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어휘특징으로 '음성상징어'가 발달한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의성어 의태어는 어느 언어에나 다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자음과 모음이 바뀌면서 어감이 조금씩 바뀌는 말이 많기 때문에 의성어, 의태어가 발달한 것이다.한국어의 모음중 ㅏ, ㅑ와 ㅗ, ㅛ는 양성이고 나머지는 음성인데 양성은 양성끼리 음성은 음성끼리 조화를 이루어 소리 나는 현상을 모음조화라 한다.
1.같이 사용되는 동사나 형용사와 함께 가르친다.
2.-거리다, -대다 등과 결합하여 새 어휘가 파생됨을 보여준다.
3.음운교체를 통해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느낄 수 있게 지도한다.
4. 째깍째깍, 졸졸, 멍멍 등과 같은 의성어는 어느정도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나불나풀: 의태어
찰랑찰랑: 의성어, 의태어
부글부글: 의성어, 의태어
펄럭펄럭: 의성어, 의태어
첫댓글 동작이나 소리를 통해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의미를 설명하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