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스토텔레스(Ἀριστοτέλης, 전385-322)연보 및 관련자들
# 아리스토텔레스 - 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 전385-322 [예순셋]
[387 아카데미아(L’Académie, attic. Ἀκαδήμεια; koine. Ἀκαδημία) 플라톤이 아테네에 세운 철학학교. 기원전 387년경에서 기원전 86년까지 지속되었다. -후 529 폐교]
385년 마케도니아 지방 스타게이로스(Stagire, Στάγειρος), 에게 해 북쪽에 있는 즉 칼키디케(La Chalcidique, en gr. Χαλκιδική) 동쪽에 있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필립(Philippe)은 의사이고, 어머니 페스티아스(Phéstias)는 조산원 이었다.
374[열하나] 아버지는 아리스토텔레스 나이 11살에 세상을 떴다.
367[열여덟]년에 입학한 플라톤의 학교(아카데미아)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347 플라톤 사망(Platon, 427-347)(여든)
346(서른여덟) 마케도니아와 아테네는 평화 조약을 맺었다.(La Macédoine et Athènes ayant fait la paix (en 346 av. J.-C.). 이 시기에 작은 항구, 아소스(Assos)에서 그의 첫째 학교를 열었다.
345경 딸 퓌티아스(Pythias)가 태어났다. - 그녀는 318년경에 스파르타의 귀족인 프로클레스(Procles, Prokles)와 결혼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사후인데, 이야기가 많을 것 같다. - fr.Wiki는 341년에 퓌티아스(딸과 같은 이름)와 결혼했다고 되어 있다. ]
343[마흔둘]년에 레스보스(Lesbos Λέσϐος)섬에 있는 뮈틸렌(Mytilène, Μυτιλήνη)에 있었다. 여기서 둘째 학교를 열었다. [리케이온의 학교는 셋째인 셈이다.]
- 이때 그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le roi Philippe II, ὁ Φίλιππος, de Macédoine, 전382-전336)에 불려가서 수도인 펠라(Pella, Πέλλα)의 궁정에 머물면서, 어린 알렉산드로스(Alexandre, Ἀλέξανδρος, 전356-전323)의 교육을 맡게 되었다.
335[쉰] 아테네로 돌아오다. 뤼케이온(Le Lycée, Λύκειον)에서 셋째 새로운 학교를 세우고, 13년 동안 가르쳤다. [뤼케이온(Le Lycée, Λύκειον)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세운 셋째 철학학교이며, 그가 재외거류민이기에 땅을 살수 없어서 뤼케이온에 땅을 빌려 세웠다. 이 학교는 전335년에 세워져 전47년에 안드로니코스(Andronicos de Rhodes)와 더불어 소멸한다.]
328 알렉산드로스가 전328년에 조카인 칼리스테네스를 죽음으로 몰았다(페르샤 양식처럼 엎드리라고 했는데 엎드리지 않았다는 이유라는데, 다른 한편 음모에 가담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알렉산드로스 사이 관계는 소원해진다.
323[예순둘]년 알렉산드로스가 사망하고서, 데모스테네스(Démosthène, Δημοσθένης, 전384-전322)가 이끌고 있었던 아테네의 민족주의당이 행한 반마케도니아 운동의 위협을 받아 아테네를 떠나야만 했다.
322[예순셋] 그는 자신의 어머니의 유산이 있는 에우보이아 지방의 칼키스(Chalcis Χαλκίς, en Eubée, Εὔϐοια)로 은퇴하였고, 거기서 전322년 63세로 세상을 떴다.
# 학파 승계자 (en.Wiki; [fr.Wiki에 없음])
Aristotle (c. 334 – 322) 소요학파(Περίπατος)
1대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us, Θεόφραστος, 322–288)
2대 스트라톤(Strato of Lampsacus, Στράτων ὁ Λαμψακηνός, 288 – c. 269)
3대 뤼콘(Lyco of Troas, Λύκων c. 269 – 225)
4대 아리스톤(Aristo of Ceos, Ἀρίστων ὁ Κεῖος, 225 – c. 190)
5대 크리토라오스(Critolaus, Κριτόλαος, c. 190 – 155)
6대 디오도로스(Diodorus of Tyre, Διόδωρος, c. 140)
7대 에륌네우스(Erymneus, Ἐρυμνεύς, (c. 110) (영,위키에서)
[7대(8대) 크세나르코스(Xenarque de Séleucie, Ξέναρχος, vers 60 ]
11대 안드로니코스(Andronikos de Rhodes, Ἀνδρόνικος ὁ Ῥόδιος, 기원전 1세기), 뤼케이온 마지막 학장(58-47) [8대학장이라 설명하는 이들도 있다.]
