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 자 | 눌보/訥甫 | |
인물 호 | 수오재/守吾齋 | |
인물년도 | 1724 ~ 1795 | |
프로필 |
안민수(安敏修 ; 1724~1795)의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눌보(訥甫), 호는 수오재(守吾齋). 권구(權矩)의 문인으로 영남지방의 남인이며 처사(處士)이다. 유규(柳奎), 김필형(金弼衡), 권명우(權明佑) 등과 교유하였다 |
안민수(安敏修)
안담수(安聃壽)의 7대손. 안정서(安井瑞)의 子
아들 안이정(安爾定)과 장손 안원(安愿)
守吾齋安公墓碣銘
公諱敏修。字訥甫。姓安氏。順興人。安氏顯于高麗。至判事諱俊。以鄭文忠公夢周黨。杖流嶺南。聖祖開國。量移醴泉以終。號蘆浦。累傳至僉正諱聃壽。遊於西崖先生之門。世以節行著聞。又七傳至公受業于屛谷權公。聞爲學之方。其學事親孝。與兄弟友。待宗族有恩。交朋友有道。然奉屛谷公。敬謙恕三字符。內而不出。嘗以守吾名其齋。而爲之銘曰。守吾之白。不涅於黑。守吾之樸。不漓於俗。守吾之拙。不競於物。吾守吾口。如囊之括。吾守吾心。如玉之執。亦未嘗出以示人。久之。爲其友權公尙佑所覺。亟揭之壁。人始知之。少嘗治擧子業。已而棄之。時年三十有九也。疾病家人環泣。麾內子令入。引手整中者再三而逝。正其終也。屛谷之終。蓋嘗如是云。公曾祖諱夢祥。祖諱必昌。考諱井瑞。妣安東金氏。龍錫女。公生以懿陵甲辰月日。卒以庚戌月日。葬在安東府西耳開里負癸原。配豐山柳氏潝女。有二男一女。男爾宅爾定。女適李宗宅。爾宅二男一女。男長愿。次憼。女適金履敎。爾定有男女。皆幼。家煥聞公事繼母金夫人。卒得歡心。晩年養其疾。夜不解帶。夫人閔其老。勸之少休。輒隱身燈後。不使夫人見。家祭。必預自盥濯籩豆。有序罇爵蠲潔。與二弟折產。有無共之。其實非析也。族人之無歸者。築室而居之。有有喪者臨沒。申申猶其葬也。平生不妄交人。交者終身不變。蓋從事於彝倫日用之間。而鍵德韜光者也。公之生也。所自持如此。其卒也不可以不發。遂▣而銘曰。
和而毅。實而若虛。古之爲己者。今也則亡。
今也則兦。資憲大夫。工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揔府都揔管。驪州。李家煥。撰。守吾齋遺集卷之四
錦帶詩文抄[下] 碣銘 附墓表 이가환(李家煥)
行狀(行狀)
守吾處士安君訥甫。諱敏修。順興人。鼻祖曰子美。仕高麗世。始見于譜。五世而至文懿公文凱號質齋。文成公裕再從姪也。文科。事忠肅王。隨王拘元。有輔佐功。及王解還。賜左政丞。封興寧府院君。曾孫諱俊。文科。官判事。以鄭圃隱黨。同禹玄寶等二十七人。被罰分配。開國初。量移于醴泉。簑笠以自終。自號蘆浦。後享龍宮箕川院祠。子諱守眞。仕本朝。爲黃澗縣監。縣監子諱質。文科。爲大司諫。其後又五世而有諱景老。生員。永嘉誌。稱純愼無僞。生諱聃壽。號定峯。西厓柳先生門人也。上庠。擢第。歷官。禮安縣監。掌樂僉正。以淸白著。是君七世祖。子姓不甚蕃。且無祿仕于朝者。而世不失令名于鄕。曾大父諱夢祥。