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대 상징물 |
선 정 배경 및 의미 |
비고 |
① 한라산 |
제주인의 정신적 지주이자 생태계의 보고 <유네스코에 등재된 제주세계자연유산의 상징> |
자연유산 |
② 해녀 |
제주여성의 표상이자, 제주여성문화의 아이콘 <관련문화유산:당, 해녀복, 해신제, 해녀항일등〉 |
사회 및 생활유산 |
③ 제주어 |
제주문화원형 요소이자 중세국어 연구의 토대 |
언어 및 신앙예술유산 |
④ 제주 4․3 |
제주 현대사의 최대 비극 |
역사유산 |
⑤ 돌문화 |
돌하르방, 돌담, 산담, 잣성 등 화산섬 제주문화의 또 다른 아이콘. |
자연유산, 언어 및 신앙예술유산 |
⑥ 제주굿 |
제주인의 대표 신앙유산. 큰굿, 당굿, 무혼굿 등 생명력 강하게 전승되고 있음. |
언어 및 신앙예술유산 |
⑦ 제주초가 |
제주 주생활의 상징. 지붕․ 굴묵등 구조와 주거 형태․건축재의 지혜가 담긴 주거문화유산 |
사회 및 생활유산 |
⑧ 갈옷 |
풋감 즙을 들인 노동복으로 제주인의 생활의 지혜가 엿보이는 복식유산 |
사회 및 생활유산 |
⑨ 귤 |
제주의 상징 과일 |
사회 및 생활유산 |
⑩ 오름 |
제주대표 경관자원이자 관광자원 |
자연유산 |
□ 99대 문화원형 상징물
○ 제주문화상징 : 자연분야 23
번호 |
제주문화상징 |
선 정 이 유 |
1 |
한라산 |
제주를 대표하는 자연경관의 상징체. |
2 |
오름 |
제주를 대표하는 경관적 요소이자 관광자원. |
3 |
용암동굴 |
제주만이 지니는 독특한 화산동굴이자 관광자원. |
4 |
돌담 |
돌의 고장임을 알리며 제주 전역을 수놓는 중요한 미학적 요소. |
5 |
곶자왈 |
제주 생명수의 함양지이자 상록활엽수의 주요 서식지. |
6 |
제주마 |
조선시대 국마(國馬)의 보고. |
7 |
제주한란 |
제주의 대표적인 난초. |
8 |
마라도 |
대한민국 영토의 최남단에 있는 섬. |
9 |
바람 |
삼다삼무의 요소로 제주의 자연환경을 단적으로 상징. |
10 |
성산일출봉 |
특이한 수성 화산체이자 대표적인 관광지, 아울러 시와 수필 등에 많이 등장하는 오름. |
11 |
왕벚꽃나무 |
제주토종의 대표적인 나무 . |
12 |
내창 |
육지부와는 다른 독특한 하천 경관을 보임. |
13 |
용두암 |
제주를 대표하는 용암기석으로 전국적인 관광명소. |
14 |
용천수와 봉천수 |
제주도민들의 생명수 역할. |
15 |
아흔아홉골 |
한라산 중턱에 있는 기암절벽. |
16 |
영주십경 |
제주의 가장 아름다운 산수경관 10곳. |
17 |
사람발자국화석 |
신석기 시대 제주지역의 화산활동과 인류의 삶을 보여주는 중요 유적. |
18 |
검은도새기 |
제주도민과 함께 해온 토종 돼지. |
19 |
문주란 |
제주도 토끼섬에서 유일하게 자라는 다년생 난초. 천연기념물. |
20 |
검은쉐[黑牛] |
제주재래 흑우. |
21 |
노루 |
한라산에 사는 제주 대표 동물. |
22 |
산방산 |
특이한 (용암)돔형 화산체이자 제주 대표 관광지. |
23 |
폭낭(팽나무) |
도민들의 쉼터 역할을 해온 상징나무. |
○ 제주문화상징 : 역사분야 23
번호 |
제주문화상징 |
선 정 이 유 |
1 |
삼성혈 |
탐라국의 발원지. |
2 |
고산리 신석기 유적 |
교과서에 수록된 한반도 最古의 신석기 유적. |
3 |
제주목관아 |
조선시대 제주행정의 중심지. |
4 |
관덕정 |
제주역사와 문화의 상징공간. |
5 |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
고려시대 삼별초의 최후 항쟁을 보여주는 제주의 유적지 . |
6 |
환해장성 |
외침극복을 위해 제주사람들이 바다를 돌아가며 쌓았던 방어유적. |
7 |
원당사지 5층석탑 |
고려시대 제주 유일의 불탑이며 전국 유일의 현무암 탑. |
8 |
제주4·3 |