*
8?? 호메로스(Homère, Ὅμηρος, «otage» ou «celui qui est obligé de suivre», 기원전 9세기) 그 시인(le Poète, ὁ Ποιητής)이라 불린다. 이오니아인으로 추정하며 맹인일 것이다라 한다.『일리아스(Iliade Ἰλιάς/Iliás,)』와 『오뒤세이아(Odyssée Ὀδύσσεια/Odússeia)』
544 헤라클레이토스(Héraclite, Ἠράκλειτος, 기원전 544-480) 이오니아 에페소스 출신, 불(le feu), 투쟁의 변증법.
540-450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Παρμενίδης/ Parmenídês, 기원전 540-450) 존재가 있다(L'Etre est) / fr.Wiki 520/510 –vers 450-448]. [소크라테스 20살에 파르메니데스가 죽었다]
520 칼리아스(Callias, Καλλίας, 전520경-전446), 전5세기경 활동), 아테네 정치가, 살라미노스 해전(Bataille de Salamine, Ναυμαχία τῆς Σαλαμῖνος, 전480)에서 아테네가 승리한 후에, 그는 메디아 전쟁을 끝내고 ‘칼리키아스 평화’(449)을 이끌었다.
500-428 아낙사고라스(Anaxagore, Ἀναξαγόρας, 전500-428) 이오니아 클라조메네(Clazomènes en Ionie), 전체(Tout)밖에 정신(Noûs)있다. 태양을 불타는 돌이다. [소크라테스보다 30여년 선배이다]
490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Πρωταγόρας 전490경-420경), 트라키아지방 아브데라 출신,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 그의 아버지는 메안드리오스(Méandre ou Méandrios)이다. 그는 여러 번 아테네에 거주하기도 했는데, 페리클레스(Périclès)와 가깝게 지냈다. / 485-411 프로타고라스(기원전 485-411) 압데라 출신, 인간 만물척도(L'homme est la mesure de toutes choses)
490 엠페도클레스(Empédocle, Ἐμπεδοκλῆς, 490-435) 시실리 아크라가스(Ακράγας, 아그리장뜨Agrigente)출신, 4원소(물, 공기, 흙, 불) 사랑과 증오 (소크라테스보다 20여년쯤 선배)
484 헤로도토스(Herodotos, Ἡρόδοτος / Hêródotos 484?-430,420?) 그리스의 역사가. 고대에 창작된 최초의 위대한 이야기체 역사인 그리스와 페르시아 전쟁의 역사(Histoires, Ἱστορία/Historía Historiae(〈페르시아 전쟁사〉라고도 함)(서설+9권)를 썼다
469-39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정도 많다.]
450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 / Aristophánês, 전450-386)는 그리스 아테네 희극작가이다. 구름들(les Nuées, Νεφέλαι / Nephélai, 423) 이 작품에서 소크라테스를 쇠파리(Les Guêpes, Σφῆκες/Sphễkes)라 불렀다. 새들(les Oiseaux, 414), 개구리들(les Grenouilles, 405) / 크라티노스(BC 520~BC 423)· 에우폴리스(BC 446~BC 416)· 아리스토파네스(BC 445~BC 385) 등을 3대희극시인이라 하였습니다.
444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Ἀντισθένης / Antisthénês, 기원전 444-365)(79살)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 제자(25살 어렸다, 플라톤보다 17살 많다), 키니코스 학파 창설자. (스토아의 제논보다 109년 즉 한 세기 앞섰다.)
436 이소크라테스(Isocrate, Ἰσοκράτης, 전436–338) 아테네 10연설가 중의 한사람 수사학파 창시자. Nicoclès(roi de Chypre et fils d'Évagoras) 8살 나이 많은 그를 플라톤이 경쟁자로 생각해서 아카데미아를 세웠다고 한다.
435 아리스티포스(Aristippe de Cyrène, Ἀρίστιππος, 435-356)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제자. 전399년에 퀴레네 학파를 창설했다. 이 학파는 즐김주의(l'hédonisme)를 학설의 본질로 삼는다. 그의 딸 아레테(Arété de Cyrène Ἀρετή)도 이 학파 학자이며 아들 아리스티포스(Aristippe le Jeune)도 학자이다.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세 이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408 에우독소스(Eudoxe, Εὔδοξος 전408?-355?), 천문학자, 기하학자, 의사. 플라톤보다 20여년 후배이다. 아르키메데스(Archimède de Syracuse, Ἀρχιμήδης, 전287경-212)에게 알려졌다. .,
407 스페우시포스(Speusippe Σπεύσιππος, 전407-전339) 플라톤의 조카. 정통 플라톤주의자. 플라톤 사후, 플라톤에 이어서 아카데미아 초대 학장.
40? 히케타스(Hicétas, Ἱκέτας or Ἱκέτης; ca. 400 – 335전) 전4세기경 그리스 천문학자, 철학자. 시라쿠스 태생으로 360년경에 활동하였다. 천문학자 엨판토스(Ecphantos, Ἔκφαντος)는 그의 제자이다. 이 둘은 태양 중심으로 지구가돈다고 주장했다.
