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철사용법과 수맥탐사봉 사용법-(1)
공무원연금공단 풍수지리동호
Ⅰ. 패철(佩鐵)의 사용법(使用法)
1. 나경패철(羅經佩鐵)의 개요(槪要)
나경(羅經)은 우주(宇宙)의 삼라만성(森羅萬象)을 포함한 천지(天地)와 인륜(人倫)의 이 치(理致)가 담겨져 있다는 뜻의 “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倫天地)”에서 “나(羅)” 자와 “경(經)”자를 따와서 붙여진 이름으로 허리에 차고 다닌다. 하여 “패철(佩鐵)”이라 고도 하고, 나침반(羅針盤)을 뜻하여 “쇠”라고도 한다.
풍수지리(風水地理)에서 유일하게 필요한 도구로 용(龍), 혈(穴), 사(砂), 수(水), 향(向) 의 정확한 위치(位置)를 측정(測定)하여 길(吉)한 방위(方位)와 흉(凶)한 방위(方位)의 판 별(判別)을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羅經)의 역사(歷史)는 매우 오래되어, 주(周)나라 성왕 때부터 주역(周易)의 후천팔 괘(後天八卦)를 응용하여 방위(方位)를 측정(測定)하는 것부터 사용하다가, 오랜 역사(歷 史)를 통하여 많은 성인(聖人)들이 조금씩 발전(發展)시켜 오늘에 이르렀다.
나경(羅經)의 원리(原理)는 우주(宇宙)의 운행이치(運行理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複雜)하며 36층(層)으로 이루어 졌으나, 풍수지리(風水地理)에서는 보통 9층(層)까 지만, 사용한다.
2. 나경패철(羅經佩鐵)의 구조(構造)
나경(羅經)의 원리(原理)는 태극(太極)에 있다.
태극(太極)은 음(陰)과 양(陽)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羅經佩鐵)의 한가운데 원(園) 으로 된 부분이 태극(太極)이며, 남북(南北)을 가르치는 자침(磁針)이 음양(陰陽)이다.
원(園)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밖으로 나가며, 글자가 배열(配列)되어 있는 층(層)을 순 서(順序)대로 1층,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으로 한다.
1) 제1층(層)은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을 표시(表示)해두었다.
모두 8개 방위(方位)의 황천살(黃泉殺)을 나타낸다.
2) 제2층(層)은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로 황천방위(黃泉方位)를 나타내는 층 (層)이다.
3) 제3층(層)은 오행(五行)으로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사국(四局)의 삼합오행(三 合五行)을 표시해 두었다.
4) 제4층(層)은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기준선(基準線)이며, 24방위(方位)가 표시(表示) 되어 있으며, 글자가 제일 크다.
5) 제5층(層)은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으로 60갑자(甲子)와 12개의 공란(空欄)으로 되 어 있다.
6) 제6층(層)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방위(方位)가 표시(表示)되어 있다.
7) 제7층(層)은 투지60룡(透地六十龍)으로 60갑자(甲子)가 표시(表示)되어 있다.
8) 제8층(層)은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24방위(方位)가 표시(表示)되어 있다.
9) 제9층(層)은 분금(分金)으로 120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48개의 갑자(甲子)가 표시 (表示)되어 있다.
3. 나경패철(羅經佩鐵)로 방위(方位)를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
묘지(墓地)나 택지(宅地) 또는 건물(建物)의 측정(測定)하고자 하는 곳에 나경패철(羅經 佩鐵)을 수평(水平)으로 놓고, 원(圓)가운데 있는 자침(磁針)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 (一致)하도록 한다.
보통 나경패철(羅經佩鐵)의 자침(磁針)은 북(北)쪽을 가리키는 곳에 구멍을 뚫어 놓았거 나, 빨강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子午線)에 선(線)을 그려 놓아, 자침(磁針)을 일치(一致)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磁針)의 구멍 뚫린 부분(部分)이 4층(層), 자(子, 정북)의 중앙(中央)에, 반대쪽은 4 층(層) 오(午, 정남)의 중앙(中央)에 일치(一致)하도록 하는 것을, 나경패철(羅經佩鐵)의 정반정침(正盤正針)이라고 한다.
묘지(墓地)에서의 측정(測定)은 기존(旣存)의 묘(墓)가 있는 곳은 묘(墓)앞 상석(上石) 중 앙(中央)에 나경패철(羅經佩鐵)을 정반정침(正盤正針)하고, 새로운 자리는 묘지(墓地)의 혈심처중앙(穴深處中央)에 정반정침(正盤正針)하고, 4층(層) 지반정침(地盤定針)으로 묘 (墓)의 좌향(坐向)을 측정(測定)한다.