제주 현대사의 최대 비극. |
9 |
유배의 땅 |
유배문화의 대표적 상징 공간. |
10 |
하멜의 표류 |
‘하멜표류기’의 하멜이 처음 표착한 곳이 제주임을 알림. |
11 |
김만덕 |
조선후기 기민을 구제하고 임금까지 알현한 제주의 여성. |
12 |
봉수와 연대 |
조선시대 변란에 대비한 군사 통신시설. |
13 |
오현단 |
조선시대 제주 유림문화를 대표하는 서원. |
14 |
제주도식 고인돌 |
제주 특유의 양식을 간직한 고인돌. |
15 |
호적중초 |
조선후기 제주도민의 호구동태를 파악할수 있는 자료. |
16 |
삼양동 선사유적 |
기원 전후 탐라국 초기의 집단 거주를 보여주는 마을 유적. |
17 |
잣성 |
제주중산간 목마장에 쌓았던 돌담으로 제주목장사의 귀한 유적. |
18 |
진지동굴 |
현재까지도 잘 보존된 일제의 전쟁 준비 시설. |
19 |
출륙금지령 |
1629년에 내려져 약 200년 간 취해졌던 조치로 제주의 해양문화를 단절케 한 결과를 가져옴. |
20 |
법화사지 |
노비 280구를 거느렸던 고려 시대 사찰(내용에 수정사지 포함 서술). |
21 |
고득종 |
조선 세종 때 현재 서울시장 격인 한성부 판임 역임. |
22 |
읍성과 진성 |
조선시대 제주의 읍치 행정을 보여주던 성곽과 군사방어 성곽. |
23 |
탐라 |
고려시대 고려 중앙정부의 한 지방으로 편입되기전 제주에 존재했던 국가의 명칭이자 제주를 뜻하는 상징적인 단어. |
■ 제주문화상징 : 사회 및 생활분야 28
번호 |
제주문화상징 |
선 정 이 유 |
1 |
해녀 |
전세계적으로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연안부와 일본에만 존재하는 여성 나잠업자.해녀항일, 해신당,해신제,해녀복 포함 서술. |
2 |
원(垣) |
돌을 쌓아서 고기를 잡는 어법으로 ‘원담’, ‘갯담’이라고도 함. 육지부에서는 돌살이라고 하는데, 세계적인 분포를 보인다. |
3 |
테우 |
제주의 전통배로 미역이나, 감태 등 해초작업을 할 때 사용, 한라산의 구상나무를 해다가 12개의 통나무를 이용한 원시배. |
4 |
갈옷 |
풋감즙을 들인 전통적인 노동복. |
5 |
허벅 |
물을 담아 등짐으로 져 나르는 허벅은 여성의 상징, 생명의 상징임. |
6 |
정낭(정주목) |
대문의 역할, 이웃과의 신뢰 및 정보소통의 상징. |
7 |
제주초가 |
바람에 불리지 않게 바둑판처럼 엮은 지붕이며 굴묵 등, 구조와 건축재의 지혜가 담긴 독특한 미감. |
8 |
테우리 |
마소를 봄에서 가을까지 한라산 기슭에 내몰아서 야생에서 자유롭게 키우는 목동. |
9 |
귤 |
조선시대부터 제주를 상징하는 과일 |
10 |
말총공예 |
제주마의 꼬리털을 이용한 수공예(망건, 탕건, 총모자) |
11 |
빙떡 |
메밀가루에 무우채를 소로 넣어 만든 떡. |
12 |
자리회 |
전통적인 여름식품. 우수한 단백질원.(자리젓,자리구이 포함 서술) |
13 |
소금빌레 |
돌암반을 이용하여 소금을 만들던 곳으로, 애월읍 구엄리 돌소금밭이 전국적으로 유일함. |
14 |
수눌음 |
밭갈기, 김매기, 추수 같은 노동을 서로 도우며 해결해나가는 수눌음 등 공동체정신 . |
15 |
돗통시 |
생태사이클을 보여주는 돼지우리. |
16 |
정당벌립 |
띠를 이용한 우비는 노숙에서 이불 겸용, 댕댕이덩굴로 짠 모자는 우산이며 가시덤불을 헤치고 가는 방패. 다목적 테우리 장비. |
17 |
오메기술․고소리술 |
차좁쌀로 빚은 제주도 특유의 막걸리와 소주. |
18 |
방애 |
조랑말을 이용하여 잡곡을 도정하는 연자마. |
19 |
애기구덕 |
대나무로 짠 애기구덕은 밭에까지 이동하는 육아용 요람. |
20 |
모둠벌초 |
문중벌초. 음력 8월초하루 자손들이 모여들어 공동체 인식다짐.벌초방학이 있는 곳은 제주도뿐. |
21 |
입도조 |
제주에 처음 들어온 선조를 일컫는 총칭. 혈연의 구심점으로서 상징성이 매우 뚜렷함. |
