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바쁜 일상생활에서 짬을 내어 글을 써 내려간다는 것이 도무지 웬만한 용기 아니면 안 되겠군요.
생각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시간이 날 때 연재글을 쓰는 게 아니라 시간을 내서 글을 쓰기로요.
여러분도 하고픈 일이 생각나거든 지금 하세요. (just do it......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같죠?)
사람들은 예전부터 손대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일을 해 낼 순 없을까 고민을 많이 했죠.
그러던 것이 자동화기술이란 이름으로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시퀀스제어는 순차적인 제어란 말로써 이와는 반대인 피드백 제어와는 사뭇 다릅니다. 시퀀스제어는 말 그대로 순서에 의해 차례대로 제어가 되는 것이며, 피드백 제어는 순서에 의하더라도 결과치의 양에 따라서 결과치가 다시 입력으로 돌아와서 입력치가 되는 제어입니다.

시퀀스제어에서는 잘 알아야 되는 것이 바로 전자석의 원리라는 것입니다.
초등 혹은 중등교육과정에서 전기나 전자 기타 공학계열 전공이 아니더라도 전자석의 원리는 접해 보았을 것입니다.
전자석=전기를 흘려주었을 때 코일이 자석의 성질을 띠게 되는 현상, 이 때 자화가 된다라고 하죠.
전자석의 원리를 응용한 자동제어기기는 크게는 릴레이(계전기)라고 볼 수 있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릴레이(전원용), 마그네트스위치(전자접촉기 라고도 함) 등이 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편하겠죠.
( 인터넷에서 엠파스에서 이미지를 검색하여 그림 위에 마우스를 대고 우측버튼을 눌러서 복사하기하여 여기에 붙여넣기를 하면, 우리 카페의 앨범형태 사진첩의 자료실게시판에 그림이 자동으로 입력된답니다.)

릴레이

왼쪽이 AC 220V용이고, 오른쪽이 DC 24V용이군요.
잘 보이실런지 모르겠는데요. 보시면 코일이 감아져 있구요. 전기를 통하게 되면 코일이 전자석이 되구요. 이에 따라 바이메탈 ( 판처럼 보이는것)이 휘어서 전기를 통하게 된답니다.
이 때 아래 부분에 소켓(SOCKET)이 있어서 이 릴레이가 전기를 통하게 되면
소켓부분의 A접점 및 B접점이 붙거나 떨어지게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 그림을 보기로 하죠.

이 그림은 용성전기의 제품이랍니다. 홈페이지에서 복사해서 붙여넣기 했습니다.
릴레이는 하니웰 것을 많이 쓰곤 합니다만, 요즘은 뭐 다들 비슷해요.
위엣것은 와이엠텍이란 회사의 그림이랍니다.
|
내부 구조도 |
|
|
 |
|
No. |
부품명 |
재 질 |
1 |
Cover |
Polycarbonate Resin |
2 |
Frame |
Carbon Steel |
3 |
Coil |
Polyurethane Copper Wire |
4 |
Bobbin |
66Nylon+G/F 15% Resin |
5 |
Base |
PBT+G/F30% Resin |
6 |
Return Spring |
Stainless steel |
7 |
Amature |
Pure iron |
8 |
Washer plate |
Plate Copper |
9 |
Shaft |
Pure iron |
10 |
Fiber |
Paper |
11 |
Moving Terminal |
Phosphor bronze |
12 |
Contact |
Ag |
13 |
Fixed Terminal |
Brass | | 용성전기 홈페이지 내용이 좋아서 발췌합니다. 이렇게 옆모습으로 보니 릴레이의 원리에 대해 잘 알 수 있겠군요.. |
|
내부 결선도 |
|
|
 |

여기에서 13과 14단자(접점)은 코일에 흘려주는 전원 접점입니다.
DC를 연결시에는 위에 표시되어 있는 +, -를 맞추어서 배선을 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좀 안 좋습니다. ^^
9번 같은 단자를 공통(common, 콤몽 이라고 불리죠)이라고 하고,
5번은 a접점이구요. 1번은 b접점입니다.
a접점은 평상시에는 열려(off) 있다가 전기가 통하면 전자석이 되어 접점이 닫히게(on) 되는 접점입니다.
b접점은 그 반대입니다.
 |
소켓 치수도 |
|
|
 | |
http://www.yongsungelec.co.kr/bbs/data/ys_data/technical_data_02.pdf
용성전기의 릴레이 자료입니다. 아도베아크로베(무료)가 회원님의 홈페이지에 깔려야 보실 수 있습니다. |
|
| |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