한다.
☞ 금정동명유래 본래 큰 샘이 있는 곳이어서 금우물, 금물 또는 금정이라 불렸다고 한다. 또한 벌판에 자리 잡은 마을이라 어느 곳이나 파기만 하면 물이 잘 나와 물 깃는 여인들의 옷깃을 적신다하여 금정이라 부른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는 정조 임금의 화성 거둥시 이곳을 지니다가 큰 샘에서 물을 마셨으므로 그 샘을 금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이럴 때 금정의 ‘금’은 크다는 뜻의 ‘큼’, ‘큰’을 표기한 글자로 볼 수 있으며 큰 우물이 있어서 큰 우물, 금우물, 금물 또는 금정이라 부른 것으로 풀이한다.
(p 150) 군 포(軍 浦) 군포시 군포역3길 7(당동 134-1번지)에 위치한 군포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경기도 군포시에 있는 경부선의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통근형 전동차만 정차한다. 인근에 군포1동주민센터, 신라테크노빌, 이마트 군포점이 있어 한세대앞(韓世大앞)이었으나, 대학과 더 가깝고 인접한 당정역의 건설로 인해서 부역명은 2009년 12월 1일에 삭제되었다
☞ 군포시 지명유래 시흥군을 분할하면서 군포시로 오늘에 이른다, 군포라는 명칭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하나는 임진외란 때 의병과 승군(僧軍) 그리고 관군이 군포지역에서 군장을 재정비 하였는데 그 당시 마을 사람들이 굶주린 병사들에게 식사를 재공하고 사기를 북돋워주어 왜병을 물리치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 이 때 군사를 배불리 먹여다는 의미로 군포(軍飽)라고 하였다가 세월이 흘러 (물가 “즉,,) 개퍼포(浦)자로 바뀌어 동명이 된 데에서 유래
(p 151) 당정역(堂井驛) (★ 한세대역)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938번지에 위치한 당정역은 2010년 1월 21일 신설한 경부선 군포역과 의왕역 사이의 역이다. 의왕역과 군포역의 긴 역간거리로 불편을 겪던 인근 주민들의 수 년간의 민원에 의하여 건설이 결정되었다. 2008년 6월 19일에 착공식을 가졌으며, 공사에는 총 300억원의 재정이 모두 군포시의 시비로 투입되었다.
인근 한세대학교에서 기존의 군포역에 비해 가까운 이 역에 한세대역이라는 역명을 추진하여,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흑석역과 유사한 논쟁이 점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의견 공모 결과에서 당정역으로 최종 확정되어 일단락되었으며, 한세대는 부역명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 역 개통과 동시에 의왕역 번호가 P152번으로 바뀐다.)
(p 152) 의 왕(義 王) (★철도대학) = 경기도 의왕시 삼동 191번지에 위치한 의왕역은 1944년부터 사용 해 온 부곡역(富谷驛)을 의왕시의 이미지 개선과 정체성 확보뿐 아니라 시의 인지도 홍보를 위해 역 명칭 변경을 공식 요청한 결과 철도청이 자체 훈령 8110호로 명칭변경을 승인, 2004년 6월 25일부터 의왕역으로 변경된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주업무는 화물열차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여객 취급이다. 부역명은 한국철도대학(韓國鐵道大學)으로, 인근에 한국철도대학과 철도박물관, 한국철도인재개발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위치해 있다
☞ 의왕시 지명유래 서울과 수원 중간에 위치한 공업도시로 1989년 시로 승격 시흥군에서 분리된 의왕시는 의인면(儀仁面)과 왕곡면(旺谷面)이 합쳐진 동명이다, 일제 강점기의 민족말살정책으로 옳을 의(義)자를 거동 의(儀)로 임금 왕(王)자를 일본의 일(日)자를 붙여 성할 왕(旺)으로 바뀐 것을 2007년 2월 옛 명칭을 되찾아 의왕시(義王市)로 동명을 바뀌었다,
(p 153) 성균관대(成均館大) = 1979년 2월 1일 개통한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149(율전동 495-2번지)에 위치한 성균관대역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된다. 초기에는 율전역으로 개업하였으나, 인근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의 요청으로 역명이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이 율전역으로 역명을 환원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 - 천안간 급행열차가 아침 시간대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나, 저녁 시간대의 하행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p 154) 화 서(華 西) = 수원시 팔달구 역전로 693(화서2동 464번지)에 위치한 화서역은 조선 정조 18년(1794)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군(지금의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 배봉산)에서 수원으로 옮기면서 수원성을 짓기 시작하여 정조 20년(1796) 완성한 화서문에서 동명을 명명한데에서 유래
(p 155) 수 원(水 原) =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924 (매산로 1가 18번지)에 위치한 수원역은 1905년 1월 1일 개통 되면서 수원역으로 영업개시 하였으며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그룹대표역으로, 경부선 모든 열차와 급행을 포함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전동차가 정차한다. 현재의 역사는 민자역사로서 역사 내에 애경백화점이 위치하고 있다.