39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사망 - (당시 플라톤 28살)
397 안티파트로스(Antipater, Ἀντίπατρος, 전397–전319) 마케도니아 장군, 알렉산드로스의 동방(페르샤) 원정 시에 마케도니아를 통치했다. - 알렉산드로스 사후 4년을 더 살았으니 마케도니아 실질적 통치자였다.
396 크세노크라트(Xénocrate de Chalcédoine, Ξενοκράτης, 전396-전314) 플라톤의 조카(스페우시포스, Speusippe Σπεύσιππος, 전407-전339)에 이어서 제2대 아카데미 학장이다.
39? 헤르미아스(Hermias d'Atarnée, Ἐρμίας ὀ Αταρνεύς, ?- 341경) 소아시아에 있는 아타르네우스의 군주(dynaste)이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친구이다.
387 아카데미아(L’Académie, Attic Greek: Ἀκαδήμεια; Koine Greek Ἀκαδημία) 플라톤이 아테네에 세운 철학학교. 기원전 387년경에서 기원전 86년까지 지속되었다.
38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 전384-322: 62살) 스타게이로스(Stagire, Στάγειρος)에서 탄생. (플라톤 나이 3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의 나이 50살에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382 필리포스(le roi Philippe II, ὁ Φίλιππος, de Macédoine, 전382-전336),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드로스의 아버지
375 아리스톡세노스(Aristoxenus of Tarentum, Ἀριστόξενος ὁ Ταραντῖνος; 전375경 - 활동 전335경),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윤리학, 음악에 조예. Elements of Harmony, Ἁρμονικὰ στοιχεῖα; Lat. Elementa harmonica),
372 테오프라스토스(Théophraste, Θεόφραστος/Théophrastos 전372-287) 그리스 철학자. 레스보스 섬에 있는 도시 에로소스(Eresós, Ερεσός) 출신. 아리스토텔레스 계승자 초대 리케이온 학장(322 à 288) 식물학자, 박물학자. 다방면의 작가, 연금술사. 성격론(Les Caractères, Ἠθικοὶ χαρακτήρες, 319?)
370 에우데모스(Eudème de Rhodes, Εὒδημος, 전370경-300경) 전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로도스 출신으로 아테네에서 지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로서, 리케이온의 초대학장이 된 테오프라스토스와 동기생 정도이다. 그는 스승의 작품들을 출판했고, 첫째 과학사가로서 알려졌다.
- 에우데모스(Eudème, Εὒδημος, 전370경-300경)의 조카인 파시클레스(Pasiclès, Πασικλές, Πασικλῆς ὁ Θηβαῖος, s.d.) 4세기경
36? 아리스톡세노스(Aristoxène de Tarente, Ἀριστόξενος ὀ Ταραντίνος, 전4세기) 반 플라톤주의자로서 소요학파 철학자. 음악과 리듬이론가. 330년 활동 조화로운 요소들(Éléments harmoniques, Άρμονικὰ στοιχεῖα)
370 칼리포스(Callippe de Cyzique, Κάλλιπος, 전370경–300경) 그리스 천문학자, 전330년에 아테네 책력을 재정리 했다. 밀레토스와 가까운 이오니아지방 퀴지코스(Cyzique Κύζικος) 출신이라 한다. - [책력의 문제는 이집트 신관이 가장 정확했다고 하는데, 신관들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게 비협력적일 때는 왕조의 책력을 혼란스럽게 했다고 한다. 이는 세금문제와 이자 문제가 걸려 있다. 그럴 수 있는 것은 태양의 순환이 365.24..일이기 때문이다.]
360 칼리스테네스(Callisthène d'Olynthe, Καλλισθένης; 전360경–전328), 아리스토텔레스의 조카. 알렉산드로스 원정에 참여했으며, 그와 불화가 있었다.
360 데메트리오스(Démétrios de Phalère, Δημήτριος ὀ Φαληρεύς, 전360경-전282), 아테네 연설가, 국가인물, 아리스토텔레스와 테오프라스토스의 제자, 소요학파. 메난드로스(Ménandre) 친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건설자 중의 한 사람.
36? 클레아르코스(Cléarque de Soles, Κλέαρχος) 퀴프로스(Chypre, Κύπρος) 섬의 솔(Soles)출신. 전 4세기 소요학파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Erotica Peri hypnou (Sur le sommeil)가 있다.
3?? 테미손(Thémison Θεμίσων, s.d.), 퀴프로스(Chypre, en grec Κύπρος) 섬의 왕자
3?? 파시클레스(Pasiclès, Πασικλές) 여기서 등장인물은 에우데모스의 조카라고 한다. 소요학파의 인물이다. / (동명이인) 4세기경 메가라 철학자. 크라테스의 아우이며 제자이고 또한 스틸폰의 스승인 에우클리데스의 제자이다. / 히파르키아와 결혼했던 크라테스에게 한 아들이 있는데, 그 아들의 이름을 삼촌의 이름을 따서 파시클레스라 한 인물도 있다.