6층(層),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는 주변의 산(山)〔사격(砂格)〕의 방위(方位)를 측정 (測定)하고, 8층(層),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는 득수처(得水處)와 수구(水口), 저수지나 호수 등 물이 있는 방위(方位)를 측정(測定)한다.
용맥(龍脈)의 측정(測定)은 묘(墓)뒤 입수도두처(入首掉頭處) 중앙(中央)에 나경패철(羅 經佩鐵)을 정반정침(正盤正針)하고, 4층(層) 지반정침(地盤定針)으로 용(龍)이 내려온 쪽 을 보고, 용(龍)이 변화한 지점(地點)의 방위(方位)를 측정(測定)한다.
이것이 입수절룡(入首節龍)이며, 보통 입수룡(入首龍)이라고 한다.
입수2절룡(入首二節龍)은 용(龍)의 변화지점(變化地點)에 다시 나경패철(羅經佩鐵)을 정 반정침(正盤正針)하고, 다음 변화지점(變化地點)까지의 방위(方位)를 4층 지반정침(地盤 定針)으로 측정한다.
입수3절룡(入首三節龍), 입수4절룡(入首四節龍) 등도 같은 방법(方法)으로 측정(測定)하 면 된다.
단, 현무봉(玄武峰)에서 소조산(小祖山)〔주산(主山)〕또는 중조산(中祖山), 태조산(太祖 山)까지는 입수룡(入首龍)처럼 용맥(龍脈)의 한 절(節), 한 절(節), 변화한 지점(地點)을 측정(測定)하는 것이 아니라, 산봉우리 정상(頂上)에서 다음 봉우리 정상(頂上)까지 방 위(方位)를 측정(測定)하여 어떤 방위(方位)로 용맥(龍脈)이 내려 왔는지를 판단(判斷)한 다.
이법론(理法論)에서 제일 많이 응용되는 부분은 입수절룡(入首節龍)이다.
입수절룡(入首節龍)의 정확(正確)한 측정(測定)이 제일 중요하다.
양택(陽宅)의 측정(測定)은 대지중심점(大地中心點) 혹은 건물중심점(建物中心點)에 나경 패철(羅經佩鐵)을 정반정침(正盤正針)하고, 대지(大地)와 건물(建物)의 형평(衡平)을 참 작(參酌)하여 기점(起點)〔기두(起頭)〕을 설정(設定)한다.
기점(起點)은 단독주택(單獨住宅)의 경우, 건물(建物)의 무게 중심처(中心處)이고, 아파 트나 사무실(事務室) 등은 현관문(玄關門)이 된다.
나경패철(羅經佩鐵)을 정반정침(正盤正針)한 곳에서 기점(起點)〔기두(起頭)〕의 방위(方 位)를 4층 지반정침(地盤定針)으로 측정(測定)하고, 기타 문(門), 방(房), 거실(居室), 부 엌, 수도(水道), 하수구(下水溝), 화장실(化粧室) 등의 방위(方位)를 측정(測定)한 다음, 가상법칙(家相法則)에 의해서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한다.
가상법칙(家相法則)은 “풍수지리이법론(風水地理理法論) 가택구성법(家宅構成法)”을 참 고(參考)하기 바란다.
양택(陽宅)에서 방위측정(方位測定)은 4층 지반정침(地盤定針)만을 사용하고, 24방위(方 位)를 3방위(方位)씩 나눈 팔괘방위(八卦方位)가 기본단위(基本單位)가 된다.
즉, 감(坎)은 임자계(壬子癸) 3방위(方位)가 되고, 간(艮)은 축간인(丑艮寅), 진(震)은 갑 묘을(甲卯乙), 손(巽)은 진손사(辰巽巳), 이(離)는 병오정(丙午丁), 곤(坤)은 미곤신(未坤 申), 태(兌)는 경유신(庚酉辛), 건(乾)은 술건해(戌乾亥)가 된다.
○ 패철(佩鐵)의 각층해설(各層解說)
1. 제1층(層) : 팔요황천(八曜黃泉)
황천수측정(黃泉水測定) : 혈(穴)의 하부(下部), 파구(波口)
팔괘방(八卦方)의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성질(性質)에 따라서, 살(殺)을 받는 방위(方位) 를 표시(表示)하여 놓았다.