한때 수도권 전철 전동차는 모두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으나, 현재에는 병점역으로 기능이 이전되어 이 역에서 시·종착하지 않게 되었다. 수원이라는 이름이 등장한 시기는 고려 충성왕 2년(1310)에 수원부가 설치되면서 부터이며 그 이전에는 모수(牟水) 혹은 매홀(買忽)로 불리어졌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시로 승격된 지명에서 유래
(p 156) 세 류(細 柳) = 2003년 4월 30일에 개통한 권선구 정조로 387(장지동 44-2번지)에 위치한 세류역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경부선의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외 새마을호 이하 모든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인근에 군사 시설인 수원 비행장이 있어 보안 관계로 역사는 승강장과 별도로 위치하고 육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대피선이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다. 역명과는 달리 세류동과는 조금 멀리 떨어져 있다.
☞ 세류동유래 원래 이름은 새곡리(細谷里)로 가는 골짝기에 형성된 마을 이라는 뜻이며 상류천은 수원천 하류를 통과하는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아서 상류천이라 부리었다, 세곡리에서 세(細)자와 상류천(上柳川)의 류(柳)자를 따서 세류동이라 불러진 동명에서 유래
(p 157) 병 점(餠 店) = 2003년 4월 30일에 개통한 화성시 떡전골 395(태안읍 진안2리 824번지)에 위치한 병점역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경부선의 역으로, 역명은 인근의 병점동에서 유래했으나 실제로는 진안동에 위치한다. 부역명은 한신대(韓神大)로, 인근에 한신대학교가 있다.
☞ 병점동유래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에서 서울로 가는 큰 길목으로 자연스럽게 행인과 떡을 파는 가게들이 많아 떡정거리로 부르던 것을 한자로 병점(餠店)이라 동명에서 유래
(P 157-1) 서동탄역(西東灘驛) 오산시 외삼미동 470번지의 위치한 서동탄역은 경부선의 지선이자 병점차량사업소의 인입선인 병점기지선의 전철역이다. 명칭과는 달리 역사는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동에 위치해 있으며, 승강장은 오산시와 화성시에 걸쳐 있다. 병점차량사업소 내부에 있으며 사업소 북쪽 끝에 역이 위치해 있는 것이 특징으로,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서 건설되었다.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를 포함하여 성북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최대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운행한다. 2010년 2월 27일 오전 11시에 치러진 개통식에 앞서, 식 하루 전인 2월 26일 첫차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 역명은 화성시와 오산시 경계에 걸쳐 있어서 화성시는 동탄신도시의 이름을 따서 서동탄으로, 오산시는 인접한 외삼미동의 이름을 따 삼미로 역명을 정할 것을 주장하여 지자체 간에 신경전이 벌어졌었다. 한국철도공사가 2009년 10월 14일 화성시의 의견을 받아들여 역명을 서동탄역으로 최종 결정하였고, 이에 반발하는 오산 시민들이 서동탄역 역명 지정을 취소해 달라는 소송을 내는 일도 있었다, 역명 결정 이후, 역사 신설 비용으로 화성시가 360억원 모두를 시비로 충당하였다.
