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트 콥트교는 기독교가 아니다
이집트의 콥트교 교인 수가 이집트 전체 인구 8천만 명 중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다수 이슬람교도에 비해 사회, 경제적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집트 국민으로서 대우를 받고자 반정부 투쟁도 서슴지 않고 행하며 자신들의 권리를 찾고자 유혈분쟁까지도 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를 접하게 됩니다.
콥트교는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분리하여 나갔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믿는 예슈아(Jesus)가 신성(단성설)만 있고 인성은 가지고 있지 않다는 교리로 인하여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이단으로 정죄되었던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은 2012년 4월 7일 부활절(Easter) 저녁미사에서 그들이 믿고 있는 하느님이 루시퍼(루치펠)=사탄=태양신=뱀임을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로마 카톨릭 부활절(Easter) 루시퍼(루치펠) 찬양 유튜브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fjgIiUkb45Y&feature=player_embedded#!
로마 카톨릭이 추구하고 있는 WCC(세계교회협의회) 에큐메니컬 종교통합 종교연합운동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 지저스 크리스트 Jesus Christ의 이름과 십자가 형상과 삼위일체 교리로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단성론(monophysitism)이란 기독교 내의 일파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엄격히 말한다면 칼케톤 공의회(AD451)에 의해서 결정된 교리, 즉 그리스도(예수)의 한 위격 안에 두 본성이 있다는 교리로 신성과 인성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교리를 거부하고 오직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말씀의 한 본성만을 믿는 신앙을 가리키는 말이다.]
출처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B%8B%A8%EC%84%B1%EC%84%A4
이집트 콥트교인들이 부르는 이름 예슈아는 느헤미야 8장 17절의 눈의 아들 호세아 곧 여호수아의 이름으로서 느헤미야 8장 17절에서 눈의 아들 예슈아로 기록한 것을 따르고 있는 것이며, 신약성경의 원문이라는 헬라어 신약성경과 헬라어 구약성경의 가르침대로 세상 기독인들이 믿고 부르는 이름인 이에수 Ιησού 예수 Jesus Christ이고, 이에순 Ιησούν 예수 Jesus Christ이며, 이에수스 Ιησούς 예수 Jesus Christ이고, 1611kjv 성경에 기록된 Iesus Christ이고 1655kjv 성경에 기록된 Jesus Christ이며 중국어 성경에 기록된 야소 지두 耶穌基督 [Yēsū Jīdū]이고, 한글 성경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이다.
이집트 콥트교인들이 외치는 예슈아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8718477
단성론으로 인하여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이단으로 정죄된 이집트 콥트교이지만 로마 카톨릭과 같은 성직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동일한 십자가 형상과 그림(이콘)등을 사용하고 있고, 크리스마스와 부활절(Easter)을 기념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루시퍼(루치펠)=사탄=태양신=뱀을 숭배하는 바빌론 종교인 로마 카톨릭과 그 뿌리가 같은 하나의 종교로서 동방의 정교회등과도 큰 차이가 없는 것입니다.
이집트 콥트교는 현재의 로마 카톨릭의 성직제도와 같이 비슷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데 교황이 있으며 성직제도는 여러 가지 직위들로 구분하고 있으며, 로마 카톨릭이 유아세례를 행하듯이 이집트 콥트교에서는 유아침례를 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콥트인들에게는 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종교적 멍에가 주어지는데, 즉 아이가 세례를 받지 못한 채 죽는 것을 방비하고 있다. 그래서 갓난아이가 죽음의 위협을 받을 경우 즉시 교회에 찾아가 세례를 받게 했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가 내세에 가서 장님이 될 것이라고 부모들은 염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아 세례는 남아는 생후 40일 만에, 여아는 생후 80일 만에 실시한다. 세례는 사제에 의해서 축성된 물속에 세 번 침수함으로 실시되는데 이때에 사제는 이런 말을 한다. “나는 그대에게 성부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노라. 아멘.” “나는 그대에게 성자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노라. 아멘.” “나는 그대에게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노라. 아멘.” 그래서 이 세례문이 삼신론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하여 비난을 받아왔다. 그리고 침례를 받기 전에 옷과 장식을 모두 제거하고 침례 후 견진례 때에는 흰 옷과 띠와 관을 새로 씌운다. 이 관습은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새 사람이 되었다는 것과 그리스도인으로서 믿음의 경주가 시작되었다는 것과 신앙에 싸움에서 약속된 승리를 쟁취한다는 의미를 나타낸 것이었다.]