配禮安李氏。生員諱惟橿之女。大父諱必昌。配安東權氏。諱霐之女。考諱井瑞。妣安東金氏。士人諱龍錫之女。察訪諱啓祥之曾孫。繼妣聞韶金氏。士人諱浚河之女。君生于景廟甲辰九月初三日。生有美質。舉止雅。出遊。輒避村童雜戲。嘗持靑銅而嬉。長者曰古人有口不言錢者。爾乃手弄耶。卽赧然擲去之。自是。不復近。能悟而有執。自兒時已然。旣入學。音吐分明。且無厭倦意。文藝筆畫俱早成。乙卯。從我輩始習六字文。句法命意。多出人意表。儕流皆自以不及。丙辰。丁母憂。持喪致哀如成人。課讀獨居。時或對卷。泣下嗚咽。丁巳。以大人公命。受經傳于我王考屛谷先生。王考見端序已成。甚愛重之。課授外。誘以治心修已之方。乃能言言領受。不敢造次㤀也。己未春。大人公爲築二架屋于丸窩之南。爲日夕肄業之所。王考命其齋曰時習。使同學者五六偕焉。少輩羣居。間有浮雜言戲。獨超然不入。庚申受室。因視疾而彌。醫言難治。方慨然有向上志。而若被造兒戲。至摛文以自悼。賴調養有方。幸漸平而病根未祛。遂爲終身患。己巳春。哭我王考。葬喪時祭文。識者稱辭義精切。是秊秋。喪未筓女弟。旣窆。當大比。托重服不赴。冬。陪大人公。寓葛田里。別築室于板橋而居焉。距大人公所。可數射而遠。而定省惟謹。及大人公晚年。日侍寢以爲常。一日。歸自大人公所。遙見所居室失火而焚。略無驚動意。緩步如常。妹婿柳君龜祚在後。請疾往。答曰疾往可救乎。臨事從容類如此。甲申。改占新基于圓塘。屋未及完。而翌秊乙酉春。大人公疾終于寓所。葬後。返堂于新屋而奉之。丁亥。服闋。修飾牆壁之未盡治者。庭除二面。置花砌。雜植藥卉及盤松渭城柳梅菊梧竹等物。俱有品題。曰月梧。烟柳。雪梅。霜菊。風松。露竹。且有廢塘古井韻。以詠新居之趣。朋友多和之者。兄弟三人。鼎足而居。朝夕怡愉如也。日率童稺。指導文墨及義方。癸巳。居繼妣金夫人憂。一如前喪。丁酉。喪仲弟。傷痛過常。撫諸孤如巳子。嘗以守吾名其齋。有箴若銘。而秘不言。日。我午君海叜過。晤頗從容。始話及是事。海叜曰善。亟索紙筆。大書守吾齋五字。使顔于壁。笑曰君資我笑囮。其箴曰吾有吾廬。可守而息。吾有吾田。可守而食。吾有吾書。可守而讀。守吾之白。不涅於黑。守吾之樸。不漓於俗。守吾之拙。不競於物。吾守吾口。如囊之括。吾守吾身。如雌之伏。吾守吾心。如玉之執。求之在吾。其守也約。守之由吾。宐是之力。外此何求。永矢勿易。暮秊自樂。無求之意。可知也。甲辰囘甲日。子姪欲設酌邀賓。愀然曰此具慶者之事耳。且先人喪在乙酉囘甲歲。而不及壽日。吾所一倍悲感。何心宴樂於是日。遂命駕而往母家。丁未秋。柳斯文若愚[顔春。]金上舍子晦[敏源。]及其他老伴八九人。不期而來會。盡歡一㝛而罷。有題名錄下追題韻。庚戌九月方。治先塋碣石。看役之暇。扶杖八內堂。周觀前後。分付甚悉。轉至兩弟家。亦然。是夜忽患關閟痰隔之症。沈苦至十數日。投劑無效。傀觀悶塞。猶自安心耐過。不作呻楚聲。知舊有來診者。必扶起笑語。略無怛化意。命姪爾鎭。出董石役。又命孫愿。淨寫所草碣陰小識而藏之。內子出在傀。謂曰吾病殆矣。須八去。至隕命。頭巾少欹。再三手自正之。引衾穩臥而逝。十月初二日辰時也。得秊六十七。以其秊十二月初七日癸丑。葬于府西後耳開里先隴下癸向之原。從治命也。君天姿醞籍。意像寧靜。自幼少時。絶無浮躁淺露氣。早得依歸。親承爲學之大方。所自期向。