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연료전지발전에 공급되는 연료(LNG)요금은 열병합용 요금제가 적용돼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이같은 요금제가 사용량과 수요패턴을 고려한 요금제로 변경이 검토되고 있어 관련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최근 LNG수급대책 1,2차 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4월7일 1차 회의에 주요 안건 제안 후 최근 5월13일, 22일 두차례에 걸쳐 2차회의를 진행하고 추진방안을 추려 내부적으로 확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가운데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발전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돼 주목된다.
가스공사는 최근 분산형전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과 초기시장을 벗어나 보급시장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 연중 연료수급이 고르다는 점 등을 이유로 연료전지발전 활성화가 LNG 사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가스공사 수급대책회의에 참여한 관계자에 따르면 연료전지발전에 공급되는 LNG요금을 현행 발전용량에 따른 요금제가 아닌 사용량과 수요패턴 등을 고려한 요금제로 변경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발전용, 열병합용 등 수요처와 상관없이 시설용량이 100MW급 이상인 경우 발전용 요금을, 이하인 경우에는 열병합용 요금제가 적용된다.
실제 운영현황을 보면 화성 연료전지발전소가 58.8MW급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기타 연료전지발전소의 대부분 용량은 20MW급 이하로 국내 모든 연료전지발전소는 열병합용 요금으로 LNG를 구매하고 있다.
문제는 발전용과 열병합용 요금차가 커 적용에 따라 연료비 원가부담도 달라진다는 점이다.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발전용과 열병합용 가스요금 차이를 살펴보면 발전용의 경우 평균 693.44원/Nm³을 기록했으나 열병합용은 같은 기간 평균 814.95원/Nm³으로 용도별 121.51원/Nm³의 차이를 보였다. 동일한 연료를 공급받아도 100원/Nm³ 이상의 요금차가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연료전지업계에서는 전체 원가에서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컸다. 통상 연료전지발전의 경우 전체 발전원가 중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65~67% 가량을 이론적으로 얘기하지만 실제 70%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2월 국회에서 개최된 ‘연료전지활성화 포럼’에 토론 패널로 참석한 이태호 경기그린에너지 사장은 “화성 연료전지발전소가 최대규모임에도 (운영 결과)연료비가 전체 발전원가의 73%를 차지해 깜짝 놀랐다”고 말한 바 있다.
가스공사는 현행 요금체계 개편과 관련해 외부에 용역을 의뢰키로 했다.
가스공사의 관계자는 “연료전지발전소에 적용되는 요금제를 포함해 현행 LNG 요금체계 개편을 위한 용역을 추진키로 했다”라며 “빠르면 연말 안으로 최종보고서가 제출돼 정부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가스공사는 연료전지발전사업에 지분참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초기 사업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기업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정부와의 협의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가스배관망 등의 설비투자가 이뤄졌으나 수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미수급지역의 수요개발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단양, 곡성, 옥천, 보은, 강릉 등이 대상이다. 이들 지역에 연료전지발전을 비롯한 LNG 수요개발에 적극 나서 판매량을 늘리겠다는 의지다.
가스공사는 이같은 연료전지발전사업 활성화 방안 등 LNG 판매촉진안을 내부적으로 확정해 추진한다. 오는 9월 중간보고를 거쳐 12월 실적점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