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식음악 악보 1: 시련의식(CD1장포함)저자법현출판운주사 | 2012.11.12.페이지수70 | 사이즈 188*254mm판매가서적 13,500원
책소개
『불교의식음악 악보』제1권《시련의식》. '시련의식'은 불, 보살, 일체신중, 명왕, 영혼을 모셔오는 의식으로 5종의 재의식, 즉 상주권공재, 각배재, 영산재, 수륙재, 생전예수재의 모든 의식에서 진행된다. 총 12장으로 구성하여, 옹호게부터 요잡바라, 헌좌게, 영축게, 무용 바라춤 반주곡 등을 수록하였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법현
저자 : 법현
저자 법현法顯(김응기)는
1974년 봉원사 대운大雲 스님을 은사로 출가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이수자
원광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대한민국 문화재 전문위원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로 불교무용 및 불교음악 강의
사) 세계문화 예술컨텐츠교류연맹 이사장
불교음악·불교무용「한국의 범패 시리즈」앨범 33장 발매
중동, 유럽, 남미, 아프리카, 이스라엘 등 해외 54개국 초청 공연
저서로 『영산재연구』, 『불교무용』, 『한국의 불교음악』, 『불교음악감상』, 『불교의식음악 악보 I·Ⅱ·Ⅲ』 등과, 50여 편의 논문 발표
세계 3대 인명사전 등재(미국인명정보, 영국 캠브리지 국제인명센터, 미국 마르퀴즈 후즈후)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범패 악보 일러두기ㆍ7
영산재 시련의식ㆍ11
1. 옹호게ㆍ16
2. 요잡바라ㆍ18
3. 헌좌게ㆍ20
4. 다게작법(I)-나비춤 반주곡ㆍ26
5. 다게작법(II)-나비춤 반주곡ㆍ35
6. 사방요신 작법 반주곡ㆍ41
7. 행보게 & 산화락 & 나무대성인로왕보살ㆍ43
8. 나무대성인로왕보살ㆍ45
9. 영축게ㆍ48
10. 보례삼보ㆍ50
11. 무용 바라춤 반주곡-천수바라ㆍ51
12. 무용 나비춤 반주곡-도량게 작법(I)ㆍ61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한국의 전통 불교의식음악 전반에 대해 그 기원과 역사적 전개과정을 추적하고,
범패를 포함한 불교의식음악의 종류 및 각각의 구성과 작법절차, 그 특징과 의미들을 자세하게 정리, 해설하고 있다.
1.
모든 종교의 의식과 의례에는 그 종교의 기본적인 사상과 철학이 함축되어 있다. 불교의식도 마찬가지다.
한편, 이 땅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1,700여 년 동안 불교는 우리 민족과 희로애락을 함께 공유하며 민족의 삶과 정서에 깊게 결합되어 왔다. 그 결과 불교의식에는 우리 민족 나아가 한국불교의 고유한 종교적, 문화적, 예술적 특징이 담겨 있다.
즉 한국의 전통 불교의식에는 보편적인 불교사상과 한국적인 특성이 함께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불교의식은 일상적인 의식에서 평염불 형태로 진행되는 일반적인 의식과, 오랜 시간 체계적인 교육 및 습득 과정을 거친 범패승들에 의해 진행되는 전문적인 의식으로 구분된다.
이 책은 불교의식 가운데 전문 의식에 대한 연구서로, 영산재를 비롯한 한국의 전통 불교의식음악 전반의 연원 및 종류, 역사, 범패의 구성과 상세한 작법절차, 그 특징과 의미, 범패승의 계보, 활동 현황 등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다.
2.
Ⅰ장 ‘불교의식음악의 연원’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각종 기록과 의식집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불교의식 전래의 연원과 전승과정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신라 및 일본 등의 각필악보와 경전에 나타난 악, 가, 무의 기록을 통해 불교의식음악의 연원과 의미도 정리하고 있다.
Ⅱ장 ‘불교의식음악의 종류와 범패 구성’에서는 예경의식, 수계의식, 영혼천도의식, 점안의식, 이운의식, 공양의식, 수행의식, 장례 천도의식 등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12가지 의식의 범패와 작법무 진행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또한 재의식 가운데 대표적인 5종, 즉 각배재, 상주권공재, 영산재, 수륙재, 생전예수재의 전통적 형태의 범패와 작법무 진행과정을 정리하였다.
Ⅲ장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구조’에서는 범패 짓소리 72곡의 소리를 담고 있는 5종의 『동음집』을 정리하였다. 또한 안진호 스님의 『석문의범』에 제시된 17종의 소疏, 즉 대령소, 건회소, 개계소, 대회소, 삼보소, 상단소, 시왕소……에 대한 해제를 통해 각각의 소에 담긴 내용을 살피고, 아울러 한국 범패의 종류와 유형, 즉 안채비의 유치성, 착어성, 편게성, 개탁성, 소성, 바깥채비의 홋소리, 짓소리, 회심곡, 축원화청의 선율 등을 악보와 함께 분석하고 있다.
Ⅳ장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악곡 분석과 자료 현황’에서는 각종 재의식에서 공통적으로 진행되어지는 시련의식, 대령의식, 관욕의식 등에 대한 의식 구성, 의미, 악보를 통한 선율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지금까지 발매된 범패 음반에 대한 조사를 통해 범패 곡목의 자료 현황을 밝히고 있다.
V장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특징 및 예능과 창도’에서는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