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祭祀)의 의미.;;;;;;;;;;;;;;;;;;;;;;;;;;;;;;;;;;;;
한국교회는 명절 때 차례나, 조상 기일이 되면
제사(祭祀)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많이 겪어왔습니다.
제사는 한국의 전통문화 중 가장 비중이 큰 예절(제례)문화입니다.
유교는 부모에 대한 존경을 사람됨의 기초로 생각하고
제사는 효(孝)의 연장선에서 파악합니다.
그러므로 동양적인 문화에서는 제사)를 드리는 것은 우상숭배가 아니라,
효도의 행위이고, 미풍양속)이므로
기독교인들 중에도 제사를 드리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 어떤 목회자 분은 제사는 조상님들을 섬기는 효도 행위지
우상숭배가 아니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독교인들 중에도 혼돈하고 있는 분이 많습니다.
바울을 비롯한 성경의 가르침은 제사가 무익할 뿐 아니라,
귀신)에게 드려지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고전10:20)
.
이에 한국교회는 제사를 거부했고 그로 인해 많은 박해를 받았으며
후에는 일제의 신사참배 거부로 시련을 겪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굳건한 신앙을 견지한 선배들 덕분에
오늘의 기독교는 그 순수함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꽤 오래 전부터 제사가 우상 숭배가 아니라,
하나의 미풍양속에 불과한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천주교는 이미 오래 전에 제사(가 종교 행위가 아니라는
교황의 교서를 내렸습니다.
과연 제사는 우상 숭배인가, 미풍양속인가?
그것이 우상숭배라면 우리는 단호히 대처해야 할 것이고
미풍양속이라면 잘못된 편견을 버리고
그것을 수용하는 것이 마땅할 것입니다.
그러나 제사는 효도도 아니고
조상숭배인 우상숭배)라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 제사(祭祀)의 의미......................................
조상숭배제사 제례(祭禮)는 신(神)의 뜻을 받아 복(福)을 비는 의례입니다.
조상숭배인 제사에 대한 제례가 가장 발달한 시기는 조선 후기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통치 이념이었기 때문에
조상에 대한 인식이 희박했습니다. 따라서
조상 제사 숭배 의례도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은 치국이념으로 성리학을 채택하였고,
성리학의 중요 내용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예(禮)”입니다.
특히 “주자가례(朱子家禮)는 조상숭배의례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제사의 의미는 조상숭배에 대한 의례 행위라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것은 조상은 누구이며 자손들과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먼저 알아보는 일입니다
.
한국인들의 생활과 문화 속에서는 조상들은 죽지 않고 살아 있습니다.
즉 사람이 죽으면 그날로 잊혀지고, 산 사람과는 단절되는 문화가 아니라.
즉 조상들은 죽었지만 자손들과 관계가 단절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조상에 대한 인식은 통과의례에서 여실이 보여줍니다.
............환갑에 대해.................................
제사의 의미로서는 한 사람이 조상이 되는 시작이 환갑의례입니다.
곧 환갑부터 죽음까지는 “살아 있지만 죽은 조상”의
대접을 받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청에 대해....................................
제사의 의미로서는 “죽었지만 살아 있는 노인”
대접을 받는 상청(喪廳)의 단계입니다.
죽은 뒤부터 탈상 때까지 3년 동안은 장남 집의 마루에 혼백을 모신
상청을 마련해 놓습니다.
이 기간 동안 산 자손은 죽은 조상을 위해 상식(上食)을 올리고
생신도 지내 드립니다.
또 그 집에 찾아온 손님은 제일 먼저 상청에 인사를 드린 다음에
다른 사람에게 인사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평소에 담배를 좋아했다면 담배도 피워 놓는 등
마치 집안에 살아 계신 어른처럼 대접합니다.
3년 탈상 전까지는 죽었지만
산 사람으로 대접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사 기간에 대해.................................................
제사의 의미로서는 제사 기간입니다.
탈상이 끝나면 상청에 있던 혼백은 장남 집의 사당에 모시게 됩니다.
제사 기간 동안 그 조상은 적어도 1년에 4번 이상
자손으로부터 대접을 받습니다.
..... 본인의 기제사 날,... 배우자의 기제사 날 ...
.그리고 설날과... 추석의.. 차례입니다.
이 제사 기간은 약 1백 년 동안 계속 됩니다.
그것은 1대를 25년으로 잡아 4대(고조)가 될 때까지
제사를 받기 때문입니다.
...........시제에 대해...........................................
제사의 의미는 시제입니다.
종손으로부터 4대조 이상이 되면 사당의 위패는
장손의 집을 떠나 묘에 묻히면서 먼 조상이 됩니다.
시제 대상이 된 조상에게는 1년에 한 번씩
대개 음력 10월이나 3월에 문중 자손들이 묘에 찾아와 차례를 올립니다.
이 묘제는 영원히 계속됩니다.
제사의 의미를 정리해 보면 우리 조상들은
크게 4 단계로 나뉘어서 후손으로부터 대접을 받습니다.
1 단계는 환갑에서 사망까지로서, 살아 있지만 죽은 것으로서
산 조상의 단계입니다.
2 단계는 사망에서 탈상까지 죽었지만 “살아 있는 노인”
대접을 받는 상청 시기의 단계입니다.
3 다음은 상청 기간이 끝나고 자손집의 사당에 조상으로 모셔져서
1년에 4번 대접을 받는 제사 기간입니다.
4 마지막은 1년에 한 번씩 묘지에서 자손들과 만나는 시제 기간입니다.
따라서 제사의 의미는 조상은 죽었지만
자손의 기억과 생활 속에서 영원히 살아 있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입니다.
무속 신앙과 점괘가 기독교에 기친 영향 중에서 (전 승려출신 서재성 목사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