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흔히 접하게 되는 항생제의 종류와 분류 및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항생제란?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는 물질을 일컬읍니다.

작용기전에 따른 분류
세포벽 합성억제
세균은 인체 세포에는 없는 세포벽이라는 구조로 둘러 싸여 있어 인체 내의 삼투압보다 훨씬 높은
세균내 압력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세균이 생존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세포벽의 각 합성 단계에서 합성을 억제하게 되면 세균은
파괴됩니다.
베타락탐계 항생제(페니실린penicillins.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e.
반코마이신vancomycin. 모노박탐monobactam. 카바페넘carbapenem 등)
세포막 기능억제
세포막은 투과 장벽으로 선택적 능동 수송을 수행함으로써 세포 내부의 구성물질을 조절하는데, 이러한 투과성이 변화되면 고분자물질이나 이온들이 세포로 빠져나와 세포가 사멸됩니다.
세포막에 작용하는 항생제는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세균으로 하여금 세포내, 외부의 균형을 잃게 하여 사멸 시킵니다.
그람 음성균에 작용하는 (폴리믹신polymyxin) 항진균제(암포테리신amphotericin B.
케토코나졸keto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등)
단백질 합성억제
세균이 증식하려면 필요한 단백질이 세포질내 에서 합성 되어야 합니다.
이 단백 합성이 억제되면 세균은 증식할 수 없게 됩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lycos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마크로라이드macrolide.
린코사마이드lincosamide.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핵산 합성억제
세균 증식에 필요한 과정인 DNA의 전사 및 RNA 형성을 방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냅니다.
항 결핵제(리팜핀rifampicin), 퀴놀론계(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목시플록사신
moxifloxacin.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엽산 합성억제
엽산은 DNA 합성에 관여하는 물질이지만 인체에서는 합성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음식에 포함되어 섭취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세균은 자체 내에서 생합성하여 사용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엽산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에 엽산 합성에 관련되는 과정에 장애를 주는 약물은 인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세균에게는 지장을 주어 항균력을 보입니다.
(술포마이신sulfonamide. 트리메토프림trimethoprim)
페니실린계:
penicillin G. penicillin V. methiciiine.
oxacillin. cloxacillin.dicloxacillin. nafcillin. ampicillin.
amoxicillin. carbenicillin. ticarcillin. mezlpcillin.
piperacillin)
세파로스포린계:
cephalothin. cefazocin. cephalexin.
cephadroxil. cefamandole. cefoxitin. cefaclor. cefotetan.
cefotaxime. ceftrizixine. cefoperazone. cefepime)
잘못된 항생제의 사용은 오히려 독이 될수 있으니 전문의의 처방에 의해서 사용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