(p 158) 세 마(洗 馬) = 2005년 12월 27일에 개통한 오산시 세교통 225-1번지)에 위치한 세마역은 독산성 정상 부근에 있는 세마대(洗馬坮)라는 정자에서 유래 “즉,, 세마정은 임진왜란 당시 권율장군이 군대를 독산성에 주둔시켰는데 유난이 물이 부족한 곳이라 왜군이 이를 알고는 성을 포위하자 권율장군이 산 정상(현재 세마대자리)에 흰 말을 끌고 올라가 그 몸통에다, 흰 쌀을 쏟아 씻기는 시늉하니 이를 멀리서 본 왜장은 물로 말을 목욕시키는 것으로 보고 포위책이 소용없다고 판단 군사를 철수하였다는 전설에서 유래
(p 159) 오산대(烏山大) (★물향기수목원) = 2005년 12월 27일에 개통한 오산시 수천동 540-2번지에 위치한 오산대역은 인근 오산대학에서 따왔으며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는 경부선의 전철역이다. 부역명은 물향기수목원으로, 인근에는 물향기수목원과 오산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인근 세교신도시 택지개발지구에 대비하여 미리 건설되었다
(p 160) 오 산(烏 山) = 1905년 1월 1일 개통한 오산시 오산동 603-1번지에 위치한 오산역은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일 6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광역 철도 전동차도 이 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 오산의 지명을 살펴보면 첫째, 예전에 이 지역에 까마귀가 많다고 하여 오산(烏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 둘째, 이 지역이 서해안과 가까워 예전에는 오산천으로 바닷물이 유입되었고, 이 내[川]에는 자라[土鰲]가 많이 살아서 오산(鰲山)이라 부르다가 일본인들이 한자로 표기하면서 오산(烏山)으로 쓰는 바람에 오산이 되었다는 설 셋째, 현재의 오산시에서 북동쪽으로 화성군 동탄면에 오미라는 오산리(梧山里)가 있으며 한자로는 오미(梧美)라고 사용했다. 이 이름을 경부선 철도가 개설되면서 오산역 역명을 붙일 때 오산(烏山)이라고 썼다는 설도 있다
(p 161) 진 위(振 威) = 2006년 6월 30일에 개통한 평택시 진위면 중앙로 가 423(하북리 157번지)에 위치한 진위역은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경부선 소속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 이후 2006년 6월 지제역과 함께 개통되었다. 광역 철도 전동차 이외의 모든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역 앞은 진위면의 중심 지역인 하북삼거리로, 진위면과 서탄면 주민, 인근 학교 통학생, 진위산업단지 관계자들이 주로 이용한다. 역 광장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회화나무가 있다.
☞ 지위면 유래 구한말까지 진위군청 소재지로 그 중심지인 봉남리 부근이 현내면이고 동천 고현 청호 갈곶리가 일북면 가곡 견산 하북 신리가 이북면 마산 은산 리가 마산면 등의 4개면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북면이라 하였고 1948년 4월 군청소재지를 현재의 평택으로 옮긴 후 옛날부터 오랜 세월 진위군청 소재지 였음을 감안하여 그 명칭을 계승하여 진위면으로 하였다.
(p 162) 송 탄(松 炭) = 평택시 신장2동 285번지에 위치한 송탄역은 법정동이 아닌 행정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여객 영업은 2000년 이후 서정리역에 통합되면서 영업을 중지하였으나, 연장 개통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의 정차역으로 영업을 시작하게 되면서 전철역으로 여객 영업을 재개하였다. 역사는 새로 개축하여 일반 열차용 저상홈이 없는 고상홈 승강장만을 갖춘 역이 되었다.
☞ 법정동이 아닌 행정동 송탄동(松炭洞)
송탄동이란 지명은 1914년 전국의 행정구역이 개편될 때 진위군의 송장탄 현일탄면등과 인근 여방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송탄면으로 칭한데서 유래되었으며 이후 1981년 송탄시로 승격되었다가 1995년 5월 10일자로 평택시 평택군 송탄시가 평택시로 통합되면서 송탄이란 지명을 남기기 위해 1996년 4월19일 시조례 제197호로 동부동을 송탄동으로 칭하게 되었으며 1998년 10월1일 시조례 제353호로 도원동과 행정구역을 통합하면서 현재의 송탄동이 되었다. 송탄동은 행정동으로 가재동, 모곡동, 칠괴동, 도일동, 장안동을 안고 있다.