不止爲尋常俗儒。平居。無疾言遽色。見諸行事者。慈詳縝密。篤厚和平。事先公。先意承順。色養無方。事無巨細。必稟乃行。居喪。持法甚固。家人慮善病。潛絮肉汁于羹及醬。覺卽並卻之。每食。但點白鹽。或咬菁根。氣血運用。反若勝似常。時人異之。繼妣長於君五六歲。君事之盡愛敬。或有情外誚責。但抑首聽命。事過後。乘間怡聲以解之。夫人每降顔色。久乃心悅。視踰已出。及夫人病病。左右㭑侍。夜不解帶。夫人念其老且病。頻勸休息于他所。君輒應曰諾。乃出戶暫憇而旋入。或隱身燈後。不使夫人見之。如是者逾秊。而遭喪。終始自盡。不顧毀滅。祭祀。必豫庤圭腆。蔬果魚肉之品。秩秩有式。齋日。必澣衣剪瓜櫛髪。中夜。盥潄以待雞。先山石物之歲久殘缺者。及未遑於前代者。皆易而新之。旁親墓無嗣者。亦築其頽圮。而香火以時。二弟析箸異室。而動如手足。物無爾我。私恫仲弟先逝而子女未成者衆。一心撫摩。文學昏嫁。皆不失時。嘗與柳氏妹。同避痘。當產憂。手自析薪煑藥。不避風寒。見者咸嘖。閨門外內斬斬。夫婦相敬如賓。到老不衰。㛮叔。非有事。不相見。見之必。具衣冠。敎子姪以義方。凡牟利害義之事。戲媟侮慢之習。不令萌于心而設諸身。王凝之常居慄如。孔戡之退㥘非義。其所存所養。可知也。同居三四族黨。皆非袒免之親。而視以至親。孤寡無歸者。築屋以居之。婚娵過時者。喪葬乏資者。擔當出力。俾勿愆期。臨終時。有族人方營葬于遠地。君矝其竆孑。分送婢僕及弟姪以相之。奄奄之際。猶問喪車發未發。外祖考妣忌日。茍不可躳往。必替送祭需。歲以爲常。又於舅氏生日。必致酒饌。如得異味。必專人割送。而後嘗之。周䘏隣里。亦出眞情。一友有身在外而遭妻喪者。竆無以爲喪。爲出絹帛。手製幎幄等物。又命婦女。各出衣襚。以斂之。又有一友猝病。貧無以自治。乃於雨中。送騎率邀醫。又送朝夕接待之物。至如洞事是非。無甚可否。而至判決義利處。色毅而辭峻。或有犯者。一笑而不校。其人終亦媿服焉。撫厮養以恩。有罪過。不遽怒。以理開說。而後加責罰。若其尢無良不可赦者。不動聲氣而裁。處之如法。尢謹於辭受。截然有一芥不取之意。便旋不向日月。入山見古塜㾗。戒子姪勿踐。過故里必下馬。聞知舊喪。視情分而行素有差。古奴桸。亦如之。性儉約。衣服不喜華靡。鞍馬器用。雖樸劣垢敝。苟可以補綴充用。未嘗改新以取觀美。惟所居室堂必淨掃。牕戶必明潔。枕衾排置。皆整整不亂。雖在疾病沈苦中。未嘗偃臥以終日。几案間。不堆雜書。但置緊要者數三卷。嘗手書于座右。曰課業要勤。勤則無廢墜。處事要謹。謹則少過差。持身要恭。恭則遠辱恥。治家要儉。儉則省煩費。又於壁上戶面。書矯輕警惰。及㤀怒觀理。見利思義等語。又書我王考敬謙恕三字符。爲日用觀省之資。亦以此訓戒子孫。嘗曰吾幼時。有躁㬥之病。及炙先師。自能變化氣質。到今似無此病。又曰凡人氣質。各有其病。變化之道。無他。惟在於學。又曰讀書。須貼卻身心上看。不可但以能詞章爲念也。因書示讀書之法。曰專心致知。熟讀精思。不遺寸晷。無計近功。凡看先贒文集。必抄要語以自警。或開示子姪而諄諭之。又嘗手寫我王考遺事及家書數十條。常常寓目。曰看來此篇。與看他先生集。自別。自恨平生爲疾病所困不能如意讀習。然經史子集。通析奧義。一生用工。尢專於庸學。夜必恒誦。每於良宵。莊誦四勿箴。敬齋箴。及夙興夜寐箴。又誦朱子武夷櫂歌退陶四時吟。