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 일 | 월 | 연 |
|
癸 | 丙 | 壬 | 壬 | 坤 |
巳 | 戌 | 子 | 申 | 命 |
셋째, 사주의 간지를 오행의 기본수로 변환한다.
가) 천간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나) 지지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시 | 일 | 월 | 연 |
|
10 | 3 | 9 | 9 |
|
癸 | 丙 | 壬 | 壬 | 坤 |
巳 | 戌 | 子 | 申 | 命 |
6 | 11 | 1 | 9 |
|
넷째, 중궁의 홍국수를 구한다.
가) 천간과 지지의 오행기본수를 각각 합산한 것을 9로 나누어 나머지를 구한다.
나) 나머지가 0 이면 9로 한다.
예) 천간 31 (10 + 3 + 9 + 9) % 9 = 4 (중궁천반수 또는 중궁천반수)
지지 27 (6 + 11 + 1 + 9) % 9 = 0 -> 9 (중궁지반수 또는 中宮之數)
다섯째, 홍국수를 포국한다.
가) 중궁에 중궁지반수를 아래쪽에, 천반수는 위쪽에 놓는다.
나) 중궁지반수는 감(坎)궁부터 1씩 더하면서 구궁을 순행한다.
(중궁지반수가 5일 경우는 낙서구궁수 그대로 포국한다)
다) 중궁천반수는 리(離)궁부터 1씩 더하면서 구궁을 역행한다.
예)
巽4 | 離9 | 坤2 |
[丑]十 [寅]三 | [辰]五 [卯]八 | [巳]二 [子]一 |
震3 | 中5 | 兌7 |
[子]一 [巳]二 | [酉]四(九) [申]九(四) | [午]七 [亥]六 |
艮8 | 坎1 | 乾6 |
[亥]六 [午]七 | [寅]三 [丑]十 | [卯]八 [辰]五 |
① 구궁 각각의 상단 왼쪽(예: 巽4)은 궁의 명칭과 낙서수이다.(설명하기 위한 표기일 뿐임)
② 붉은색은 천반수를, 파랑색은 지반수이다. (실제 표기에서는 색깔로 구분하지 않음)
③ 중궁수 오른쪽의 괄호숫자, (九)와 (四)는 은복수(隱伏數)로서 중궁수와 생성수 관계이다.
( 이 또한 설명하기 위한 표기일 뿐, 실제 포국에서는 표기하지 않는다)
④ 천지반 홍국수 왼쪽의 지지( 예: [丑] )는 홍국수를 오행정수(五行定數)로 바꾼 것임.
( 이 또한 설명하기 위한 표기일 뿐, 실제 포국에서는 표기하지 않는다)
음양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정수 | 3 | 8 | 7 | 2 | 5 | 10 | 9 | 4 | 1 | 6 |
천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지지 | 寅 | 卯 | 午 | 巳 | 辰戌 | 丑未 | 申 | 酉 | 子 | 亥 |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⑤ 위의 오행정수 도표에서 보듯이 만약 홍국수가 5이면 지지가 辰 또는 戌이고, 10이면 丑 또는 未이므로 이 가운데 어떤 것을 홍국수의 지지로 삼을 것인가?
홍국수 | 양둔(陽遁) | 음둔(陰遁) |
5 | 辰 | 戌 |
10 | 丑 | 未 |
홍국수가 5 일 경우, 사주가 양둔(동지 입절시각부터 하지 입절시각 직전)에 속하면 辰이고 음둔(하지 입절시각부터 동지 입절시각 직전)에 속하면 戌이며,
홍국수가 10 일 경우, 사주가 양둔에 속하면 丑이고 음둔에 속하면 未이다.
위의 사례에서 「1993년 1월 5일 오전 9시 30분(양력)」은 동지 이후 아직 하지 전이어서 양둔에 속하므로 巽궁의 천반수 十와 坎궁의 지반수 十의 지지는 丑이 되고, 離궁의 천반수 五와 乾궁의 지반수 五는 辰이 된다.
