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세 | 서기 | 탄신 | 적요 |
효종10 | 1660 | 98 | 효종10년(1660)3월18일 ‘忠貞’시호가 내려지자,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 김우석의 특청을 받은 통례원 인의引儀 이의신李懿信이 신암리에서 현몽하고 점지하여 이해 11월 부인의 외가인 광주 월천리 인동장씨 선롱先壟에서 현유치로 천장하고 사패지로 받다 |
현종3 | 1662 | 100 | 현종3년(1662)송시열이 신도비문을 짓고, 김수항이 전을 쓰고, 박세채가묘표음기를, 조지겸이 묘지명을 각각 찬하고, 선생의 증손자 김유가 비문을 써서 공사가 시작된지 2여년 만인 현종5년(1644) 4월 묘역을 완성. |
영조8 | 1732 | 170 | 영조8년(1732) 3월 15일 퇴수당 김연의 묘를 公山雙溪洞에서 이장하여 상하봉 일체형 묘역으로 꾸미다. |
대정6년 | 1917 | 355 | 왜정의 토지사정당시 종손 김경호 단독명의로 된 종산을 白川의 김선호金璿鎬가 나서서 이의를 제기한 끝에 종손과 합의, 조선총독부임야조사위원회의 재결을 받아 김경호 외 37인 복수명의로 등기. |
대정19 | 1930 | 368 | 여러 종손들의 성금으로 신산리에 위토를 매입. |
대정21 | 1932. | 370 | 빈배이 벌목대금으로 신암리에 위토매입. |
대정23 | 1934. | 372 | 제실중수 |
건국2 | 1950 | 388 | 1950연 6.25발발. |
건국3 | 1951 | 389 | 1951.5월 주민소개령에 따라 관리인이 자리를 비운 가운데 영국군을 따라 드러온 징용병력이 제각에 주둔하며 자료와 제기일체가 망실되다. |
건국 6 | 1954. | 392 | 6.25로 망실된 등기를 김응호 등 8인 명의로 회복하고 개별로 절사를 치르다. |
건국10 | 1958. 1. 5 | 396 | 충정공 종친회 발기하고 재무간사 金正鎬, 金明源등 28인의 출연으로 제기 구입하여 6.25동란으로 끊겼던 절사를 회복하다. |
건국12 | 1960. | 398 | 金相燦 등 부처바위 사람들의 성금으로 효자묘역 治山立碑 |
건국17 | 1965.6.13 | 403 | 종중규약 전문28조 첫 제정하고 임원선출. 회장 김기윤 외12인 |
건국19 | 1967.9.25 | 405 | 대호군 파보발간. 김기윤 주관 |
건국21 | 1969.5. | 407 | 6代祖를 이어 온 묘소관리인 朴英春의 사망으로 사위 盧高松이 승계 |
28 | 1976.10.29. | 414 | 350년 된 제실이 毁落되자 종원들의 성금으로 제자리에 제실을 신축하다(회장:김정호,총무 김상헌) |
29 | 1977.10. | 415 | 1차 위토 징발(국방부)ㆍ감골 곧은골 포대, 빈배이 내명당 토지 등. |
30 | 1978.4.9 | 416 | 진입로에 충정공 묘소입구 표석 건립하고, 산1번지에 은사시나무5,000본 공동식수. |
31 | 1979.3. | 417 | 낙엽송 3만본 식수. 수익비율=출자자:종중=8:2 |
32 | 1980.3. | 418 | 군방제에 전기가설하고, 산5번지에 낙엽송, 잣나무 식수 |
| 1980.11.25 | | 군방제 진입로용 부지 254평 매입 |
33 | 1981.3. | 419 | 7대를 이어온 박영춘 일가의 자진 出去로 문중인 金周鎬를 관리인으로 입주 하고, 산1번지 5정보에 잣나무 식수. |
| 1981.8.30 | | 무건리 위토를 특별조치법에 따라 종중명의로 명의변경등기. |
| 1981.12.30 | | 양주시 남면소재위토를 종중명의로 명의변경등기 |
34 | 1982.9. | 420 | 2차 위토징발(무건리 산103,104,103-1,115-5,116-1,116 등 6필지 국방부 앞 30년간 지상권 설정) |
| 1982.10.26 | | 군용지 징발로 내명당 비석거리의 신도비를 묘역 앞으로 이전. |
35 | 1983.9. | 421 | 군방제 현판식거행 |