(p 163) 서정리(西井里) (★국제대학) = 1905년 1월 1일 개통한 평택시 서정역전로 1(서정동 427-1번지)에 위치한 서정리역은 조선시대에 양성현 서쪽 마을로 맛이 뛰어난 우물이 있어 그 우물을 서우물 서두물 서둔물이라 하여 동명을 서정리라 명명한데에서 유래 되었으면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누리로 열차와 일부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광역 철도 전동차도 운행되고 있다. 부역명은 국제대학(國際大學)으로, 인근에 국제대학이 위치한다
(p 164) 지 제(芝 制) = 2006년 6월 3일에 개통한 평택시 지제동 560번지에 위치한 지제역은 경기도 평택시의 경부선 소속 전철역이다. 역명은 근처 지역에 떼 풀이(지초;芝草) 무성하다 하여 명명되었다. 부역명은 한국복지대학이나, 한국재활복지대학은 이 역보다도 위치적으로 서정리역에서 더 가까울 뿐더러, 서정리역에서도 특별히 연계된 대중교통 수단이 없다.
서정리 - 평택 간의 긴 역간거리를 보완하고, 인근에 건설될 고덕신도시와 소사벌지구 계획으로 인해 미리 건설되어 아직 이용량은 미미하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KTX 수서 - 평택선에서 경부선과 합류되는 구간이다. 원래 계획에는 없었으나, 경기도가 국토해양부에 환승 역사 설치를 건의하였다.
(p 165) 평 택(平 澤) (※역번호 성환과 중복) 평택시 평택로 335 (평댁동 185-1번지)에 위치한 평택역은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905년 경부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하였다. 일부 새마을호 열차와 모든 무궁화호, 광역 철도 전동차가 정차한다. 본래 새마을호 정차역이 아니었으나 2004년 4월부터는 KTX 개통으로 인한 경부본선 구간의 일반열차 운행 편수 감축에 따라, 일반열차 중 최상위 등급인 새마을호 일부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으며 2005년 1월 20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2006년 5월, 한진중공업에서 민자역사 공사를 착공하여 2009년 9월 준공 예정이었으나 5개월 앞당겨 2009년 4월 24일부터 민자역사에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 평택시 지명유래 충청도와 경계선이 맞닿아 있는 지형 탓으로 때로는 충청도 땅 이였다가 또 때로는 경기도 땅이 되어 오락가락하다가 1914년에 바로 이웃하고 있던 양선현과 직산현의 일부를 합쳐서 진위군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도 품에 들게 된다, 지금의 평택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에 처음 사용 하였지만 오늘날의 평택시는 1995년에 송탄시와 평택시 그리고 편택군이 통합되어 오늘에 이른다,
(p 165) 성 환(成 歡)(※ 역번호 평택과 중복) (★남서울대)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역전길 223(성환리 449-128번지)에 위치한 성환역은 경부선에 있는 철도역이다. 부역명은 남서울대(南서울大)로, 인근에 남서울대학교가 위치한다. 전에는 완행열차였던 비둘기호·통일호만 정차하던 소규모 역이었으나, 2005년 1월 20일부터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현재는 일부 무궁화호와 모든 누리로호,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가 정차한다. 이 역과 평택역간의 거리는 9.4km로, 전국의 모든 도시 철도·광역 철도 노선 중에서 가장 긴 역간 거리를 보이고 있다. 후역인 직산역과의 거리도 5.4km로 대단히 긴 편이다.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시, 일본 당국은 성환역장에 대하여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하고는 했는데, 이는 청일 전쟁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이다.
☞ 성환읍 지명유래 성환1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금점'과 '금배'가 있다.
마을주민들에 따르면 조선조 숙종 때 옛 직산고을인 성환읍은 천안과 직산에 금이 많았다는 '천직산금'으로 알려졌으며 금과 은을 채굴하기 위한 금점(金店)과 은점(銀店)이 많았다. 일제시대 이곳에는 일본인들이 지금의 컨테이너 박스 크기에 땅을 파는 기계가 붙어 사람이 타고 물위로 다니는 쇠로 만든 '금배'라는 사금 채취선 2대를 사용했다고 한다. 당시 '금배'가 사금을 채취하기위해 5m 가량 깊이의 논바닥을 밀고 내려가면서 만들어진 작은 도랑이 큰 하천으로 만들어져 성환천(成歡川)이라 부른데서 유래됐다는 것이다
(p 166) 직 산(稷 山) = 천안시 직산읍 역전말5길(모시리 58-11)에 위치한 직산역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부역명은 충남테크노파크이다.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연장 개통에 대비하여, 2001년 역사 개공 때 섬식 고상홈으로만 설계되었다. 전철역으로 여객 업무를 개시하여, 광역 철도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 직산읍의 유래는 본래 직산현 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15개리를 개편하여 천안군 성산면이 되었다가, 1920년 옛 지명인 직산에 이름을 따서 직산면으로 바뀌었으며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1963년 1월 1일 천안시로 승격되므로 진산읍로 명명한데에서 유래
(p 167) 두 정(斗 井) = 1979년 6월 15일 개통한 천안시 서북구 두정로 26(두정동 84-1번지)에 위치한 두정역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역으로, 이 역 이후로 경부선에서 장항선이 분기한다. 인근에는 공주대학교,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단국대학교 등의 대학교들이 꽤 분포하고 있어서 이용량의 대다수를 주로 통학생들이 차지한다.