Ⅱ. 동처(動處)와 정처(靜處)
1. 구궁의 은복(隱伏) 지지(地支)
辰 巳 | 午 | 未 申 |
卯 |
| 酉 |
寅 丑 | 子 | 亥 戌 |
각각의 궁에서 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설됨( 예: 艮궁에서는 丑->寅, 巽궁에서는 辰->巳 )
2. 기문국 동처의 종류와 그 표기법
동처의 종류 | 동처의 표기 |
사주의 연지(年支)가 속한 궁 | 年 |
사주의 월지(月支)가 속한 궁 | 月 |
사주의 일지(日支)가 속한 궁 | 世 |
사주의 시지(時支)가 속한 궁 | 時 |
중궁 | 中 |
유년(流年)이 속한 궁 | 流 또는 遊 |
① 사주의 일지(日支)가 속한 궁, 즉 世가 있는 궁을 내궁(內宮)이라고 한다. 이에 반하여 사주의 일간(日干)과 같은 ‘지반육의삼기’가 속해 있는 궁을 외궁(外宮)이라고 하며, 내궁과 외궁을 합해 기신궁(己身宮)이라고 한다.
② 기문국에서는 기문국 가운데 내궁만 동처로 보며, 외궁은 동처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 중궁은 언제나 동처로 보며(구궁에서 중궁의 위상으로 볼 때 당연함), 평생국에서 명주의 나이가 속한 유년궁 또한 동처로 여긴다.
④ 동처를 제외한 모든 궁을 정처라고 하는바, 동처와 정처의 구분은 기문국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기문의 다섯 가지 국(오변국)에서 「괘문성장」이 성운하고 구궁이 성도하지만, 이 모든 과정에서 기(氣)의 흐름은 동처를 중심으로 출입하면서 상생, 상극, 비화한다. 즉, 동처는 중궁을 통하지 않아도 서로 영향을 미치지만 정처의 경우 중궁의 관여가 없으면 다른 궁에 영향을 줄 수 없다. 그러므로 동처에 자리 잡은 기문요소들의 에너지는 강화되어 길한 것은 더 길하게, 흉한 것은 더 흉하게 작용한다.
(포국 사례)
시 | 일 | 월 | 연 |
|
10 | 3 | 9 | 9 |
|
癸 | 丙 | 壬 | 壬 | 坤 |
巳 | 戌 | 子 | 申 | 命 |
6 | 11 | 1 | 9 |
|
時 |
| 年 |
[丑]十 [寅]三 | [辰]五 [卯]八 | [巳]二 [子]一 |
| 中 |
|
[子]一 [巳]二 | [酉]四(九) [申]九(四) | [午]七 [亥]六 |
| 月 | 世 |
[亥]六 [午]七 | [寅]三 [丑]十 | [卯]八 [辰]五 |
3. 유년(流年) 계산 및 표기
① 유년은 출생한 연월일시의 음둔과 양둔을 따지지 않고 사주에서 世가 있는 궁(日支에 해당하는 궁의 은복지지가 있는 궁)의 지반수를 더하면서 45세까지 구궁을 순행한다. 사례에서 世궁이 乾궁이고 이곳 지반수가 五이므로 乾궁은 1~5세에 해당한다. 이어서 兌궁으로 순행하면 5 + 六 = 11세, 艮궁에서 11 + 七 = 18세, 離궁에서 18 + 八 = 26세가 된다. 그 다음의 궁은 坎궁인데 ‘십수불용(十數不用)’의 원칙에 의하여 十 대신에 중궁의 지반은복수 (四)를 사용하여 더하면 26 + 四 = 30세가 된다. 계속해서 坤궁에서 30 + 一 = 31세, 震궁에서 31 + 二 = 33세, 巽궁에서 33 + 三 = 36세, 中궁에서 36 + 九 = 45세까지다.
② 지반수를 기준으로 하여 1세부터 45세에까지 구궁을 모두 순행한 후에, 다시 世궁에서 천반수를 기준으로 하여 궁을 역행하면서 46세부터 90세까지 계산하여 부설한다. 乾궁에서 45 + 八 = 53세, 中궁에서 53 + 四 = 57세가 된다. 그 다음은 巽궁인데 천반수가 十이므로 쓰지 않고 중궁의 천반은복수 (九)를 더하여 57 + 九 = 66세가 되고 계속하여 震궁에서 66 + 一 = 67세, 坤궁에서 67 + 二 = 69세, 坎궁에서 69 + 三 = 72세, 離궁에서 72 + 五 = 77세, 艮궁에서 77 + 六 = 83세, 兌궁에서 83 + 七 = 90세를 부설한다.