以發其趣。或使子姪輩。傳誦而默聽之。尢愛退陶自銘詩。無日不端坐而莊誦之。以至病革前。未嘗輟也。蚤習時文。雖之刻苦之工。而精緻條暢。頗有聲譽。但無汲汲心。有小故輒不赴。壬午以後。不復應舉。以故。卒不能成一科名。素不喜徵逐。杜門養病。專意自守。一種聲利之所誘奪者。無所累於靈臺。與人處。淡然若無所有。其所自得而心樂者。未嘗出諸口。嘗與柳君秀夫款語。因出視書藏中心經近思錄。曰吾於此二書。非不用工。亦嘗劄出疑義。欲往復於朋友間。而畏人指點。故不敢也。因講辨十餘條。皆精密可喜。講畢卽藏之。秀夫笑曰若然則講學將無日矣。勸令往復不廢。而竟不肯也。其鞱晦如此。故人皆不知其爲學問中人。而見於外者。閒靜無閙。熱氣悃愊。無澡華色。一再見之者。無不愛好而敬重之。蓋其平日謂習而服行者。不出乎彝倫日用之間。隨所遇而各修其則。道行於妻子。而政成於家庭。居有詩書之樂。身無衣食之憂。庭實六友。壁掲一箴。玩適悠然。有以全吾之趣而樂吾之分。故晚節。尢整暇優閒。酬酢百爲。無不需吾之所欲爲。而殆無餘憾焉。天之餉君。不可謂不厚矣。君不以文人自居。而酬應文字。皆平鋪的當。切於事實。詩亦溫潤冲澹。極有趣味。有詩文若干篇。藏于家。己酉冬。以我先集刋所修稧事。來㝛于外村。余與之聯枕。枕上歔欷。曰近日百念俱灰。祇有感舊之思。偶得拙吟數句。爲余誦之曰黑雲山下白頭翁。時習齋中小學童。卄載周旋何事業。枵然直是鄙夫空。又曰撫我髧毛命就師。一般恩義海無涯。秖今頭白成何事。推枕中宵涕自洏。余於是乎中心歎賞。又怪夫辭意之凄斷。豈危兆已動發於情性者然耶。可悲也已。配豐山柳氏。通德郞潝之女。西厓先生七世孫也。有二男一女。長爾宅。次爾定。女適李宗宅。爾宅有二男一女。長愿。餘幼。爾定有男女。幼愿有三男。幼。君家累世單獨。及君昆季。而有昌大之漸。且皆擩染提撕之訓。將不失爲法家子弟。安氏之福。其無竆乎。明佑幸與並閈而生。同門而學。心悅其恬靜有介。而不能傚。自顧。平生。有多少悔懊君不我咎。以我晚計益旁落。若癏在巳。疾病桸喪之際。視至出尋常。雖謂之末路知仲。可也。每一相對。雖默然無言。亦樂。常恨各在衰境會合不數。昨秋。余病瘧而臥。君念我或先桸。逢人輒詢我苦歇狀。誰謂病者存而不病者兦耶。君與金友克夫甫。同致誠于我家。大事略有頭緖。且自己酉。別有同人經紀。君所樂聞而贊成者。而今不待矣。吾輩將若之何。賤疾支離。尙未能一哭而洩吾哀。有時念至。但抱質喪之悲。君之孤爾定。以伯孤意。偕其從爾鎭及君冡孫愿。袖遺事錄一通。責明佑以記德之狀。按其錄核而實謹而不盡。恍然得君之容聲顔色。嗟呼。吾不忍把筆爲文。亦不忍終無一言。顧人輕識淺。縱有言。人誰有信之者。柳斯文孟煕甫。輓曰心純兒自古。眼到腳應牢。秀夫。輓曰美質和兼毅。眞工實若虛。權德而。誄曰生不虧行。桸而全躳君子之終。三人者。皆許以知友。而其言若此。亦足爲信筆矣。病惙之隙。櫽栝遺事錄。間附平日所知見。且係三友輓誄語。以塞諸孤之責。聊以敘吾悲而巳。非敢曰言足採也。謹狀。上之十五秊辛亥三月壬午。永嘉。權明佑。狀。
수오재유집(守吾齋遺集) 權明佑
守吾齋安公遺稿序