356 알렉산드로스(Alexandre, Ἀλέξανδρος, 전356-전323) 대왕,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교육을 맡았다.
355 데모카레스(Démocharès, Δημοχάρης, 전355경-전275경) 아테네 연설가, 국가인물, 민주당원으로 데메트리오스와 마케도니아 옹호파들에 대립된다. 연설문 이외에도 역사 작품들이 있다.
347 디카이아르코스(Dicéarque (Δικαίαρχος, 전347경-285경) 그리스 철학자, 지리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그는 테오프라스토스와 대립되고, 아리스톡세노스와 관계를 끊는다. Dicéarque est adepte de la βίος πρακτικός, s’opposant à son condisciple Théophraste , adepte de la νοῦς χωριστός d'Aristote.
343 메난드로스(Ménandre, Μένανδρος / Ménandros, 전343-292) 그리스 희극작가. 무뚝뚝한 자(Le Dyscolos, Ὁ δύσκολος ou Le Bourru), 중재재판(L'Arbitrage (Οἱ ἐπιτρέποντες), 사모스 여인(La Samienne (Ἡ Σαμία), 털깍는 여인?(La Tondue (Ἡ περικειρομένη), 방패(Le Bouclier (Ἡἀσπίς), 시퀴오니아 지방민들(Sicyoniens (Οἱ Σικυώνιοι)(Σικυωνίων: 펠로포네소스 반도의 데모스)
338 스트라톤(Straton de Lampsaque, Στράτων, 전338-270?),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테오프라테스를 이어서 뤼케이온 2대학장. 아리스타르코스(Aristarque de Samos)의 스승이다.
309 프톨레마이오스 2세(Ptolémée II, Πτολεμαίος, 전309-전246), 그의 가정교사가 스트라톤.
240 크리톨라오스(Critolaos de Phasélis, 전240경-150경)(활동 전200경부터), 뤼케이온 5대 학장, 기원전190년에서 전150까지 이끌다.
186 로마의 원로원은 186년에 피타고라스학파의 책들을 없애버렸으며, 그러고 나서 173년과 161년에는 에피큐로스 사상도 쾌락주의와 정치적 포기를 함축하고 있다는 이유로 금지하였다. 이후 스토아학파가 중심이 되다.
125 안티오코스(Antiochos d'Ascalon, Άντίοχος ὁ Ἀσκαλώνιος, 전125경–전68경)의 시대, 제5시기 아카데미 시대, 즉 절중학파의 시대 전 85년부터 제13대 학장이자 마지막 학장.
106 키케로(Cicéron, Marcus Tullius Cicero, 전106-전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아카데미학자들(Academica Académiques 전45), Tusculanes, De finibus De la nature des Dieux De la divination
100 크세나르코스(Xenarque de Séleucie, Ξέναρχος, 전100경-20경), 알렉산드리아에서 공부하고 아테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뤼케이온에서 학장(?)을 지냈다.
100? 안드로니코스(Andronikos de Rhodes, 기원전 1세기), 뤼케이온 마지막 학장(58-47)
그에 의해 편집된 형이상학(La Métaphysique, τὰ μετὰ τὰ φυσικά; Metaphysica)은 14권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저자는 아래 서술에서 제14권(XIV, Nu (Ν) 뉘편)을 소개하하고 있는데, 그러면 작은 알파편을 제외해도 13권인데 왜 12권리이라 했는지 모를 일이다. (48MME)
[89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기원전 89-85년)이 아카이아 속주의 일부가 된, 보이오티아와 아티카에서 치러졌다. 기원전 89년에 폰토스의 왕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의 아시아 속주 (아나톨리아 서부)를 점령했다. 미트리다테스는 아르켈라오스(핵심 군 지휘관)을 그리스로 파견했고, 그곳에서 아리스티온을 그리스의 참주로 옹립했다. 로마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에피루스 (그리스 서부)에 상륙하여 아테네로 진격했다. 그는 아티카로 향하면서 보이오티아를 걸쳐갔다. 술라는 기원전 87-86년 동안 아테네와 피레아스를 포위했으며 그 후 아테네를 약탈하고 피레아스를 파괴했다.]
86 아테네 몰락으로 여러 학당들이 사라질 때, 스뤼케이온도 마감한다.
27 초대 황제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av.63-14, 재위 av.27-14) 등극
O
46 플루타르코스(Plutarque, Πλούταρχος/Ploútarkhos 46-125) 케로네(Chéronée en Béotie)태생, 그리스 출신 로마 역사가 사상가. 중기 플라톤주의 영향을 받았다. 위인전기(Vies parallèles des hommes illustres, en grec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 Bíoi Parállêloi),『도덕작품(Oeuvres morales)』이 있다.
