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설
지명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생성된다. 역사적인 배경이나 사회적 배경에 의하여 생성되기도 하고 장소, 땅의 형태, 사건(전설), 흉내말, 사람, 동식물, 풍수지리, 땅의 성질 등의 여러가지 요인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땅이름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본래의 모습에서 변형되기도 한다. 변형되는 원인으로는 토박이말로 된 땅이름이 한자말로 바뀌는 경우도 있으며, 발음의 편의에 따라 변형되거나, 유사한 뜻을 전용하면서 변화되거나, 적당한 전설이 붙어서 변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땅이름은 이 땅을 살아간 조상들이 살아간 흔적이며 그들의 사고의 토대라고 본다. 그러므로 땅이름의 유래와 그 생성과정을 살펴 보는 것은 조상의 얼과 삶의 모습을 뒤돌아 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의 지혜와 폭을 넓히는 노력의 일부일 것이다.
이 자료는 대진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1992년부터 1995년에 걸쳐 실시한 4차례 답사와 대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연구회에서 1995년 5차에 걸친 채록자료를 근간으로 하여 포천시지(포천시지 편찬위원회, 1984)와 향토문화 유적자료집(포천문화원 1993)을 참고하여 정리되었다.
포천시의 지명에 나타난 생성과정에서 이루어진 특색을 분류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설과 관련지어진 이름
땅이름은 전설과 함께 전하여 오기도 한다. 포천지역의 땅이름은 북부에는 궁예, 남부에는 이 성계와 관련된 땅이름이 많이 남아 있다.
1)이성계와 관련된 땅이름
참나무장이(眞木亭) : 내촌면 마명리
여덟밤이(八夜洞) : 내촌면 음현리
용상골(龍床洞) : 소흘읍 이동교리
막(幕)골 : 소흘읍 무봉리
부인(夫人)터 : 소흘읍 이동교리
2)궁예와 관련된 땅이름
울음산(鳴聲山) : 영북면 산정리
패주(敗走)골 : 영북면 산정리
항서(降書)받골 : 영북면 산정리
야전(野戰)골 : 영북면 산정리
망봉(望峯) : 영북면 산정리
남창동(南倉洞) : 관인면 초과리
2. 씨족의 성이 반영된 땅이름
홍촌(洪村) : 내촌면 진목리 이촌(李村),조촌(趙村), 원촌(元村) : 가산면 일대 최가채리(崔加采理), 조가채리(趙加采理) : 신북면 가채리
3. 위치에 따른 이름
아랫말,웃말 : 어룡동/ 가산면 마산리,금현리,마전리,방축리/ 창수면 추동리,주원리
앞골,뒷골 : 영북면 대회산리
건너마을 : 내촌면 진목리/신읍동
바깥말(外村) : 내촌면 진목리
안골 : 내촌면 소학리
4. 모양에 따른 이름
병풍바위, 장기바위 :신읍동
갓뫼봉 : 어룡동
치마바위 : 자작동
안장바위 : 선단동
너러바위 : 설운동
연적바위,붓바위 : 군내면 구읍리
거북바위 : 군내면 직두리
범바위 , 자라바위 : 군내면 하성북리
고드네 벌판 : 군내면 좌의리