자료출처 : 크리스챤 해피투어
작성자 : 이인식 목사(시카고 동양선교문화연구원장)
http://www.chtour.co.kr/ver3/holy_study_content.php?cno=57&gubun=01
로마 카톨릭이 기독교가 아니듯이 콥트교 역시 기독교가 아닌 것입니다.
현재 로마 카톨릭이 추구하고 있는 WCC(세계교회협의회) 오이쿠메네, 에큐메니컬운동, 종교통합, 종교연합운동의 핵심사상이 예수 그리스도 지저스 크리스트 Jesus Christ의 이름과 십자가 형상과 삼위일체 교리이듯이 이집트 콥트교도 예슈아 Yeshua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바벨론 태양신 사상과 기독교 사상이 혼합된 로마 카톨릭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의 프란치스코 교황은 스코틀랜드 WCC(세계교회협의회) 세계교회연합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카톨릭이든 정교회든 콥트교든 루터교든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습니다.
로마 카톨릭의 이러한 주장은 그들이 행하고 있는 종교통합 종교연합운동인 오이쿠메네 에큐메니컬운동의 하나로서 세상의 모든 종교들과 하나가 되기 위한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 프란치스코 교황 "참수된 콥트교인도 기독교 형제"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W_0yj5oXsDA
진정으로 거듭난 성도들은 로마 카톨릭이 행하고 있는 종교통합 종교연합운동의 하나인 WCC 세계교회협의회의 사상에 동조하며 함께 해서는 안 되며 로마 카톨릭이 믿고 부르는 이름인 지저스 크리스트 Jesus Christ이름과 십자가 형상들과 삼위일체 교리의 거짓 가르침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야 할 것이며, 그들의 거짓 가르침과 행함으로부터 분리되는 삶을 살아야할 것이며, 오직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만을 믿음의 상징과 표시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이 증거 하시고 계신 그 말씀을 듣고 있으면서도 온갖 변명과 핑계를 대며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 것은 온 우주 만물을 창조 하신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 예슈아님의 말씀에 불순종하는 것입니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 예슈아님께서 십계명과 율법을 주신 것은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의 자녀이며 백성으로서 우상숭배가 무엇이며, 죄가 무엇인지를 알게 하여 주시고자 함이셨습니다.
이 시대에 자신이 기독인이라고 말하며 하나님께 예배를 드린다고 하는 기독인들은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이 증거 하시는 그 말씀에 귀와 마음을 주어야 할 것입니다.
출애굽기 20장 1-7절
1 하나님이 이 모든 말씀으로 일러 가라사대
2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의 하나님 주 יהוה로라
3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4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5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나 주 יהוה 너의 하나님은 질투하는 하나님인즉 나를 미워하는 자의 죄를 갚되 아비로부터 아들에게로 삼사 대까지 이르게 하거니와
6 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대까지 은혜를 베푸느니라
7 너는 너의 하나님 주 יהוה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나 주 יהוה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
민수기 33장 52절
52 그 땅 거민을 너희 앞에서 다 몰아내고 그 새긴 석상과 부어 만든 우상을 다 파멸하며 산당을 다 훼파하고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분명하고 명확하게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출애굽기 20장 1-7절의 말씀과 민수기 33장 52절의 말씀은 이시대의 기독인들에게 지금도 무엇이 우상숭배의 행위인지를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사는 성도는 말씀에 순종하여 사는 모습으로 그가 온 우주 만물의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 예슈아님의 자녀임을 증거하며 나타내는 것입니다.
십자가 형상(로마 카톨릭 ☥, ✝, ╋, ⊕, ‡, 기독교 ✝, 힌두교 卐, 불 교 卍)은 세상 종교들이 하나 같이 동일하게 자신들의 믿음의 상징이며 표시로 삼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집트인들은 그들이 믿는 태양신으로부터 주어지는 생명을 앵크 십자가(☥)로 나타내었습니다.
로마 카톨릭은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 태양신숭배의 상징인 오벨리스크를 세워두고 있습니다.