이 법(法)은 정오행(正五行)의 지지방(地支方)에서 팔괘방(八卦方)으로 흘러오는 물을 보 는 것인데, 살(殺)중에서도 제일 꺼리는 것이다.
감괘(坎卦)에는 진(辰), 술(戌)의 두 곳의 득수(得水)가 살(殺)이 되므로 팔괘(八卦)의 구 살(九殺)이 된다
입수룡(入首龍)도 이 황천살(黃泉殺)을 범(犯)했으면 사용하지 못한다.
* 풀이
1) 건괘(乾卦) 술건해(戌乾亥)는 양금(陽金)이므로 양화(陽火)인 오방득수(午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2) 진괘(辰卦) 갑묘을(甲卯乙)는 양목(陽木)이므로 양금(陽金)인 신방득수(申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3) 감괘(坎卦) 임자계(壬子癸)는 양수(陽水)이므로 양토(陽土)인 진술방득수(辰戌方得水) 는 황천살(黃泉殺)이다.
4) 간괘(艮卦) 축간인 (丑艮寅)는 양토(陽土)이므로 양목(陽木)인 인방득수(寅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5) 곤괘(坤卦) 미곤신(未坤申)는 음토(陰土)이므로 음목(陰木)인 묘방득수(卯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6) 손괘(巽卦) 진손사(辰巽巳)는 음목(陰木)이므로 음금(陰金)인 유방득수(酉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7) 리괘(離卦) 병오정(丙午丁)는 음화(陰火)이므로 음수(陰水)인 해방득수(亥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8) 태괘(兌卦) 경유신(庚酉辛)는 음금(陰金)이므로 음화(陰火)인 사방득수(巳方得水)는 황천살(黃泉殺)이다.
이 법(法)은 팔괘(八卦)를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성별(性別)과 성질(性質)로 나누고, 지 지(地支)의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정오행(正五行)으로 풀어서, 팔괘(八卦)가 꺼리는 방위(方位)를 분류(分類)한 것이다.
이곳을 범(犯)하면, 황천살(黃泉殺)이라 하여 제일 꺼리는 곳이니, 잘 살펴서 점혈(點穴) 해야 한다.
* 입수룡(入首龍)도, 이 살(殺)을 범(犯)하면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2. 제2층(層) 팔로황천(八路黃泉)
팔요풍측정(八曜風測定) : 혈(穴)의 상부(上部) 파구(波口), 향(向)의 황천수(黃泉水)
2층(層)은 쌍산(雙山)으로 향(向)의 천간방(天干方)의 살(殺)을 받는 곳을 표시(表示)하 였다.
좌우전후(左右前後)를 관계없이, 앞(前)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득수(得水), 도로(道路)를 보는 법(法)으로 천간방(天干方)만 본다.
혈전(穴前)이 잘 보호되지 않고 요(凹)하거나 장곡(長谷)이 되었거나, 도로(道路)가 직래 (直來)하여 천간방(天干方으로 들어오면, 황천살(黃泉殺)이다.
※ 풀이
1) 을진향(乙辰向)과 병오향(丙午向)을 세울 때는 남동방(南東方)인 손방(巽方)을 살펴본 다.
사방(巳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2) 손사향(巽巳向)을 세울 때는 을방(乙方)과 병방(丙方)을 살펴본다.
진방(辰方)과 오방(午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3) 정미향(丁未向)과 경유향(庚酉向)을 세울 때는 남서방(南西方)인 곤방(坤方)을 살펴본 다.
신방(申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4) 곤신향(坤申向)을 세울 때는 정방(丁方)과 경방(庚方)을 살펴본다.
미방(未方)과 유방(酉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5) 신술향(辛戌向)과 임자향(壬子向)을 세울 때는 북서방(北西方)인 건방(乾方)을 살펴본 다.
해방(亥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6) 건해향(乾亥向)을 세울 때는 신방(辛方)과 임방(壬方)을 살펴본다.
술방(戌方)과 자방(子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
7) 계축향(癸丑向)과 갑묘향(甲卯向)을 세울 때는 북동방(北東方)인 간방(艮方)을 살펴본 다.
인방(寅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8) 간인향(艮寅向)을 세울 때는 계방(癸方)과 갑방(甲方)을 살펴본다.
축방(丑方)과 묘방(卯方)은 지지방(地支方)이라 상관 않는다.
2층(層)의 설명(說明)을 알아본다면, 혈전(穴前)이 잘 보호되지 않는 곳을 말함이니, 기 (氣)가 형성(形成)되지 않는다.