時 |
| 年 |
[丑]十 [寅]三 | [辰]五 [卯]八 | [巳]二 [子]一 |
(58~66세) (34~36세) | (73~77세) (19~26세) | (68~69세) (31~31세) |
| 中 |
|
[子]一 [巳]二 | [酉]四(九) [申]九(四) | [午]七 [亥]六 |
(67~67세) (32~33세) | (54~57세) (37~45세) | (84~90세) (6~11세) |
| 月, 流 | 世 |
[亥]六 [午]七 | [寅]三 [丑]十 | [卯]八 [辰]五 |
(78~83세) (12~18세) | (70~72세) (27~30세) | (46~53세) (1~5세) |
③ 지반육의삼기를 기초로 하는 소운(小運)은 나중에 육의삼기를 포국한 후 설명함.
④ 유년과 소운의 적용비율은 유년 60% 소운 40% 또는 유년 70% 소운 30%으로 한다.
⑤ 유년과 소운을 이용하여 평생국에서는 연도별 운세를, 연국에서는 월별 운세를, 월국에서는 일별 운세를 먼저 살핀 후 각각 더 알고자 하면 다시 개별로 연국, 월국, 일국 등을 포국하면 될 것이다.
⑥ 기타 연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유년을 부설하는 것과 구궁별로 고정된 나이 기간을 뜻하는 건명 또는 곤명의 ‘행년’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 또한 나중에 오변국에서의 연국과 관련되어 설명할 것이다.
Ⅲ. 홍국수의 해석
홍국수를 해석한다는 것은 구궁 각각의 홍국천반수와 홍국지반수를 지지로 바꿔서 오행 상호간의 관계를 살핀다는 뜻이다. 이런 까닭에 홍국수 1부터 10까지의 숫자에 해당하는 오행의 성정을 먼저 파악하고 나아가 이들 사이의 합, 충, 형, 파, 해, 원진, 귀문 기타 여러 신살과 귀인 등등을 해석한다.
또한 홍국수 상호간 외에도 궁 자체의 오행 또는 궁 안에 은복하고 있는 지지(예: 건궁에는 戌과 亥)와의 관계도 살펴야 한다. 참고로 천반수보다는 지반수를, 궁오행보다는 은복지지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1. 홍국수의 오행통변
1.1 거(居)
1.2 수(受)
1.3 승(承)
1.4 종합
2. 기타 홍국수 통변의 특이사항
2.1 홍국수 5와 10에 대한 통변
가) 오행 土에 해당하는 자리에 위치한 경우
나) 중궁에 들어간 경우
다) 艮궁과 坤궁
라) 무토(戊土)와 기토(己土)
마) 기타
2.2 홍국수로 판단하는 명주심성론
3. 중궁
3.1 중궁 통변의 특이사항
3.2 입중
3.2.1 육친 입중
3.2.2 홍국수 입중
3.2 총괘수와 총괘궁
4. 기문국의 판단
4.1 바탕국
4.2 성국(成局)
4.2.1 성국의 의미
4.2.2 성국의 작용력
4.3 통기(通氣)
4.3.1 통기의 의미
4.3.2 통기의 작용력
4.4 감리지견(坎離之見)
Ⅳ. 육친
1. 개요
① 기문둔갑에서의 육친은 세궁의 지반수와 다른 궁의 지반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부설한다.