50 노예출신 에픽테토스(Epictète, Ἐπίκτητος/Epíktêtos, 50-125/30) Arrien, Les Entretiens (διατριϐαί [diatribaí]) Arrien, Le Manuel d'Épictète (Ἐγχειρίδιον Επικτήτου [Enchiridion Epiktetou])
113 아드리아노스(Adrien de Tyr, Αδριανός, Adrianus, 113-193) 수사학자, 제2기 소피스트. 헤로도토스(Hérode Atticus)의 제자. 필로스트라토스(Philostrate, 170-240)가 그의 전기를 썼다. 아리스토텔레스 작품의 주석을 썼다는데, 남아있지 않다.
1?? 아드라스토스(Adraste d'Aphrodisias, Ἄδραστος ὁ Ἀφροδισιεύς), 2세기 초 소요학파 철학자. 카리아의 아프로디지아스 출신. 아리스토텔레스 작품 주석을 달았다. [소아시아연안의 카리아(Καρία)지역의아프로디지아스(Ἀφροδισιάς) 출신이다.
150 알렉산드로스 아프로디지에우스(Alexandre d’Aphrodise, Ἀλέξανδρος ὁ Ἀφροδισιεύς, 150경-250경), 소아시아 연안 카리아(Καρία)의 아프로디지아스(Ἀφροδισιάς) 출신, 소요학파, 아리스토텔레스 주석가. Du destin (Περὶ εἱμαρμένης, De fato)(μοίρα에서 나왔다고 한다.) [내가 보기에 오리게네스나 클레멘스보다 크리스트교의 논리를 구축하는데 아프로디지에우스의 역할이 더 컸을 것이다. - 즉 태초에 말씀이 있었느니라의 그리스어 역은 알렉산드리아의 스토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합작품일 것이다.]
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철학에서 유명한 학자들의 생애와 사상(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스토아주의자들이 철학을 달걀에 비유했음을 전한다.
232 포르피리오스(Porphyre, Πορφύριος, 232?-305?)의 금식에 대하여(De l'abstinence)(abstinence de la consommation de chair animale)에서 추출된 글에서
317 테미스티우스(Themistius, gr. Θεμίστιος, 317-388) 수사학자 철학자. 이교도. 아리스토텔레스의 환언관계(la paraphrase, 주석)를 처음 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347년 콘스탄티노플에서 학파를 열었다. In Aristotelis 'Physica' paraphrasis(Commentaire sur la 'Physique' d'Aristote).
410 프로클로스(Proclus, Πρόκλος, 410-485)의 공화국의 주석 (II, p.114)
480 보에티우스(Boèce 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480-524) 로마태생 라틴 철학자, 정치가. 크리스트교인 아리스토텔레스 학설 신봉자.
490 심플리키우스(Simplicius de Cilicie, Σιμπλίκιος ὁ Κίλιξ, 490-560),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와 에픽테투스 주석가. 529년 아테네 학당 폐쇄로 페르샤로 망명, 533년 유스티아누스 황제와 화해하고 아테네로 돌아와 아리스토텔레스 주석서를 내다. Commentaires sur la Physique d'Aristote, p. 230, éd. Diels
*연구자들
1768 뛰로(Jean-François Thurot, 1768-1832), 프랑스 철학자, 헬레니스트,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의 번역(1824),
1785 베커(Immanuel Bekker, 1785-1871),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총서 첫 편집자이다(Aristoteles-Gesamtausgabe). Edition de l'Oeuvre d'Aristote et des Commentaires(23권), t.I et II, 1831, t.III 라틴 번역들, t.V, 1870:
1790 브란디스(Christian August Brandis, 1790-1867), 독일 철학자, 그는 테오프라스토스의 “형이상학에 관하여(Sur la Métaphysique)”를 1823년에 편집하였다. 1823, p.308, 8.
1802 트렌델렌부크르(Friedrich Adolf Trendelenburg, 1802-1872) 독일 철학자, 문헌학자, 교육학자. Platonis de ideis et numeris doctrina ex Aristotele illustrata, 1826, Elementa logices Aristoteleae, 1837.
1805 바르텔르미-상-띨레르(Jules Barthélemy-Saint-Hilaire, 1805-1895), 프랑스 철학자, 기자, 아리스토텔레스 여러 작품 번역.
1809 이델러(Julius Ludwig Ideler, 1809-1842) 독일 고전 문헌학자. 언어와 자연탐구분야. Meteorologica veterum Graecorum et Romanorum. Prolegomena ad novam Meteorologicorum Aristotelis editionem adornandam. 1832 (Diss.)