입수룡(入首龍)도 이 살(殺)을 범(犯)하면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즉 건해입수룡(乾亥入首龍)에 을병방(乙丙方)이 요(凹)하거나, 득수(得水)나 도로(道路) 가 직래(直來)한다면, 건해입수룡(乾亥入首龍)은 팔로황천(八路黃泉)을 범(犯)하였으므로 어떤 좌향(坐向)도 놓을 수가 없어 사용(使用)하지 못하는 터다.
3. 제3층(層) 삼합오행(三合五行), 쌍산오행(雙山五行)
삼합오행(三合五行) : 좌(坐), 수(水), 사(砂)
3층(層)은 천간(天干) 3 개좌(個坐)를 이어도 정삼각형(正三角形)이 되고, 지지(地支) 3 개좌(個坐)를 이어도 정삼각형(正三角形)을 이룬다.
이를 천간삼합(天干三合), 지지삼합(地支三合)이라 하며, 자(子), 오(午), 묘(卯), 유(酉) 가 삼합오행(三合五行)의 성질(性質)을 기준(基準)한다.
쌍산삼합오행(雙山三合五行), 임자(壬子)는 동궁(同宮)이므로, 천간(天干), 지지(地支)가 같이 수(水)가 되지만, 패철(佩鐵)에 수(水)의 표시(表示)는 지지(地支)인 자(子)에만 표 기(表記)되어 있다.
패철(佩鐵)의 3층(層)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오행(五行) 중 중앙토 (中央土)를 제외한 목(木), 화(火), 금(金), 수(水)의 오행(五行)만을 반복(反復)하여 12지 지(十二地支)에 표시(表示)하여 놓은 방위오행(方位五行)이다.
금국(金局)은 계축(癸丑), 손사(巽巳), 경유(庚酉)가 삼합(三合)이 되어, 사유축(巳酉丑) 금국(金局)을 이루었고, 수국(水局)은 곤갑(坤甲), 임자(壬子), 을진(乙辰)의 삼합(三合)이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을 이루었고, 목국(木局)은 건해(乾亥), 갑묘(甲卯), 정미(丁未) 의 삼합(三合)이 해유미(亥酉未) 목국(木局)을 이루었고, 화국(火局)은 간인(艮寅), 병오 (丙午), 신술(申戌)의 삼합(三合)이 인오술(寅午戌) 화국(火局)을 이룬다.
토국(土局)은 중앙(中央)을 뜻함으로 방위(方位)에서는 제외(除外)된 것이다.
이와 같이 삼합(三合)을 이룬다는 것은, 좌(座)와 수(水)와 사(砂)가 삼합(三合)을 이룰 때는 대길(大吉)이다.
이합(二合)만 되어도 길(吉)하며, 또 좌(坐)와 수(水)와 파구(波口)가 삼합(三合)을 이루 거나, 묘비(墓碑)의 방위(方位)가 삼합(三合)을 이루도록 정(定)함도, 길(吉)하다.
4. 4층(四層) :
24방위(二十四方位), 팔방위(八方位), 양택(陽宅) : 12방위(十二方位) : 수구사대국오행 (水口四大局五行)
지반정침(地盤正針) 4선(四線)은 십이지지(十二地支)와 천간(天干) 중 무기(戊己)를 제 외(除外)한 팔간(八干)과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의 사유(四維)를 합한 24방위(方 位)인데, 이는 좌(坐)와 향(向)을 12양방(十二陽方)과 12음방(十二陰方)으로 배합(配 合)과 불배합무기룡(不配合戊己龍)으로서, 길흉(吉凶)의 분별(分別)과 상생(相生), 상극 (相剋)으로 24방위(方位), 산형(山形)의 길흉(吉凶)을 분류측정(分類測定)하는 것이다.
패철(佩鐵) 360도(度), 원(圓)을 24방위(方位)로 구분(區分)하면, 1방위(方位)가 15도 (度)를 이루며,
자(子) : 북(北), 오(午) : 남(南)은 남북(南北)으로
묘(卯) : 동(東), 유(酉) : 서(西)는 동서(東西)로
간(艮) : 동북간방(東北間方), 곤(坤) : 남서간방(南西間方),
건(乾) : 서북간방(西北間方), 손(巽) : 동남간방(東南間方)을 각각 대칭(對稱)된다.
따라서 혈(穴)의 좌향(坐向)은 자좌(子坐), 오향(五向) 또는 묘좌(卯坐), 유향(酉向), 건좌 (乾坐), 손향(巽向), 간좌(艮坐), 곤향(坤向)으로 대칭(對稱)된다.