22 |
궨당과 삼춘 |
혈연으로 맺어진 친복집단의 총칭. 사돈에 팔촌이 모두 궨당이라고 할만큼 혈연의식이 깊음. 가문잔치, 조상 포함 서술. |
23 |
국 |
돼지삶은 국물에 을 넣어 끓인 국. 잔치나 상가에서 나오는 제주공동체음식 . |
24 |
개맡(포구) |
배를 매어 두는 장소이며, 외부문화를 수용하고 다시 자신들의 희망을 실어 나르는 곳. |
25 |
남방애 |
제주나무로 만든 대표 기물(器物). |
26 |
고팡물림 |
며느리에게 열쇠를 물려두는 일. 집안의 경제권을 물려준다는 의미로, 며느리에게 고팡의 열쇠를 건네주는 행위. |
27 |
번쉐와 멤쉐 |
번쉐는 농한기에 이웃끼리 당번을 정해 각 호의 소를 몰아다가 목장에서 먹이는 목축방식이고, 멤쉐는 가난한 농가에서 남의 집 암소를 길러 새끼를 낳으면 서로 가르는 방식 |
28 |
해안일주도로 |
해안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왕성하게 한 대표적 도로. |
○ 제주문화상징 : 신앙․언어․예술 분야 25
번호 |
제주문화상징 |
선 정 이 유 |
1 |
신구간 |
모든 신들이 승천한다는 시기. 오늘날도 강하게 전승되며 대부분 이때 이사를 함. |
2 |
제주굿 |
당굿, 큰굿 무혼굿 등에 이르기까지 생명력 강하게 전승되고 있음. 무형문화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매우 큼. |
3 |
방사탑 |
마을의 액을 막기 위해 공동으로 쌓은 탑. 문화재적인 가치가 매우 높음. |
4 |
칠머리당 영등굿 |
건입동 칠머리당에서 치러지는 영등맞이굿과 영등송별굿인 무속의례. 영등신과 용왕신에게 해녀와 어부가 한해의 풍어와 조업안전을 기원함. |
5 |
제주어 |
국어학적 가치가 높고, 지역문화가 잘 드러남 |
6 |
걸궁 |
농악의 일종으로 마을과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이 담겨 있음. 지금도 마을마다 걸궁패가 있고 행사 때 많이 공연됨. |
7 |
탐라순력도 |
18세기초 지방순력의 실상을 보여주는 유일한 화첩. |
8 |
내왓당무신도 |
제주무속의 특징이 드러나는 무신도임. |
9 |
추사와 세한도 |
추사체가 완성된 본 고장, 추사 적거지 포함 서술. |
10 |
제주민요 |
제주 노동요의 특성이 드러남. |
11 |
설문대할망 |
제주도 창조 여신. |
12 |
돌하르방 |
제주를 대표하는 석상. |
13 |
동자석 |
제주도 무덤의 수호 석상 . |
14 |
동․서자복 |
사람의 수명과 행복을 관장하는 신으로,복신미륵(福神彌勒)이라고도 함. |
15 |
당 |
신들을 모시는 당, 학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큼. |
16 |
포제 |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유교식 포제와 무교식 당굿. |
17 |
심방 |
제주기층문화의 상징인 무속의 으뜸 상징. |
18 |
입춘굿 |
입춘맞이 관민합동 풍농굿. |
19 |
영감놀이 |
도깨비탈을 쓰고 영감으로 분장한 도깨비 놀이굿 . |
20 |
자청비 |
사랑과 곡물의 여신. |
21 |
본풀이 |
제주도 서사무가의 전반적인 특징이 드러남. |
22 |
한라산신 |
한라산을 하나의 신으로 관념하는 것, 또는 한라산에서 솟아난 남성신들의 영웅담으로 구멍에서 솟아났다는 삼성신화와 연결성이 있다. |
23 |
삼승할망 |
출산과 육아를 도와준다는 신(육지와 달리 신화가 있음). |
24 |
넋들임 |
사람이 놀랬을 때 넋이 나갔다고 믿어서 넋을 들여넣는 무속의례. |
25 |
이어도 |
제주민들의 이상향이며, 현실적 고난을 극복한 낙원이며, 유토피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