文者出於氣者也、氣之厚薄不齊而文之高下係焉。古今人論文者、率有是言。然文不可以徒氣也、文以理致爲貴。苟當於理則一字而敵萬言矣。彼倒流三峽之詩、光焰萬丈之文、何等氣勢!而求其補世敎而資實用則未也。若夫主理之文根於仁義、發於性情、著於翰牘而其言藹如、使人讀之不覺愈寡而愈貴、愈拙約而愈有味則。嗚呼!此豈但以氣力分數而得之哉。今觀守吾齋安公遺稿其庶幾乎。公天資近道、自羈丱時擩染大方之訓。於時程女字外知有古人所謂爲己之學、務內而不務外、尙質而不尙華。恂恂謙退闇然日修孝悌忠信作爲日用茶飯。而功名勢利不啻如孔戡之退㥘、不惟不出於口、亦不萌於心也。不佞久遊芝蘭之室、每見其儼然端坐、德容和毅。案上只有四子洛閩書陶山集數帙而已。終日欽欽辭簡而意足、與之論文章談性命、逡巡而退三舍、以故若干著述絶少論學論理之文。雖然言言是實、字字是實、不爲侈然無用之空談而日慥慥乎。撿身刑家之謨不過是數三篇、而和易之中自有嚴整法度、平穩之中亦有高簡格式。未見其委靡而傷於弱、則謂之具體之文亦可也。詩韻冲澹、寄趣閒遠、守吾韻壁上箴無一句矝夸語、可謂自寫其眞。後之欲識公者、盍於此而求之哉。抑不佞讀公詩而竊有所感歎者、公家于劒山之下巖花澗鳥莫非詩料、而獨於廢塘古井首先寓意有以自樂而終老焉。其甘心杜門不求人知之意可知己、豈不重可貴耶。季胤爾龍長孫愿收拾零星編爲是稿、來請卷首一言以余、契之密而知之深也。蓋嘗屢辭而請益勤、則不得已書此以塞後死之責、且將少慰余斷絃輟斤之思云。
임여재선생문집 (臨汝齋先生文集) 臨汝齋先生文集 二 > 臨汝齋先生文集卷之四 > 序 류규(氵+奎) (柳규(氵+奎))
安敏修
告身29
敎旨
學生安敏修
贈通訓大夫
司憲府監察
者
光緖(印)六年十二月 日
學行卓異贈職事承
傳
추증교지(追贈敎旨) 【정의】 |
1880(高宗 17)년에 安敏修가 通訓大夫 司憲府監察로 追贈된 告身 敎旨. |
[주제] |
1880년 12월에 안민수(1724-1790)가 통훈대부 사헌부감찰로 추증된 고신 교지이다. 작성연월일 왼쪽에 추증사유가 기재되어 있는데, ‘學行卓異贈職事’이라 하여 학행이 뛰어났기 때문이라 하였다. 이는 후손들의 꾸준한 노력의 결과라 볼 수 있을 것이다. |
[용어] |
通訓大夫는 조선시대 문신 정3품 下階의 품계명이다. 문산계에서는 정3품 상계인 통정대부 이상을 堂上官이라 하고, 하계인 통훈대부 이하를 堂下官이라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당하관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正 ·직제학 ·편수관 ·左諭善 ·우유선 ·判校 ·左通禮 ·우통례 ·提擧 ·贊善 ·上護軍 ·목사 ·대도호부사 등이 있다. 1438년(세종 20)에 정비된 녹과(祿科)에 의거하여 실직(實職)에 따라 1년에 네 차례에 걸쳐 당하관은 中米(중질의 쌀) 10석, 鼠米(벼를 매갈아서 만든 쌀) 30석, 田米(좁쌀) 2석, 黃豆(누런 콩) 15석, 小麥(참밀) 7석, 紬 4필, 正布 13필, 저화 8장을 지급받았다. 아울러 직전도 당하관에게는 60결이 지급되었다. 그러나 1556년(명종 11) 직전법도 완전히 폐지되고, 이러한 정3품에 지급되던 녹봉은 ≪속대전≫에서 당하관에게는 미 1석2두를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 한편 통훈대부는 기술관이나 서얼의 限品이기도 하였다. |