패철(佩鐵)의 핵심(核心)인 4층(層)의 24방위(方位)는 1층(層)에서 설명(說明)한 바와 같 이 주역(周易)의 후천팔괘(後天八卦)를 응용한 것이 되니, 1괘(卦)는 3방위(方位)를 관장 (管掌)한 것이다.
이것은 12양방(陽方)인 천기(天氣)와 12음방(陰方)인 지기(地氣)의 천지음양(天地陰陽) 의 변화(變化)와 상응(相應)의 조화(造化)에서 배합(配合)과 불배합무기룡(不配合無記龍) 을 이루어 오행(五行)에 상생상극(相生相剋)과 우주만물(宇宙萬物)에 천태만상(千態萬象) 의 길(吉)하고, 흉(凶)함을 분류(分類)하게 된다.
1) 4손절방위(孫節方位)(4태맥 : 인신사해) : 인(寅), 신(申), 사(巳), 해(亥) 손절(孫節) 은 간인(艮寅), 곤신(坤申), 손사(巽巳), 건해(乾亥)의 4절(節)은 손절(孫節)이며, 손절 (孫節)이 거듭될수록, 자손(子孫)이 번창(繁昌)하고 장수건강(長壽健康)한다.
2) 4부절방위(富節方位)(4고장 : 진술축미) : 진(辰), 술(戌), 축(丑), 미(未) 부절(富節) 은 을진(乙辰), 신술(申戌), 계축(癸丑), 정미(丁未)의 4절(節)은 부절(富節)이며, 부절 (富節)이 거듭될수록, 자손(子孫)에게 부(富)가 풍요(豊饒)하여진다.
3) 4귀절방위(貴節方位)(4태조 : 자오묘유) : 자(子), 오(午), 묘(卯), 유(酉) 귀절(貴節) 은 임자(壬子), 병오(丙午), 갑묘(甲卯), 경유(庚酉)의 4귀절(貴節)은 거듭될수록, 자손 (子孫)의 관직(官職)은 높아진다.
이상 손절(孫節), 부절(富節), 귀절(貴節)의 발현(發現)의 강약도(强弱度)는 내룡(來龍), 현무(玄武), 입수(入首), 혈장(穴場), 청룡(靑龍), 백호(白虎) 등 사신사(四神砂)의 보국 (保局)의 역량(力量)과 내룡(來龍)의 절수합치(節數合致)에 따라 발현(發現)의 강약(强 弱)이 달리 나타난다.
향상오행(向上五行) : 인(寅), 신(申), 사(巳), 해(亥)는 십이운성(十二隕星)의 생향(生 向), 자(子), 오(午), 묘(卯), 유(酉)는 십이운성(十二隕星)의 왕향(旺向)
5. 제5선(線) 맥기분금(脈氣分金) : 즉 에너지 흐름선(線)을 측정(測定).
재혈(裁穴), 분금법측정(分金法測定)
제5선(線)은 에너지의 흐름과 향(向)을 측정(測定)하고, 수구(水口)의 향(向)을 판단(判 斷)하여 분금선(分金線)을 측정(測定)하는데, 더욱 정확(正確)한 분금선(分金線)은 제9 선(線)이니 반드시 제9선(線)과 맞추라.
특히 제5선(線)은 1개(個)가 각각 5도(度)씩 24방위(方位)의 360도(度) 선상(線上)에 72개(個)로서 3개(個)씩 입궁(入宮)하였으니, 1궁(一宮)이 15도(度)에 해당한다.
이것은 내반(內盤)과 외반(外盤)을 함께 살필 수가 있으며, 정좌정향(正坐正向)을 측정 (測定)하는 것이다.
6. 제6선(線) 사고황천(四庫黃泉)
제6선(線)은 360도 선상(線上)에 각각 1궁당(宮當) 15도(度)로서 24좌(坐)에 해당하는 곳으로 물이 스며들거나, 인근(隣近)의 위치(位置)에서 물이 들 것을 염려하여, 기록(記 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 4선(線) 24방위(方位)의 임, 해좌(壬亥坐)에 임해자입수(壬亥子入首)라면, 임해자방위(壬亥子方位)에서 보이는 물이나, 나가는 물은 광중(壙中)으로 침입(侵入)할 수 있으니, 주의(注意)하라는 뜻이다.
7. 제7선(線) 팔대황천측정(八大黃泉測定).