바티칸 교황청의 건물은 이집트의 태양신 숭배 사상의 집합체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십자가 (로마 카톨릭 ☥, ✝, ╋, ⊕, ‡, 기독교 ✝, 힌두교 卐, 불 교 卍) 형상을 세운 그 행위는 다른 신을 섬기도 있다는 표시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 시대에 십자가 형상을 믿음의 상징과 표시로 삼지 않은 곳이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셔야 할 것입니다.
십자가 형상을 세우지 않은 세상종교도 있지만 진실로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만을 믿고 순종하는 성도들은 십자가 형상을 믿음의 상징이나 표시로 삼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과 이집트 콥트교는 교리적인 차이는 있을지라도 같은 십자가 형상을 세우고 있고, 같은 그림(이콘)들을 공유하고 있고, 같은 묵주를 사용하고 있고, 금욕주의 삶을 추구하는 수도원 생활을 하며 독신주의를 추구하고 있는 신부나 수녀와 같은 사람의 행위에 근거한 바빌론으로부터 유래된 루시퍼(루치펠)=사탄=태양신=뱀을 숭배하는 세상종교일 뿐인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지저스 크리스트 Jesus Christ란 이름과 십자가 형상을 믿음의 상징과 표시로 삼은 로마 카톨릭과 이집트 콥트교와 기타 거짓 기독교와 힌두교와 불교에서 믿는 하느님은 루시퍼(루치펠)=사탄=태양신=뱀인 것입니다.
크리스마스를 기념하고 푸른 나무 아래서 우상숭배를 하던 행위를 하던 것을 트리를 세우고 행하고 있는 것으로도 자신이 다른 신을 섬기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부활절(Easter)과 계란을 나누고 있는 그 행위 자체만으로도 우상숭배의 행위를 하고 있는 것임을 또한 알아야 할 것입니다.
우상숭배의 행위를 서슴없이 행하고 있으면서도 기독인이라고 말하는 것은 모순입니다.
진정으로 거듭난 성도들이라면 기록된 성경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우상숭배의 행위들을 제거하고 버리는 회개를 행하셔야 하시지 않겠습니까?
날마다 시마다 용서를 비는 회개기도를 주장하지 마시고 우상숭배의 행위들과 죄악들로부터 돌이키는 회개를 행하셔야 하지 않겠느냐 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자료들은 로마 카톨릭과 이집트 콥트교가 그 뿌리가 하나임을 밝히고 있으며, 이들이 믿는 하느님은 루시퍼(루치펠)=사탄=태양신=뱀인 것입니다.
~~~~~~~~~~~~~~~~~~~~~~~~~~~~~~~~~~~~~~~~~
자료출처
콥트교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교황제의 기독교종파를 말한다.
로마 카톨릭교회에서 떨어져 나왔으며, 인성은 신성에 융합, 섭취되어 있다는 그리스도의 단성설을 믿는다.
곱트 교회의 전승에 따르면 복음사가 마르코가 254년에 교회를 세웠다고 한다.
칼케돈공의회에서 예수의 신성만 인정하는 단성설 신학으로 인해 로마교회와 분리되었다.
곱트 교회는 신학적으로는 수도원운동 등 초대교회의 신앙과 전통을 보존한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들의 콥트어 성서는 성서학적으로 가치가 큰 고전 문헌이다.
이집트의 정통 그리스도교회, 정식 명칭은[콥트 오서독스(정통)교회]이다.
[곱트(copt)]는 [이집트인]을 뜻하는 그리스어 [아이깁토스(Aigyptos)]의 아라비아어 발음에서 유래한다.
곱트라는 말은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하며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고대 이집트의 도읍인 멤피스는 [히크프타(프타신의 성관)]라고도 하였다.
BC 7세기부터 이집트에 이주한 그리스인은 이를 [아이깁토스(Aigyptos)]라고 하여 그리스 화하였고, 이 이름으로 전체 이집트를 지칭하게 되었는데 오늘날의 이집트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이어서 이 명사의 형용사로서 [아이깁티오스]가 생겨나, 이것이 [이집트인]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640년 이집트를 정복한 아라비아인은 이것을 아랍 화하여 [킵트(Qibt)]라고 하였다.
점차 이집트인의 이슬람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슬람 화하지 않은 이집트인, 즉 토착 그리스도교를 계속 믿는 이집트인만을 킵트라고 하게 되었다.