【참고문헌】 |
『古文書集成』43(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
안담수(安聃壽)
(1552~1627)
본관 순흥順興, 자 군소君邵, 호 정봉定峰
1582년 생원 시험에 합격, 1603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사예(司藝) 예안현감(禮安縣監)등을 지냈다.
광해군 때 낙향 은거하였으며, 김상헌, 정경세, 이준, 이호민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하였다.류성룡의 제자
청백淸白으로도 유명하며, 정경세, 김봉조 등과 병산서원 창립을 주도, 병산서원 원장을 지냈다.
安聃壽(1552~1627): 호는 定峰, 유성룡의 문인이며, 51세에 文科에 급제하여 掌樂院 僉正을 거쳐 禮安縣監을 역임하였다. 光海君 廢母 時에 位號의 복구를 청하였다가 삭탈관직 당하여 낙향하였다. 屛山書院 院長을 지냈으며, 1613년 병산서원에 祠宇를 세워 서애선생의 위패를 봉안하는 등 서원의 제반사를 주도하였다. 尹暉(1571~164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海平. 자는 靜春, 호는 長洲•川上이다. 영의정 尹斗壽의 아들이며, 成渾의 문인이다. 1589년 진사가 되었고, 1594년 별시문과에서 급제하여 史官이 되었다가 1596년 병조좌랑을 거쳐 병조정랑, 사서, 장령, 필선, 사간 등을 역임하였으며, 전라도 경상도 관찰사로서 치적을 남겼다. 1613년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축출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1618년 冬至兼陳奏使로 明나라에 다녀왔고 공조•예조 참판을 역임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때에 장흥•아산 등지에 유배되었다가 1627년 정묘호란때에 다시 기용되어 왕을 남한산성에 호종하였고 강화조약을 체결하였다. 환도 후에 도승지가 되어 외교를 전담하였고 1639년 우찬성으로 奏請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오고 1641년 공조판서가 되었다. 글씨에 뛰어나고 死後 아들 勉之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장주집』을 남겼고 시호는 章翼이다.