② 명리와의 차이점
구분 | 父 | 母 | 孫 | |
명리 | 편재(偏財) | 정인(正印) | 건명(乾命) | 곤명(坤命) |
관성(官星) | 식상(食傷) | |||
기문 | 정인(正印) | 편인(偏印) | 남손(男孫) | 여손(女孫) |
상관(傷官) | 식신(食神) |
③ 기문둔갑에서의 육친조견표 (比肩은 세궁에 있는 지반수)
比劫 | 食傷 | 財星 | 官星 | 印綬 | |||||
비견 (比肩) | 겁재 (劫財) | 식신 (食神) | 상관 (傷官) | 편재 (偏財) | 정재 (正財) | 편관 (偏官) | 정관 (正官) | 편인 (偏印) | 정인 (正印) |
기신 (己身) | 형 (兄) | 여손 (女孫) | 남손 (男孫) | 첩 (妾) | 처 (妻) | 귀 (鬼) | 관 (官) | 모 (母) | 부 (父) |
음양 | 異 | 同 | 異 | 同 | 異 | 同 | 異 | 同 | 異 |
생극 | 비화 | 我生 | 我生 | 我剋 | 我剋 | 剋我 | 剋我 | 生我 | 生我 |
④ 육친의 상생상극
상생 : 인생형, 형생손, 손생재, 재생관, 관생인
상극 : 인극손, 손극관, 관극형, 형극재, 재극인
2. 육친의 혈육관계 및 시스템공학적 특징
위 육친조견표에서 표시한 각각의 육친이 기문국에 없거나, 있더라도 동처가 아닌 경우엔 그 혈육이 내게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모든 기문요소가 그렇지만 육친 또한 천반수, 궁오행, 월령 등과 어떤 역학적 관계인가를 따져야 하며 육친 상호간의 상극 역시 살펴야 한다. 특히 중궁에 어떤 육친이 포국되었는가에 따라 신수국에서의 중요한 사안이 된다.
가) 비겁
比肩은 세궁지반수가 있는 궁이므로 왕(旺)해야 한다. 劫財는 비견과 같은 에너지를 발동하므로 경쟁적인 움직임을 뜻하는데 혈육관계에서는 형제와 관련된 사안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나 자신(己身)이 힘을 소모하며 상대하여야 할 경쟁자에 해당하고, 재물과 관련해서는 내게 불리한(형극재) 환경에너지다. 이런 에너지 준위가 곧 운종룡, 풍종호의 상황이며 날씨로 말하자면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면서 스산한 분위기가 될 것이고 평생국과 신수국 그리고 일체의 점국에서의 기문국은 주역 풍천소축(風天小畜)괘의 ‘밀운불우(密雲不雨)’의 괘상과 괘덕을 지니고 괘기를 띤다.
나) 식상
식상은 혈연관계에서 자손을 가리키지만 아울러 내가 갖고 있거나 또는 내가 처하고 있는 환경의 에너지를 순조롭게 이용하면서 쏟아내는 모든 것을 뜻한다. 여기에서 ‘쏟아낸다’를 ‘투자한다.’라고 긍정적으로 새길지라도 나의 기운을 소모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앞서 비겁에서는 나의 의지와 무관하게 경쟁자에 의하여 힘을 소모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곳 식상은 내가 능동적 입장에서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뜻에서 ‘순조롭다’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 결과 남아 있는 에너지가 없게 되어 이곳에서 추가적인 에너지의 활용이 어려울 만큼 기운이 설기될 수도 있다. 식상은 재성을 생하므로(식생재) 재물형성에는 좋고 관성을 극하므로(식극관) 명예와 관청업무에는 흉하다. 그러나 질병을 치유한다는 의미에서는 길하다. 결국 어느 육친이나 그 길함과 흉함을 편벽되게 해석해선 안 될 것이다. 참고로 출행을 위한 날씨 점국에서는 ‘맑음’을 나타낸다.
다) 재성
내가 극하는 대상이 재성이므로 여기엔 재물과 여성이 해당된다. 재물에는 뜻하지 않게 횡재하는 편관과 착실히 쌓아가는 정재가 있고, 건명(남자)인 경우에는 정당한 부부관계로서의 아내(정재)와 부적절하게 맺은 여성 또는 애인(편재)을 뜻한다. 그러나 재성을 굳이 재물과 여성에 국한해선 안 된다. 내 자신이 적극적으로 조정하고 통제하면서 사용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 모두가 재성이다. 그러므로 평생국과 신수국뿐만 아니라 일체의 점국에서 점치는 목적과 용신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재성의 에너지가 강한 상태에서는 환자에게 불리하고(재생관, 관성=병) 관직을 구하는 일에는 좋다. 날씨와 관련해서는 비록 지금은 맑지만 흐려질 수 있는 상(象)이다.