360도(度) 선상(線上)에 60개(個)의 궁(宮)이 배열되었으니, 각 궁(宮)마다 6도씩으로서 24좌향(坐向)에 해당하는 구빈황천(救貧黃泉)과 살인황천(殺人黃泉)을 본다.
즉 24방위(方位) 중 병좌향(丙坐向)이라면, 제7선(線)의 3칸에 해당하는 경오(庚午), 임 오(壬午), 갑오(甲午)나 반대편의 임향(壬向)에 해당하는 제 7선(線)의 갑자(甲子), 병자 (丙子), 무자방위(戊子方位)로 물이 나가거나,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8. 제8선(線) 외천반봉침(外天盤逢針)
360도(度) 패철선상(佩鐵線上)에 24방위(方位)가 배열(配列)되고, 각 궁(宮)마다 15도 (度) 씩이며, 천간(天干)으로서 향(向)을 보나니 외천반봉침향(外天盤逢針向)을 본다.
9. 제9선(線) 외반봉침(外盤逢針)으로서 24좌향(坐向)의 분금(分金)을 측정(測定)한다.
360도 선상(度線上)에 120개(個)의 궁(宮)이 배열(配列)하여, 각 궁(宮)마다 3도(度)씩이 다.
이 제9선(線)에서 물과 안산(案山) 즉, 수구(水口)와 파구(破口)를 살피고, 용(龍)의 흐름 을 측정(測定)하며 안산(案山)과 조산(朝山) 및 각종(各種) 연분사(緣分砂)의 향(向)을 살 핀다.
※ 제4선(線)의 공식(公式)과 사용법(使用法)
패철(佩鐵)의 중심선(中心線)에서부터 헤아려, 제4선(線)을 보면, 다음과 같이 24글자가 있는데 이것이 24방위(方位)를 표시한 것이다.
임(壬), 자(子), 계(癸), 축(丑), 간(艮), 인(寅)
갑(甲), 묘(卯), 을(乙), 진(辰), 손(巽),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미(未), 곤(坤), 신(申)
경(庚), 유(酉), 신(辛), 술(戌), 건(乾), 해(亥)
<위의 24글자의 순서(順序)는 패철상(佩鐵上)의 시계방향순서(時計方向順序)이며, 이러 한 순서(順序)를 왼손의 그림처럼 속기(速記)하여 익혀두는 것이 패철(佩鐵)을 익히고 보는데 효과적(效果的)이므로 앞으로의 기술(記述)도 마찬가지임을 참고(參考)하기 바 람>
24방위 중
천간(天干) 12방위(方位) : 임(壬), 계(癸), 간(艮), 갑(甲), 을(乙), 손(巽), 병(丙), 정 (丁), 곤(坤), 경(庚), 신(辛), 건(乾)
지지(地支) 12방위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 (申), 유(酉), 술(戌), 해(亥)
이 24방위(方位) 중 천간(天干)의 임(壬)과 지지(地支)의 자(子)와 같이 각각 두 개(個) 씩 짝을 지으면, 쌍산오행(雙山五行)이다.
지지(地支) 12글자는 그대로 12방위(方位)에 배속(配屬)되었다.
그러나 천간(天干) 12방위(方位)는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 (庚), 신(辛), 임(壬), 계(癸)의 10자(字) 중 무(戊)와 기(己)를 중앙토(中央土)로서 제외 (除外)하고, 그 대신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의 4자(字)를 넣어서 12자(字)로 만들 어 12방위(方位)에 각각 배속(配屬)했다.
子(正北), 午(正南), 卯(正東), 酉(正西)는 사정방위(四正方位)라 하고, 乾(西北), 坤(西 南), 艮(東北), 巽(東南)으로서 정방위(正方位)의 중간방위(中間方位)가 되므로, 4우방위 (四隅方位)라고 한다.
※ 배합룡(配合龍)의 측정공식(測定公式)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서도 상생상극(相生相剋)이 있어서, 만물(萬物)의 조화(造化)를 돕듯이 음양(陰陽)의 배합(配合)에 있어서도 서로 조화(造化)를 이루어야 생기(生氣)하므 로 내룡(來龍)도 각각 두 글자씩 짝을 지어, 다음과 같이 12방(方)의 선성룡(善性龍)의 배합공식(配合公式)을 만들었다.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 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
이상과 같이 12방위(方位)는 내룡(來龍)의 변화절(變化節), 즉 산 등성이의 중심(中心)이 패철상(佩鐵上)으로 위의 각 두 글자의 중심선상(中心線上)에 있으면, 배합절(配合節)로 서 배합룡(配合龍)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