36 | 1984.4.11 | 422 | 金辰源여사 진입로 토지 일부희사. |
39 | 1987.8.1 | 425 | 금장구역 내 묘 1기 이장 |
40 | 1988.11.6 | 426 | 군방제에서 상주대종회 총회개최. 250명 참석 |
41 | 1989.4.5 | 427 | 절골에 잣나무 9,000본 식수 |
| 1989.4.10 | | 진입로에 ‘충정공 종중회 입구’ 표석건립(기증자 金晟憲) |
43 | 1991.9.17 | 429 | 종중재산등록번호 111148-3137028 |
44 | 1992.1.12 | 430 | 재산관리인으로 문중인 金哲鎬 입주 |
건국44 | 1992. | 430 | 빈배이가 군 관리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이전보상금과 문중종원의 성금으로 관리사를 입구에 신축하고 이전. |
45 | 1993.3.12 | 431 | 청주의 金基斗씨에 의해 지방문화재 신청, 1993.10.30 경기도 기념물 제144 호로 지정받다. |
| 1993.3.20. | 431 | 충정공 묘역을 비롯한 주변일대의 조림지역에 산불피해. 외지 거주인의 담뱃불로 실화. |
| 1993. | 431 | 남면위토일부 도로편입보상금으로 문중 수익임대용 아파트구입. 군포시금정동 872 아파트205동504호 평형 과표금액51,600,000 |
49 | 1997 | 435 | 파주시에서 신도비각준공. |
50 | 1998.8.6 | 436 | 35명의 사망자를 내는 등 600mm 가 내린 파주 대홍수로 빈배이 하천및 도로 60%가 유실되다. |
55 | 2003. | 441 | 1998년대 홍수로 유실된 하천 및 진입로를 5년만에 복구(회장 김상헌) |
56 | 2004.9 25 | 442 | 김ㅇㅇ애민비로 되어있던 성옹의 여주선정비에 제 이름을 찾아주다.(김상흠) |
58 | 2006.단오 | 444 | 6.25로 훼절된 김설의 장녀 애기능(절골)을 복원하고 절사를 회복하다(회장 김상헌). |
60 | 2008. | 446 | 용맥에 쓴 사묘를 이전시키다.(회장 김달원) |
61 | 2009. | 447 | 3차 위토징발. 곧은 골 종중위토 약2만여 평. 국방부 앞30년 지상권 설정 |
62 | 2010 | 448 | 종손 김상설 사재출연으로 군방제를 중수하다. |
63 | 2011.4월. | 449 | 파주시에서 29,988,000원의 예산으로 신도비각을 보수하다. |
| 2011.7.30. | 449 | 파주일원에 100년 만의 강도 높은 시간당100mm이상 3일간 누적강우량600mm이상의 폭우로 빈배이 진입로 80%,관리사가 침수되는 큰 피해를 이듬해 복구하다. (회장 김달원). |
64 | 2012.4. | 450 | 재산관리인 김철호사망으로 아들 김용원이 승계하다. |
| 2012.11. | 450 | 충정공탄신 450주년 특별기념총회를 갖다.회장 김형원.총무 김상균 |
66 | 2014.8 | 452 | 충정공 및 퇴수당 묘쇼가 멧돼지들에 의해 무참히 훼손되다. |
66
72 | 2014.10.
2020.9.18 | 452
458 | 퇴수당 묘지석14점 도굴이 중랑경찰서 합동수사대에의해 확인되다. 도굴시점은 2009년경으로 추정됨.아울러 북한지역 야자산소 전주유씨 묘지석도 서울경찰청수사대에의해 수습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음이 확인되다. 빈배이교에서 성옹교 까지 약 70m 국비로 수해방지용 하천 정비.(회장 김형원)
|
첫댓글 기록물은 문중 역사인 만큼 종원님은 숙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퇴수당 묘이장은 장단이 아닌 공산(공주) 쌍계동 임진년 삼뭘 군방곡으로 이장 되었습니다
퇴수당 선조님에 묘지명 번역문을 참조 해주세요
지적해주셔서 감사해요. 공산이 공주가 맞나요? 일단 한자로 公山雙溪洞으로 고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