이 호칭이 유럽으로 건너가 콥트라는 말로 변하였고, 이것이 세계에 유포되었다.
콥트교도는 민족적으로 고대 이집트인의 직계이며 언어도 역시 고대 이집트어의 직계이다.
고대 이집트어는 자음만을 문자로 표기하고 있었으므로 콥트교도는 모든 음을 문자로 표기한다는 생각에서 독자적인 알파벳을 만들고 몇 가지 문자는 그리스문자에서 차용하였다.
이리하여 3세기에 콥트어 및 콥트 문자가 성립하였으며 {구약성서}와 복음서가 콥트어로 번역되었다.
~~~~~~~~~~~~~~~~~~~~~~~~~~~~~~~~~~~~~~~~~
칼케돈 공의회
자료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EC%B9%BC%EC%BC%80%EB%8F%88_%EA%B3%B5%EC%9D%98%ED%9A%8C
칼케돈 공의회(Council of Chalcedon)는 451년 10월 8일부터 11월 1일까지 소아시아의 비티니아의 도시 칼케돈(현재의 터키)에서 열렸던 초대교회의 공의회 중 하나이다. 당시 공의회에서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은 분리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칼케돈 신조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한 인간이요, 완전한 하느님이라고 고백하였다. 또한 칼케돈 신조에 '하느님의 어머니'(테오토코스, Theotoskos)[1]라는 단어를 넣음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하는 교리인 신모설을 올바른 교리로 재확인하였다. 칼케돈 공의회의 정통교리 확립으로 콥트 교회 등 단성설을 따르는 교회나 그리스도의 인성을 강조하는 네스토리우스파 교회는 이단으로 단죄되어, 기존 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이중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은 구분된다고 주장한 네스토리우스파는 더욱 압박을 받게 되어 중동과 중국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이집트에는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콥트교가 있다.
~~~~~~~~~~~~~~~~~~~~~~~~~~~~~~~~~~~~~~~~~
단성설
자료출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EB%8B%A8%EC%84%B1%EC%84%A4
단성설(영어: Monophysitism)또는 단성론이란 예수 그리스도에는 신성만이 존재한다는 그리스도론(기독론)이다. 이들은 그리스도의 인성은 포도주가 바다에 섞이는 것처럼 신성에 섞였다고 주장했다. 어원은 그리스어로 "하나"를 의미하는 "mono"와 "본성"을 의미하는 "Physis"라는 말이다.
단성설은 칼케돈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 두 본성을 모두 가지되 분리되지는 않는다는 양성설이 올바른 교리로 고백됨에 따라 부정되었다. 현재 단성설을 따르는 기독교 교회는 콥트 교회 등이 있다.
~~~~~~~~~~~~~~~~~~~~~~~~~~~~~~~~~~~~~~~~~
▶은수자 ( 출처 : 가톨릭대사전)
한자 [隱修者]
[관련 단어] 수도생활
외딴 곳에 혼자 사는 수도자. 4세기 초부터 특히 동방의 그리스도 교도들에게는 이런 생활이 그리스도교적 금욕주의를 실천하는 방편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동방에서는 흔히 은수생활이 공주 생활보다 높이 평가되었으며 한때 은수사들 간에 극단적이고 때로는 과도한 내핍생활이 행해졌으나 후대에 교회적 권위가 은수 생활을 지배하게 되었고 은수사들로 하여금 수도원 근처에 살면서 상부의 지시를 받게 하였다. 서방은 동방보다 은수적 수도생활을 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나 11세기 및 13-14세기의 영성적 부흥시대에 재등장하였다. 11세기에 설립된 카르투지안 수도회와 카말돌리(Camaldoli) 수도회는 현재까지 반 은수적 수도생활의 형태를 잘 유지해 오고 있으며 은수사들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 수도생활
▶은수자 ( 출처 : 전례사전)
한자 [隱修資] 영어 [Hermit]
개정된 전례에서 종교적인 동기로 인해 광야에서 고독한 삶을 사는 성인을 가리키기 위하여 사용한 칭호이다. 은수자들은 아빠스에게 순명하면서 공동체와 떨어져 홀로 지내는 수도자들일 경우가 많았다. 은자 생활은 3세기경부터 시작되어 로마 제국이 분리될 당시에 그 절정에 달했다. 그 후 은자 생활은 사그라지기 시작하여 프로테스탄트 개혁 이후 서방 세계에서 완전히 사라졌지만 동방 세계에서는 오늘까지도 그대로 남아 있다.