1813 라베송(Jean Gaspard Félix Ravaisson-Mollien, 1813–1900), 프랑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 관한 시론(Essai sur la métaphysique d'Aristote(2 vol., 1837-1846)
1814 보니쯔(Hermann Bonitz, 1814-1888), 독일 문헌학자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Aristotelis Metaphysica 1849), 아리스토텔레스의 인덱스(Index Aristotelicum; supplementum aristotelicum, 1885-1895;
1824 베르나이스(Jacob Bernays, 1824–1881), 독일 고전문헌학자. 경건에 관한 테오프라스토스의 저술(Theophrastos' Schrift über Frömmigkeit 1866)
1825 오술리에(Bernard Haussoullier, 1852–1926) 프랑스 문헌학자. 고고학자. 아테네의 헌정제도의 번역(1892)
1829 로제(Valentin Rose, 1829–1916), 독일 고전 문헌 학자. De Aristotelis librorum ordine et auctoritate commentatio. 1854
1833 조르쥬 뿌셰(Charles Henri Georges Pouchet, 1833-1894), 프랑스 박물학자, 어류와 고래류 해부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La Biologie aristotélique, 1885).
1834 뉴먼(William Lambert Newman, 1834–1923), 영국 고대 사학자,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편집.
1839 올레-라프륀(Léon Ollé-Laprune, 1839-1898), 프랑스 카톨릭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도덕론에 관한 시론(Essai sur la morale d'Aristote, 1881)
1843 블라스(Friedrich Blass, 1843–1907) 독일 고전 학자. 아테네 몰락과 그 이후, 초기 기독교까지를 주로 다룬다. 히베 파피루스(The Hibbeh Papyri)(I, no 16)에서 발견했던 “물에 관한 논의” 속에 있는 단편들을 참조하라.
1848 빌라모비츠(Enno Friedrich Wichard Ulrich von Wilamowitz-Moellendorff, 1848-1931), 안티고노스(Antigonos von Karystos, 1881, p. 264. [안티고노스(Antigone de Caryste, Ἀντίγονος) 전3세기경의 그리스 박물학자. 다방면 기록자, 동명이인(4세기경과 3세기경)으로 두 인물이 있다.]
1848 딜스(Hermann Alexander Diels, 1848-1922) 독일 문헌학자. 고대철학 전공, 그리스 학설(사)(Doxographi Graeci, 1879), 소크라테스 이전철학자들의 단편(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1903).
1853 브룬스(Ivo Bruns, 1853-1901), 독일 고전 문헌학자. De Anima liber, éd J. Bruns ],
1854 삐아(Clodius Piat 1854-1918), 카톨릭 신부, 철학사가. 심리학과 종교철학에 관심.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1903)
1856 아믈랭(Octave Hamelin, 1856-1907), 프랑스 철학자, 네오헤겔주의자. 자연학번역(1900), 제4권, 1절-5절,
1861 뒤앙(Pierre Duhem, 1861-1916), 프랑스 물리학자, 화학자, 철학사가. 세계의 체계: 플라톤에서 코페르니쿠스까지 우주론들의 역사(Le Système du Monde. Histoire des Doctrines cosmologiques de Platon à Copernic, 1913-(10 vol., 1913—1959).
1862 구데만(Alfred Gudeman, 1862–1942), 독일계 미국인, 고전 문헌학자.
1863 버넷(John Burnet, 1863–1928) 스코틀랜드 고전학자. 초기 그리스 철학(Early Greek Philosophy, 1892). 편집판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The Ethics of Aristotle, 1900.
1864 로디에(Georges Louis Rodier, 1864-1913), 프랑스 철학자, 대학교수,
1866 로방(Léon Robin, 1866-1947),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전문, 고대철학사교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1944).
1867 마이어(Heinrich Maier, 1867-1933), 독일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Die Syllogistik des Aristoteles, 1896).
1867 비데(Joseph Marie Auguste Bidez, 1867-1945), 벨기에 고전 문헌학자, 고대에서 독특한 문학적 난파선: 소실된 아리스토텔레스 유실물들의 탐구(Un singulier naufrage littéraire dans l'antiquité : À la recherche des épaves de l'Aristote perdu, 1943
1868 지바르트(Erich Gustav Ludwig Ziebarth, 1868-1944), 그리스 결사조직(Das griechische Vereinswesen, 1896), p.71 이하.
1869 그렌펠(Bernard Pyne Grenfell, 1869-1926) 영국 파피루스 연구자. 이집트학 학자. 히베 파피루스(The Hibbeh Papyri)(I, no 16)에서 발견
1869 크롤(Wilhelm Kroll, 1869–1939), 독일 고전 문헌학자. 그가 편집한, 프로클로스(Proclus, Πρόκλος, 410-485)의 공화국의 주석 (II, p.114)에 따르면.
1869 브룅슈비끄(Léon Brunschvicg, 1869—1944), 프랑스 과학 철학자, 철학사가. Qua ratione Aristoteles metaphysicam vim syllogismo inesse demonstravit, 1897.
1875 질레(Martin Stanislas Gillet, 1875-1951) 프랑스 신부, 주교. 도덕론 (Du Fondement intellectuel de la morale[1905]
1875 쿠퍼 (Lane Cooper, 1875-1959) 미국 성공회 신학자, 문헌학자. 구데만(Alfred Gudeman, 1862–1942)과 함께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의 참고문헌(A Bibliography of the poetics of Aristote, 1928)(New Heven)
1877 데이비드 로스(William David Ross, 1877–1971) 스코틀랜드 철학자. 윤리학전공, 주저 The Right and the Good, 1930).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Aristotle's Metaphysics, 1924).