안동향교지(安東鄕校誌) 第一節 人物
안담수(安聃壽) (명종7:1552~)
순흥인(順興人). 자(字)는 군소(君邵) 호(號)는 정봉(定峯)이다. 계종(繼宗)의 증손(曾孫)이며 경노(景老)의 자(子)로 서애(西厓) 류성용(柳成龍)의 문인(門人)이다. 선조(宣祖)36년(1603)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及第)하였으나 광해혼조(光海昏朝)를 당(當)하여 물러나 은둔(隱遯)하였다. 인조반정(仁祖反正) 후(後)에 벼슬을 내렸으나 나가지 않았다.
<국조 문과 방목>
안담수(安聃壽)
선조(宣祖)36년(160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14(丙科14)
부(父) 안경노(安景老)
조부(祖父) 안순(安恂)
증조부(曾祖父) 안계종(安繼宗)
전력(前歷) 직장(直長)
관직(官職) 감찰(監察)
안경노(安景老)
안담수의 父
(중종22:1527~)
순흥인(順興人). 자(字)는 성백(成伯)이다. 풍산현(豊山顯) 서(西)쪽 여자지동내(女子池洞內)에 살았다. 명종(明宗)16년(156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合格)하였다. 성질(性質)이 순실(純實)하고 근신(謹愼)하며 사람을 대(對)하고 처신(處身)하는데 교만하거나 거짓이 없으므로 향린(鄕隣)에서 모두 숭앙(崇仰)하였다.
안방(安방)
안담수의 子
1579(선조 12, 기묘)~?.
본관 順興. 자는 조경(造卿). 호는 간산(艮山). 聃壽의 第3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從叔 榮壽, 長兄 遇와 의병을 이끌고 郭再祐 휘하에 들어가 전공을 세움. 통덕랑을 지냄. ▣참고:문중자료(安哲鎬)
父
안정서(安井瑞)
안민수의 父
婚書
忝親順興安井瑞再拜
伏承
嘉命許以
令從姪女貺室僕之第一子行敏
之子爾宅加之卜占已叶吉
兆玆有先人之禮敬遣 使
者行納徵儀不宣伏惟
尊慈鑒念 謹上狀
庚辰正月二十日
1760(英祖 36)년 1월 20일에 안정서(安井瑞)가 그의 장손인 안이택(安爾宅)의 혼례를 준비하면서 신부집에 보낸 혼서(婚書).
11世
안숭도(安崇道) 안숭덕(安崇德) 안숭지(安崇智)
11世 12世
안숭도(安崇道)ㅡ>안건(安建) 안선(安選) 안기(安起) 안규(安赳)
13世
안건(安建)ㅡ>안사종(安嗣宗) 안계종(安繼宗) 안승종(安承宗) 안윤종(安胤宗) 안연종(安衍宗) 안효종(安孝宗)
13 안계종(安繼宗)ㅡ>14 안순(安洵)ㅡ>15 안경로(安景老) 안국로(安國老) 안인로(安仁老)
안경노(安景老)ㅡ>16 안담수(安聃壽) 안창수(安昌壽)ㅡ>17 안우(安遇) 안방(安방)안석희(安錫禧)ㅡ>18 안몽상(安夢祥)ㅡ>19 안필창(安必昌)ㅡ>22 안정서(安井瑞)ㅡ>23 안민수(安敏修)ㅡ>24 안견구(安見龜)안현민(安見黽)ㅡ>25 안원(安愿)ㅡ>26 안윤희(安潤羲) 안윤시(安潤蓍) 안윤서(安潤薯)
曾祖諱 안몽상安夢祥。祖諱 안필창安必昌。考諱 안정서安井瑞 안민수(安敏修)
안계종(安繼宗)ㅡㅡ>안순(安恂)ㅡㅡ>안경노(安景老)ㅡㅡ>안담수(安聃壽)ㅡㅡ>안우(安遇) 안방(安방)ㅡㅡ>.....
안정서(安井瑞)ㅡㅡ>안민수(安敏修)ㅡㅡ>안이택(安爾宅), 안이정(安爾定)ㅡㅡ>안원(安愿),安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