가마솥골 : 군내면 직두리
5. 기능에 따른 이름
점(粘)말 : 신읍동 / 내촌면 진목리/ 이동면 도평리/ 영북면 운천리
사기막(砂器幕) : 내촌면 소학리/ 일동면 화대리
사기점(砂器店) : 일동면 길명리
기와골(瓦谷) : 설운동
파발막(把撥幕) : 자작동
봉화대(烽火臺) : 이동면 연곡리
장(場)거리 : 신읍동
거리장 : 가산면 방축리
술막(酒幕) : 소흘읍 송우리
인삼막골 : 군내면 직두리
비행장들 : 자작동
6. 동식물에 관련하여 지은 이름
1)동물
용(龍):요물(군내면 용정리)
호랑이(虎):호병동(신읍동)
두꺼비(蟾):섬암동(창수면 추동리)
여우(狐):여우고개(이동면 장암리)
비둘기(鳩):비득재(소흘읍 직동리)
곰(熊):곰고개(영중면 양문리)
제비(燕):제비울(이동면 연곡리)
이리(狼):낭유리(이동면 노곡리)
도룡뇽(蛟):데룔골(관인면 중리)
2)식물
소나무(松):솔모루(소흘읍 송우리)
오동나무(梧):오장동(신북면 가채리)
지초(芝):종지골(영중면 양문리)
칡(葛):갈오리(소흘읍 이가팔리)
느릅나무(楡):느릅쟁이(영중면 성동리)
보리(麥):왼부리(麥邱/일동면 화대리)
닥(楮):닥밭(영중면 금주리)
잣(柏):잣골(영중면 성동리)
버들(柳):유촌(柳村 신북면 기지리)
피(稷):피머리(군내면 직두리)
복숭아(桃)도리돌(이동면 도평리)
개암(榛):개암밭골(이동면 연곡리)
벼(禾):볏가리소(영북면 자일리)
밤(栗):밤나무골(관인면 삼율리)
7.유물 또는 유적과 관련지은 이름
정자 : 군자정(가산면 방축리) 금수정(창수면 오가리)
비석 : 비석거리(어룡동)
고인돌 : 괸돌(자작동,/가산면 금현리)
서원 : 화산서원,옥병서원,충목단
창고 : 사창말(신북면 신평리)
향교 : 향교말(군내면 구읍리)
태봉산(소흘읍 송우리)
8. 땅의 성질에 따른 분류
붉은데기(소흘읍 초가팔리)
거친봉(소흘읍 무봉리)
9.흉내말로 지은 이름
헐떡고개:군내면 구읍리
10. 토박이 이름이 한자로 변경된 경우
특히 한자지명은 본래부터 한자로 지어 진 것이 있으나 일본의 식민지 통치시대에 우리말과 글, 곧 우리의 민족정신을 소멸하기 위하여 창씨개명과 더불어 우리의 땅이름을 일 본식 한자로 바꾸어 놓은 것이 많이 있다.
울뫼>鳴山 울음산>鳴聲山 기와골>瓦谷 말우리>馬鳴 안골>內谷 큰골>大谷 피머리>稷頭 절골>寺谷 우무골>牛目谷 여우내벌>狐川坪 한내벌>漢川坪 새보들>新堡坪 한여울>漢灘江 괸돌벌>支石坪 참나무정내>眞木川 용우물>龍井里 윗잣뒤>上城北里 아랫잣뒤>下城北里 감바위>甘巖里 쇠재>金峴里 가래울>楸谷里 물안>水內里 배골>梨谷里 송아지고개>松峴里 자래울>鱉洞 메기울>呑谷 범우리>虎鳴里 건너말>越村 새터말>新基村 벌말>坪村 메기안>沐浴洞 고인돌>支石村 가재울>佳在洞 당메말>唐山洞 우무골>井洞 시우골>時雨谷 두껍바위>蟾岩 큰넉고개>大廣峴村 작은넉고개>小廣峴村 횻대박이>孝竹村 둔터>屯基 안말>內村 비둘기고개>鳩峴里 뒷골>後谷里 빌은돌고개>祝石嶺 그림바위>畵岩里 솔모루>松隅 갈미>楸山洞 안나무골>內樹洞 모래재>沙峴里 샛말>間村 원모루>院隅 맷돌안>磨石洞 깊이울>深谷 가마골>釜谷 새목이>鳥項里 숯골>炭洞 솔치고개>松峙峴 문고개>門峴 소리개고개>鳶峴 넙고개>廣峴 여우고개>狐峴 저고리고개>赤古里峴 무네미보>水踰洑 너버기보>廣村洑 달맞이봉>月迎山 가리마고개>可里馬峴
-자료출처 : 포천문화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