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능특강 지구과학1 보는데 반갑게도 오리온 자리가 나오네요.
바운스님 말씀대로 이 별(=항성) 들은 다 지구에서 2000광년 이하의 거리에 있네요.ㅎㅎ
제가 중학교 당시에 공기 맑은 촌에 살았었는데 추운 겨울에 오리온 자리를 많이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요즘은 하늘을 잘 안봐서 그런지 본 기억이 없네요-_-;)
사냥꾼(?)의 오른쪽 어깨에 해당하는 베텔게우스는 온도가 꽤 낮은 주황색 별 입니다.
이 별은 태양보다 수백배 큰 별인데 내일이라도 터지면(?) 낮에도 이 별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ㅎㅎ
정확히는 초신성 폭발 이라고 하는데 예를들어서 게자리 성운을 만든 별은 1054년에 터진 기록이 남아있습니다.(터진 별의 잔해가 날아가서 성운이 된 것임.) 터지고 나서는 별의 질량에 따라서 그 중앙에 질량에 블랙홀이나 중성자 별로 남게 됩니다.
인류가 이렇게 살아 있는 이유도 초신성 폭발 덕분 입니다.
초기우주에는 수소,헬륨 같은 가벼운 원소들만 있었는데 거대한 별의 내부에 무거운 원소들이 만들어졌고 초신성 폭발로 인해서 이 원소들이 분출되었기 때문이죠.
지구상의 지각,나무,자동차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은 옛날 옛적에 초신성폭발로 인한 잔해물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ㅎㅎ 이거 처음에 알게 됐을때는 무지 신기했는데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아무튼 살아 있을 때 베텔이 터지는 것 좀 보고 싶네요!ㅋㅋ
아래는 베텔이 터지는 것을 기다린다는 과학기사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B2%A0%ED%85%94%EA%B2%8C%EC%9A%B0%EC%8A%A4-%ED%8F%AD%EB%B0%9C-%EB%A9%80%EC%A7%80%EC%95%8A%EC%95%98%EB%8B%A4
하지만 100만년 뒤에 터질 수 도 있다는게 함정..ㅋㅋ(별의 수명과 비교하면 100만년 쯤이야 짧은 편이라...;;)

스케일 장난 아닌!ㅎㄷ
마지막으로 시간 나시는 분들 보라고 우주 스케일 링크(중간에 베텔이도 나옴ㅋ) 올립니다.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qjBngxYy308
마지막 10초는 이거 뭐야...하는 느낌..ㅠㅠ
첫댓글 크... 크군요
일단 달은 노력하면 가볼 수 있으려나요...
화성도 가능할라나요...
태양계를 벗어나는 것은 힘들것죠... ㅠ
미래에는 달나라나 화성에 도시 건설 될 것 같아요.ㅎㅎ
태양계 벗어나게 되면 너무나도 망망대해라....ㅠ
이론적으로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운동하면 길이수축 으로 인해서 금방 1년내에 다른 별까지 갈 수도 있으나...
일단 제일 문제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할 때 사람이 우주선 내에서 관성력을 버티지 못한다는...(정확히 말하면 관성력으로 죽기 보다는 의자에 의한 수직항력으로 사망...ㅎㅎ)
아무튼 제 생각엔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전해도 지구외 다른행성계에 정착하는건 쉽지가 않을 것 같아요.ㅠ
캡틴테일러 만화의 워프급이 생겨야함...(만화급상상력ㅋㅋ)
초딩때 태양보다 큰 별 있다고 했다 개무시 당한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학급 발표 시간때 준비해서 발표했더니 갑자기 다 수긍하는 분위기...신기했습니다. 같은 아이들인데, 놀면서 얘기하면 아무도 안믿고 발표시간에 발표했더니 다 믿고...자리가 중요한긴 한 듯..
ㅋㅋㅋ 귀족 드브로이가 아인슈타인 식 'p = h/람다' 를 '람다 = h/p' 로 주장했더니 박사학위도 주고 나중에는 노벨상까지 주는...
자리가 중요하긴 하나 봅니다.ㅠㅠ
남작도 아닌 자작도 아닌 백작도 아닌 후작도 아닌 '공작' 이라고 합니다.ㅎㄷㄷ
드 브로이는 파동역학의 연구에 대한 업적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런데 이 논문은 파리대 박사 학위통과를 위한 학위 청구 논문이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내용이 매우 파격적이었고 분량도 매우 짧아서 심사위원들에게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고귀한 공작 가문 출신의 논문을 퇴짜놓기 싫었던 심사위원들은 이 논문에 대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조언을 구했다고 한다. 다행히 아인슈타인은 물질파 이론을 '물리학의 커다란 베일을 걷어냈다'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이 답장을 받은 심사위원들은 "OK, 누가 뭐라고 하면 아인슈타인이 지지했다고 하면 되겠네. 통과시키자." 라며 논문을 통과시켰다고 한다. by나무위키
아인슈타인 완전 깡패네여 ㅋ
@바운스K 슈뢰딩거가 드브로이 공식으로 부터 슈뢰딩거 방정식 유도해냈고, 보른이 파동함수의 해석을 함으로서 아인슈타인을 고통스럽게 한 것은 아이러니 하네요-_-;
결국 아인슈타인은 본인이 본인을 고통스럽게 한 원인을 제공!ㅋㅋ
@성은 좀 안타깝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