1877 랄로(Charles Lalo, 1877–1953), 프랑스 철학자, 미학전공,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1922).
1877 망까(Régis Louis) Maurice Manquat, 1877–1964(?), 낭시출신, 동물학 교수, 박위논문 « La théorie des tropismes dans le comportement animal, 1924 ». Aristote naturaliste 1932,Le monde des microbes, 1950.
1878 베르너(Charles Werner, 1878–1969), 스위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관념론(Aristote et l'idéalisme platonicin, 1910)
1878 드푸르니(Maurice Defourny, 1878–1953), 벨기에 정치경제학자, 꽁트의 실증주의로 철학박사, 경제이론과 사회(Théorie économique et société, 1914)(Louvain), 아리스토텔레스와 교육(Aristote et l'éducation, 1919), 아리스토텔레스와 사회진화(Aristote et l'évolution sociale, 1924)
1879 비그노네(Ettore Bignone, 1879–1953), 이탈리아 고전문헌학자, 번역가. Aristotele perduto e la formazione filosofica di Epicuro (1936)(Firenze)
1881 꼴(Gaston Colle, 1881-1946), 벨기에 철학자, 고대철학사 전공, 형이상학(I-III) 번역(1912-1922)
1885 수이에(Joseph Souilhé, 1885–1941), 제수이트. 철학사 교수, 「니코마코스 윤리학 1권과 2권」
1888 예거(Werner Jaeger, 1888-1961), 독일철학사가, 헬레니스트.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발전사 연구(Studien zur Entstehungsgeschichte der Metaphysik des Aristoteles, 1912), 아리스토텔레스: 그의 발달사의 기초(Aristoteles. Grundlegung einer Geschichte seiner Entwicklung, 1923(trad. ang. 로빈슨(Richard Robinson, 1902–1996))
1891 까르뜨롱(Henri Carteron, 1891–1929)[서른여덟], 프랑스 고대 그리스 전공, 번역가 대학교수.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에서 힘의 개념(La Notion de Force dans le Système d'Aristote, 1923,
1893 트리꼬(Jules Tricot, 1893-1963), 프랑스 문헌학자, 아리스토텔레스 번역가, 오르가논번역(1936-1939)
1898 페스뛰지에르(André-Jean Festugière, 1898-1982), 프랑스 철학자, 도미니크 수도승, 문헌학자, 네오플라톤 전공,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트렙티코스(설교)”편의 새로운 단편(Un fragment nouveau du Protreptique d'Aristote」 Revue philosophique, 1956.
1899 르블롱(Jean-Marie Le Blond, 1899-1973) 프랑스 신부, 제수이트. Parties des animaux, livre I, tr. J.-M. Le Blond (1945)
1900 왈쩌(Richard Rudolf Walzer, 1900–1975), 유태계 베를린 태생 영국 그리스 철학 전문가. Aristotelis Dialogorum fragmenta, 1934
1900 모로(Joseph Moreau, 1900-1988), 프랑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학파(Aristote et son école, 1962)
1901 크뤼숑(Georges Cruchon, 1901–1980), 제수이트, 프랑스 심리학자, 철학자. 「니코마코스 윤리학 1권과 2권」(번역),
1901 브르제(Louis Bourgey, 1901–1979), 프랑스 역사학자. 아리스토텔레스에서 관찰과 경험(Observation et expérience chez Aristote, 1955)
1902 로빈슨(Richard Robinson, 1902–1996) 영국 철학자(대중화 작업),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번역.
1902 쉴(Pierre-Maxime Schuhl, 1902-1984),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교수. 지배자와 가능성들(Le Dominateur et les possibles 1960).
1902 베를리(Fritz Wehrli, 1902-1987), 스위스 그리스 학자. 아리스토텔레스 학파(Die Schule des Aristoteles)(1944-1959)(10권)
1902 보헨스키(Joseph Maria Bocheński 1902-1995), 폴란드 도미니크 수도사, 철학자, 논리학자. 테오프라스토의 논리학(La Logique de Théophraste, 1947)(프랑스어로)
1902 이타르(Jean Itard, 1902-1979) 프랑스 수학사가. 16세기와 17세기 전문가이다. 유크리드의 산술학 책들(Les livres arithmétiques d'Euclide, s.d.)
1903 뒤링(Hans Ingemar Düring, 1903-1984), 스웨덴 문헌학자, Aristotle’s Protrepticus. An Attempt at Reconstruction, 1961(Elanders, Göteborg, 1961).