☞ 두정동 지명유래 본래 천안군의 북면에 속하였고 마을 앞에 큰 우물이 있어 물이 말로 쏟아져 나온다고 말우물 또는 두정(斗井)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상두정과 북일면의 신주막을 합쳐서 두정리라 하여 영성면에 속하였다가 1931년 천안읍제가 실시 되면서 다시 환성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천안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천안시 두정동으로 명명한데에서 유래
(p 168) 천 안(天 安) =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318(대흥동 57-1번지)에 위치한 천안역은 교통 요충지로 고려 태조 때부터 천안부였다, 천하대한(天下大安)의 준말이다, 하늘아래 가장 살기 좋은 고을이라는 뜻이다, 2005년 1월 20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한 천안시 대흥동에 위치한 천안역은 천안시의 지명에서 유래
※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장항선
천안역에서 연장개통 된 수도권 전철은 봉명역(신설) 쌍용역(신설) 아산역(신설) 배방역(이설 신축) 온양온천역(이설 신축) 신창역(이설 신축) 6개역이 총 연장 21,65㎞ 구간을 2008년 12월 15일 연장(延長) 운행(運行)되었다,
(p 169) 봉명(鳳鳴) (★순천향대병원) 2008년 12월 15일에 개통한 충남 천안시 동남구 봉명동 24-19번지에 부지 9,640㎡ 지상 2층 2,147㎡에 위치한 봉명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다, 봉명동은 천안군의 하리면 지역이다, 1914년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의항리(蟻項里)와 다가리(多可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봉서산(鳳棲山)의 이름을 따서 봉명이라 하여 영성면(寧城面)에 편입되었는데 1920년 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영성면이 천안읍에 들게 되는 동시에 본동을 둘로 갈라서 봉명정 산평정(山平町)이라 하였다,
(p 170) 쌍용(雙龍) (★ 나사렛대)역 2008년 12월 15일에 개통한 충남 천안시 서북구 쌍용2동 426-9번지에 위치한 쌍용역은 전철역명을 놓고 내사렛대학측은 나사렛대역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과 쌍용동 주민들은 쌍용역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 팽팽이 맛서다가 결국 쌍용역 부역(★나사렛대)역으로 하였다, 본래 천안군의 군서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미라리(彌羅里) 쌍정리(雙井里)를 합하여 쌍정리와 용암리의 머릿자를 따서 싸용리라 하여 천안군 환성면에 속하였으나 1936년 천안시에 편입되었다,
(p 171) 아산(牙山)역 2008년 12월 15일에 개통한 충남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419-1번지에 위차한 아산역은 아산시에서 명명되었으며,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역명이 보여주는 대표성에 비해 아산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무배치 간이역이지만, 인근 천안아산역과의 KTX 환승 편의를 위해 수도권 전철 1호선·새마을호·무궁화호 전 열차가 정차한다. 인근에는 아산신도시가 개발되고 있으며,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 아산시 지명유래 고려시대에는 온수군, 인주현 신창현으로 조선시대에는 온양군 아산현 신창현 나뉘어 발전하였다, 1914년 3월 1일 아산군으로 개편1986년 1월 1일 온양읍이 온양시로 승격분리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아산군과 온양시가 통합되어 아산시가 되었으며 1읍 10면 6동을 관할하고 있다, 즉 아산은 아산현 온양현 신창현의 세 지역이 합쳐진 곳이다,
(p 172) 배방(排芳) 아산시 배방읍 온천대로 1967(구평리 159-17번지)에 위친한 배방역은 2007년 4월 1일 모산역(毛山驛)을 읍 명칭을 따서 배방역(排芳驛)으로 변경하여 2008년 12월 15일 개통한 장항선의 전철역이다, 이설 전의 모산역 일 때에는 철도역으로 업무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인해 광역 철도 전동차 이외 모든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부역명은 호서대로 인근에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가 있다.
