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0c1tjiwxXz4
‘베르디의 나부코' 그리고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 자유의 노래( Song for Liberty)
https://www.youtube.com/watch?v=XppGmDnxwUY
자료출처 : https://blog.naver.com/kws814/221798713074
자료출처 : https://blog.naver.com/lllllhj1/222412877681
--------------------------------------------------------------------------------------
85세의 나나무스꾸리가 열연하는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A-VJxkqfTQ0
https://www.youtube.com/watch?v=QkH3g6m-0lk
<Je chante avec toi Liberté >는 영어로는 < Song for Liberty 자유의 노래 >로 알려진 곡으로 < Giuseppe Verdi 베르디 >의 1842년 오페라 < Nabucco 나부코 >의 < Chorus of the Hebrew Slaves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의 멜로디를 가져온 곡이다.
이탈리아 음악의 대가 베르디가 작곡한 오페라 ‘나부코’의 배경은 기원전 5세기 경의 예루살렘. 이스라엘 역사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던 '나부코도노소르(느브갓네살왕)' 왕의 침략을 소재로 했다. 작곡가 ‘베르디’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그의 세 번째 작품이다. 거대한 스케일의 무대 그리고 감동적인 음악이 관객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이끌어냈고, 이탈리아의 시인 ‘카루두치’는 '패기 넘치는 베르디, 오페라 예술의 첫 고동' 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오페라의 주인공은... 제목이기도 한 '나부코'인데 원래 이름인 '나부코도노소르(느브갓네살)'를 이탈리아식으로 간단히 줄인 것이다. 이 인물은 성경에 나오는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 일반적으로... 유다를 멸망시키고 수많은 백성들을 포로로 끌고 간 바벨론의 폭군이자 잔인했던 왕...으로 알고 있는 바로 그 왕이다.
전체 내용은 ‘구약성경 열왕기 하편’에 나오는 것으로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에게 잡혀간 유대인들이 겪은 고난 극복의 이야기다. 정치적 종교적 탄압을 받고 있는 히브리 민족이 좌절하지 않고 꿋꿋하게 맞선다는 이야기... 특히 시편 137편에도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던 히브리 민족의 애환이 나와 있는데 이 내용도 여기에 포함된다.
1842년 3월, 밀라노의 라스칼라 극장에서 초연이 됐는데 대성공을 거둔다. 무려 67회나 공연이 이어졌고 특히 제3막에서 불리는 '노예들의 합창'은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전해줬다. 19세기 중반에도 그랬지만 이 합창곡은 지금도 사랑받는 베르디의 대표곡이 되었다.
1986년에는 ‘리카르도 무티’가 라스칼라의 음악감독으로 취임하며 축하 공연을 했는데... 이 공연에서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이 끝나자 30분 동안 박수가 이어졌고 공연 중간에 앵콜을...그런 일화. 과거로 돌아가면, 예전에 워낙 이 합창곡에 앵콜이 많이 요청되자 ‘토스카니니’가 공연 도중에 앵콜을 금지했다는... 또 하나의 추억 속의 일화도 있었다. 오페라에서는 3막. 유프라테스 강변에서 노예로 잡혀온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면서 간절하고 숙연한 마음으로 4분의 3박자로 된 이 묵직한(?) 합창곡을 부른다.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이탈리아 통일 운동 때에는 ‘저항의 노래와 민족의 노래'가 되어 이태리의 국가(國歌)처럼 불렸고, 국가를 이 노래로 바꾸자는 의견도 수십 번 발의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베르디의 장례식에서는 수십만 명의 조문객들이 이 노래를 부르며 대작곡가를 추모했다. (행진했다고 함) 일종의 이탈리아의 ’조국찬가‘로 보면 된다. 그리고 그리스의 진주 ’나나무스쿠리‘의 노래로도 이 멜로디는 잘 알려져 있다.
노래 제목은 ’ Song for Liberty’. 내한공연에서도 자주들을 수 있었다. 자유를 찾는 노래를 부르자. 슬픈 암흑을 깨뜨리는 노래를 부르자. 우리의 역사는 우리손으로 창조하였다는 노래를 부르자. 하나의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자. 자유의 노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