라) 관성
나를 극하는 것이 관성이다.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나의 에너지를 억제시켜 나를 조정하는 일체의 상(象)이 관성이다. 곤명(여성)의 기문국에서 인간관계로 볼 때는 주로 남편 또는 이성을 뜻하지만 건명과 곤명 모두 명예, 관직, 질병을 가리키므로 사안별로 따져야 한다. 예를 들어 기문국에서 관성의 에너지가 충만하면서 동처에 해당하면 나의 경쟁자를 억제하는 것(관극형)과 재물을 설기시키는 것(재생관) 가운데 어느 쪽으로 영향을 미칠지를 종합적으로 살펴야 한다. 나를 ‘억제’하는 환경이 곧 관성이라는 점을 잊지 않으면 된다. 지나치게 무덥거나 추우면 나의 활동에 제약이 되므로 이 역시 관성의 상(象)이며, 요즘 현대인의 사고방식으로는 다소 어색한 해석이겠으나 관성의 상태에 따라 여성의 남편 또는 결혼할 예정인 상대방 남자의 신변에 변화가 온다고 새기는 까닭은 억압과 수용의 관계설정이 아니라, 상(象)과 형(形), 자시(資始)와 자생(資生)의 관계, 즉 아이를 포태(胞胎)하고 양생하여 출산하는 과정으로 설정된 관계이기 때문이다. 기문둔갑이 역학(易學)에 기초하고 있으니 지극히 당연한 논리다.
마) 인성
나를 생하는 것이라면 모두 인성에 해당한다. 부모님을 제외하고 무엇이 나를 생하는 것일까. 동일한 직장상사일지라도 그가 나를 통제하면 관성이요 나를 도와주면 인성이다. ‘문서(文書)’나 서류 또한 마찬가지다. 경쟁자가 갖고 있는 문서와 서류는 겁재가 될 것이요 내게 있는 것은 인성이다. 인성은 식상을 극하므로(인극손) 인상이 동처에 있으면 편안한 나의 터전을 의미하는 식상의 기운이 영향을 받아 불편하다. 이렇게 제압당한 식상은 질병을 의미하는 관성을 제극할 수 없으니 좋은 의사와 약을 구하기가 어렵겠지만 반면에 이렇게 약화된 식상으로 인해 관직을 구하는 일에는 방해를 받지 않는다. 물론 관직이 아닌 다른 일에는 경쟁자를 뜻하는 겁재를 생하는 역할을 하므로, 도움을 받은 겁재가 나의 재산을 뺏어갈 수도 있다. 하나 더....... 날씨와 관련해서는 어떨까? 어렵지 않다. 나를 ‘생하는’ 기운이 인성이라는 것은 그만큼 정력이 있다는 의미다. 즉 숟가락 들 힘만 남아 있어도 정(情)을 나누려 하고, 그 결과 정(情)은 정(精)으로 배설된다. 날씨로 치면 눈이나 비가 바로 하늘이 배설한 정(精)이고 그 정(精)은 땅에 무언가를 생하려는 정(情)에서 비롯된다.
(육친포국 예)
時 |
| 年 |
[丑]十 [寅]三 | [辰]五 [卯]八 | [巳]二 [子]一 |
|
|
|
鬼 | 官 | 偏財 |
| 中 |
|
[子]一 [巳]二 | [酉]四(九) [申]九(四) | [午]七 [亥]六 |
|
|
|
父 | 食神 | 正財 |
| 月, 流 | 世 |
[亥]六 [午]七 | [寅]三 [丑]十 | [卯]八 [辰]五 |
|
|
|
母 | 兄 |
|
Ⅴ. 합충형파해와 신살
1. 기문둔갑에서의 특징
2. 합(合)
3. 충(沖)
4. 형(刑)
5. 파(破)
6. 해(害)
7. 신살(神殺)
8. 사례
8.1 개별궁
8.2 동처 상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