(p 173) 온양온천(溫陽溫泉) (★ 온양) 2008년 12월 15일에 개통한 충남 아산시 온천대로 1496(온천동 56-9번지)에 위치한 온양온천역은 새롭게 지어진 층남 아산시에 있는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아산시 중부에 위치하며 인근에 아산시청이 있으며 온양온천으로 인해 더욱 유명해진 곳이다,
※ 온양온천이야기
이곳은 본래 탕정(湯井)이라고 하였는데 온양과 탄정등의 이름은 모두 이곳 온천리의 뜨거운 물이 솟는 샘에서 비롯된 것이다, 옛날 이 지방에 3대 독자 외아들을 둔 절름발이 노파가 살고 있었다, 노파는 자손을 보기위해 장성한 자식을 혼인시키려 하였으나 혼처 마다 절름발이 노파의 자식이라하여 혼인 하려 들지 않으므로 실망 끝에 절에 들어가 자식 장가 보낼 수 있게 해 달라고 간절히 기원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꿈에 관음보살이 나타나 이르기를 내일 낮에 마을 앞 들판으로 나가면 절름발이 학 한 마리가 날아올 터이니 이 학을 잘 살펴보라 하였다,
이튼 날 산을 내려간 노파가 들판을 지켜보고 있자니 과연 절름발이 학 한 마리가, 내려와 앉았다, 이 학은 논가의 물에 다리를 담근채 날아가지 않고 있다가 사흘째 되는날 다리를 고쳐 우뚝 서서 걷더니 이윽고 훨훨 날아가는 것이 아닌가 노파가 신기하여 학이 있던 곳에 가보니 논바닥에서 뜨거운 물이 솟아나와 있으므로 노파도 10일 동안 매일 이곳에 나와 뜨거운 물에 발을 담갔다, 그러자 노파의 절뚝거리던 발이 깨끗하게 나아버렸고 이 소문이 퍼져서 이곳에 병을 고치려는 사람이 물려들어 유명하였으며 노파의 아들은 부처님이 도와준 3대 독자라 하여 혼담이 빗발치듯하였다 한다,
(p 174) 신창(新昌)순천향대) (★한국폴리텍 lV 대학) 충남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 346-7번지에 위치한 신창역은 1922년 6월 15일에 영업개시 한 역으로 아산에 있는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병기역명은 순천향대 부역명은 한국폴리텍 lV 대학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이전에는 장항선의 일반 열차가 정차 했었으나 영업이 정지된 후 장항선 복선 전철에 따른 역사 이설과 함께 구 신창역과는 4,2m 정도 떨어진 다른 위치에서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전철 연장 개통과 합께 신창역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계승한 전철역으로서 여객 영업을 개시하였으나 전동차외 새마을호 무궁화호와 같은 일반 열차는 무정차 통과역이다,
☞ 신창면유래 고려시대의 대대적인 지방 변경에 의하여 신창현이 되었고 현종 9년(1018)에는 다른 아산지역과 마찬가지로 천안부에 소속되었다, 신창현 서쪽 장포에 성을 쌓고 당성이라 부르면서 서울로 조운(漕運)을 위한 조곡(租穀)의 수집(收集)및 발선처(發船處)를 삼았다, 조선시대 태종 14년(1414) 온수군과 신창현의 통합으로 온창으로 명명 되기도 하였으나 동 16년에 다시 윈래대로 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의 개정으로 홍주부로 관할하여 있다가 이듬해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청남도에 소속 1914년 3월 1일 아산군에 통합되면서 학성면으로 개칭 1917년 9월 25일 신창면으로 개칭
경부고속전선
(K410) 광 명(光 明) = (☯ 용산 ☯ 금천구청)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위치한 광명역은 KTX와 수도권 전철이 정차하는 역이다, 2004년 4월 1일 문을 연 경부고속 철도역이 서울, 용산, 광명, 다음은 천안역이 되 무로 많은 불편을 겼었다, 이에 용산에서 광명역까지 수도권 전철1호선(셔틀전동차)을 2006년 12월 15일 경부고속선을 이용하여 임시로 전통열차를 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