현재도 존재하는 은수자들은 여전히 하느님께 봉헌된 생활을 하며 특히 세상에서 더욱 엄격히 분리된 삶을 산다. 그들은 고독한 생활을 하며 침묵을 지키고 철저한 기도와 참회에 몰두한다. 그들은 서원을 통해서 또는 교구 주교와 일치한 가운데 세 가지 복음적 권고를 고백하며 이 원칙에 따라 삶의 계획을 실행한다. 수도 생활(修道 生活 Religious Life) 참조.
▶은수자 ( 출처 : 천주교 용어사전)
한자 [隱修者]
은수자는 아무도 없는 외딴곳에서 은수 생활(修道生活)을 하는 자를 말한다. 은수 생활은 금욕주의를 실천하는 방편으로, 수도 생활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은수자는 주로 동방 교회에 많았으나, 12세기경 서방에도 많은 수도원이 있었다. 이는 영성 생활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은수자 ( 출처 : 천주교 용어자료집)
한자 [隱修者] 라틴어 [eremita, anachoreta] 영어 [hermit, anchorite]
|
첫댓글 IS에 의하여 처형된 이집트 콥트교신자들에 대한 방송 이후에 콥트교 검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집트 콥트교가 어떠한 종교인지 궁금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집트 곱트교인들이 10여분동안 예슈아를 연호하는 장면은 참으로 흥미로웠습니다.
이 동영상을 촬영하고 자막을 넣은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이집트 곱트교인들이 외치던 예슈아? 예슈아?............
히브리어로 예슈아이고,
헬라어로 이에수스 Iesous이고,
라틴어로 예수스 Iesus이고,
영어로 지저스 Jesus이고,
한문으로 야소 耶穌이고,
한글로 예수 Yesu로 불리는 이름의 근원자는 눈의 아들 호세아 곧 여호수아인 것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안나 예슈아를 연호하는 콥트교인들과 자막에 등장하는 각 나라의 지저스 Jesus의 이름들은 삼위일체 교리와 십자가 형상으로 하나가 되고자 하는 WCC 세계교회협의회의 종교통합 종교연합 사상에 일치가 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의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집트 콥트교에 대하여 형제라고 표현한 것은 각 종파들이 가지고 있는 교리를 접어두고 일치하자는 것입니다.
예슈아 Yeshua이름과 지저스 Jesus의 이름을 동일하게 여기고 WCC 세계교회협의회 곧 로마 카톨릭의 종교통합 종교연합에 동참하는 것은 우상숭배를 행하겠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고로 세상의 어떤 기독인들도 WCC와 하나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안나 종교통합 종교연합은 현실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WCC 세계교회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 모든 종교들은 기독교라는 이름의 교파들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로마 카톨릭도,
힌두교도,
불교도,
이슬람도,
유대교도,
정교회도,
성공회도,
개신교도,
정령숭배자들도,
이집트 콥트교인들도 이 우상숭배의 종교연합 종교통합에 모두가 하나가 될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지저스 크리스트 Jesus Christ의 이름과 예슈아 Yeshua의 이름을 동일시 하고 십자가 형상과 유일신 신앙이 아닌 삼위일체 교리를 믿으며, 크리스마스와 트리를 세우며, 부활절 Easter을 기념하며 계란을 나누는 행위들로서 자신들의 믿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알파벳 'J'가 16세기에 만들어지고 17세기에 들어서서 1655kjv 성경에 사용되기 전까지는 지저스 Jesus란 이름은 세상에 존재한 적이 없었던 이름이기에 지저스 Jesus란 이름은 주님의 거룩하신 성호가 될 수가 없는 것입니다.
히브리서 13장 8절
8 예슈아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
예슈아님의 거룩하신 성호는 출애굽기 14장 13절의 "아도나이 예슈아트 에트 우러우<-- 주의 구원을 보라" 말씀과 같이 영원토록 동일하신 거룩하신 성호인 것입니다.
사람에 의하여 주님의 거룩하신 성호가 수정되고 변개되어 불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