1905 뮈니게(René Mugnier, 1905-1972) 프랑스 철학자, 터키에서 젊은 시절 보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Parva Naturalia 번역. 박사논문: La théorie aristotélienne du premier moteur et l’évolution de la pensée aristotélienne,
1906 닐(William Calvert Kneale, 1906–1990), 영국 논리학자. 부인 마르타 닐(Martha Kneale, 1909–2001)과 함께, 논리학의 발전(The Development of Logic, 1962)
1906 빌페르트(Paul Wilpert, 1906–1967), 독일 철학자, 고전 문헌학자. 이데아 학설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초기 두작품(Zwei aristotelische Frühschriften über die Ideenlehre, 1959)
1907 알랜(Donald James Allan, 1907–1978), 영국 철학자, 글래스고 대학 그리스 철학 교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philosophe, 1963).
1908 누이엔스(François Nuyens, Franciscus Johannes Christiaan Jozef Nuyens, "Frans" Nuijens, 1908-1982), 벨기에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심리학의 진화(L'Evolution de la psychologie d'Aristote, 1948)(Louvain)
1913 고띠에(René-Antoine Gauthier, 1913-1999), 프랑스 도미니크 신부, 문헌학자, 철학사가.
1917 데까리(Vianney Décarie, 1917-2009), 카나다 퀘벡 철학자, 교수. 아리스토텔레스에 다른 형이상학의 대상(L'objet de la métaphysique selon Aristote, 1961)
1919 모로(Paul Moraux, 1919-1985), 벨기에 고전 문헌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저술들의 옛 목록들(Les listes anciennes des ouvrages d'Aristote, 1951,
1919 브룅(Jean Brun, 1919-1994), 프랑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와 뤼케이온(Aristote et lycée, 1961).
1919 라비노비츠(Wilson Gerson Rabinowitz, 1919-1998) 미국 철학사가, 고전문헌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트렙티코스(설교)”와 그것의 재구성의 원천들(Aristotle's Protrepticus and the sources of its reconstruction, I, 1957
1920 바르보땅(Edmond Barbotin, 1920-2014), 프랑스 카톨릭 신부, 신학자, 헬레니스트. 테오프라스토스에 따른 지식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La Théorie aristotélicienne de l'intellect d'après Théophraste, 1954(Publications Universitaires de Louvain, 312 p.)
1921 사프레(Henri Dominique Saffrey, 1921-), 프랑스 철학자, 신플라톤주의 전공,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관하여(Sur la philosophie)”와 수의 이데아들에 대한 플라톤의 이론(Le Περὶ Φιλοσοφίας d'Aristote et la théorie platonicienne des Idées Nombres, 1955)
1923 죨리프(Jean-Yves Jolif, 1923–1979), 프랑스 신학자, 대학교수, 번역가.
1923 베이유(Raymond Weil, 1923-1995), ENS, 1946년 문학으로 수석졸업, 그리스 문학과 언어 전공, 「아리스토텔레스 문제들에 대한 현재 상태(Etat présent des question aristoteliciennes」, Information littéraire(1959, pp. 20-31).
1929 브룅슈비그(Jacques Brunschwig, 1929-2010), 프랑스 철학사가, 문헌학자, 번역가, 토픽편(1967).
1929 오방끄(Pierre Aubenque, 1929-2020), 프랑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전공,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존재의 문제(Le problème de l'être chez Aristote, 1962).
1930 론고(Oddone Longo, 1930–2018), 이탈리아 그리스어 학자, 고전철학자. 그리스 문학박사.
1944 이태수(李泰秀, 1944-) 인천, 괴팅겐 게오르크아우구스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포브스(F. H. Forbes, s.d., Claire Forbes, s.d.), 프린스턴 대학과 연결된 유명한 서적상. 대를 이어서 하고 있는 것 같다. 아마도 로스(1877–1971)와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번역을 편집했을 것이다. 이 책에서 Fobes로 되어 있는데 오타일 것이다.
?-? 루이(Pierre Louis, s.d.), 문학박사, 클레르몽과 리용 아카데미 총장을 지냈다는데(1954-1976), 아리스토텔레스 번역이외 다른 기록이 없다. 신부? Pierre Louis, Aristote. Les parties des animaux. Texte établi et traduit. Paris, Les Belles Lettres, 1956. 1 vol. in-8°, xli- 194 pp.
?-? 오보네(Jean Aubonnet, s.d.), 정치학번역, Introduction à la Politique d'Aristote, édition des Belles Lettres, p. XC à XCII.
?-? 쮜르헤(Josef Zürcher, s.d.), Aristoteles Werk und Geist, 1952)
?-? 뛰로(Carol Thurot, s.d.), 알수 없음, 아리스토텔레스 연구(Etudes sur Aristote, 1861)
?-? 롤랑-고슬랑(Miguel Roland-Gosselin, s.d.), 신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한 정의의 방법들(Les Méthodes de la définition d'après Arisotote)」, Revue des sciences philosophiques et théologiques, 1912. (12:19, 57VKG)
(3:13, 57MMA) (11:16, 58L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