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 전남화순 2019.04.24.
전남화순 답사자료
* 일 시 : 2019.04.24. ( 넷째 수요일 ) 07:00 ~ 19:00
* 일 정 : ( 현지 사정에 의하여 일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
= 마산박물관 - 화순 쌍봉사 – 화순 운주사 -
- 점 심 ( 소머리국밥 식당 ) -
- 화순적벽 셔틀버스투어 – 마산박물관 = 운주사 석조불감 ( 보물 제 797 호 )
* 해 설 : 고 명 천 ( 답사회장 ) * 인 솔 : 김 인 국 ( 상임이사 )
= = 전라남도 화순군 현황 = =
행정구역 : 1 읍 12 면 , 188 법정리 , 343 행정리
인 구 총 29,928 세대 63,933 명 (2018. 12. 31. 현재 )
문화재 : 80 개 ( 국가지정 20, 도지정 40, 문화재자료 19, 등록문화재 2)
전통사찰 : 6 개소 ( 만연사 , 운주사 , 개천사 , 쌍봉사 , 유마사 , 규봉암 )
온 천 : 2 개소 ( 화순온천 , 도곡온천 )
마산문화유산답사회
2019-4 전남화순 답사 문화재
국보 57
쌍봉사
철감선사 탑
1962.12.20
이양면 쌍산의로 459 ( 증리 산 195-1)
868 년
보물 170
쌍봉사 철감선사 탑비
1963.01.21
이양면 쌍산의로 459 ( 증리 산 195-1)
868 년
보물 1726
지장전목조지장보살삼존상및시왕상일괄
2011.11.01
이양면 쌍산의로 459 ( 증리 산 195-1)
1667 년
보물 170
쌍봉사 철감선사 탑비
1963.01.21
이양면 쌍산의로 459 ( 증리 산 195-1)
868 년
보물 1726
지장전목조지장보살삼존상및시왕상일괄
2011.11.01
이양면 쌍산의로 459 ( 증리 산 195-1)
1667 년
도문화재자료 66
쌍봉사 극락전
1984.02.29
이양면 쌍산의로 459 ( 증리 741)
1667 년
사적 312
운주사지
1985.04.15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70)
고려시대
보물 796
운주사 구층석탑
1984.11.30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70)
고려중기
보물 797
운주사 석조불감
1984.11.03.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43)
고려중기
보물 798
운주사 원형다층석탑
1984.11.30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43)
고려중기
도 유형
문화재 273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2005. 07. 13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산 8)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74
운주사 광배 석불좌상
〃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69)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75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
도암면 천태로 91-44 ( 대초리 산 115)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76
운주사 칠층석탑
〃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70-1)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77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70-1)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78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941)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79
운주사 거북바위
교차문 칠층석탑
“
도암면 천태로 91-44 용강리 산 8)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80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석탑
〃
도암면 천태로 91-44 ( 용강리 20-1)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81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2005. 07. 13
도암면 천태로 91-44 용강리 산 8)
고려시대
도 유형
문화재 282
운주사
발형 다층석탑
〃
도암면 천태로 91-44 ( 대초리 18)
고려시대
도문화재자료 256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
2005.07.13
도암면 천태로 31-44 ( 용강리 산 8)
고려시대
도문화재자료 257
운주사
수직문 칠층석탑
2005.07.13
도암면 천태로 31-44 ( 용강리 산 36)
고려시대
기념물 41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1979.08.03
능주면 정암길 30
남정리 174)
1672 년
* 김삿갓 종명지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
명승 112
화순 적벽
2017.02.09
이서면 장학리
산 14 등
자연유산
천연기념물 303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1982.11.09
수령 800
도 기념물
235
화순 야사리 느티나무
2005.07.13
1600 년
* * * 쌍봉사 [ 雙峰寺 ]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산의로 459[ 증리 741
시대 : 고대 / 남북국 시대 / 통일 신라
대한불교조계종 제 21 교구 본사인 송광사 ( 松廣寺 ) 의 말사이다
쌍봉사는 동리산문 ( 桐裏山門 ) 의 개산조 ( 開山祖 ) 인 적인선사 ( 寂忍禪師 ) 혜철 ( 惠哲 ) 이 839 년 2 월에 중국에서 귀국하여 최초로 하안거 ( 夏安居 ) 를 지낸 곳이 무주 ( 武州 ) 관내 쌍봉사라는 견해가 있어 이에 따르면 839 년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그 후 철감 선사 도윤 ( 道允 )[798~868] 이 주석하면서 사세가 크게 번창한 것으로 보인다 .
= 철감 선사는 중국 소주 ( 蘇州 )[ 창건 비문에는 소주 ( 韶州 ) 라 기록됨 ] 쌍봉사에서 도를 깨치고 돌아와 이 절에 주석하면서 절의 이름을 쌍봉사라 하였다고 한다 . 이처럼 쌍봉사의 창건자나 연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가 않다 .
= 삼층 목탑식 전각이었던 대웅전은 보물 제 163 호로 지정되었으나 1984 년 소실되어 , 1986 년 예전의 실측 자료를 토대로 복원하였다 . 1994 년에는 연못을 복원하였고 , 이후 발굴과 복원이 계속되고 있다 .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 탑 [ 和順雙峯寺澈鑒禪師塔 ]
국보 제 57 호 (1962.12.20.)
시대 : 고대 / 남북국 시대 / 통일신라 \
= 철감선사 도윤의 호는 쌍봉 ( 雙峰 ), 시호는 철감 ( 澈鑑 ) 이다 .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나 18 세 때 출가하였다 . 귀신사 ( 鬼神寺 ) 에서 화엄경 ( 華嚴經 ) 을 배우고 825 년 당나라에 유학하여 남천보원 ( 南泉普願 ) 의 법을 이어받고 847 년에 귀국하였다 . 신라 말 구산선문 ( 九山禪門 ) 중 사자산문 ( 獅子山門 ) 의 개산조로 화순 쌍봉사로 이거하여 선풍 ( 禪風 ) 을 떨치다가 868 년 71 세로 입적하였다 .
= 탑 전체에는 치밀하고 정교한 새김 장식이 있고 특히 탑신에는 목조 건축물과 같을 정도로 정밀한 표현이 돋보여 통일 신라 시대 승탑 중에서는 최고의 걸작에 속한다 . 탑 전체의 장식이 매우 화려하고 비례와 구성미가 돋보이는 탑으로 통일 신라 하대의 석조 미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최고의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
* * 쌍봉사 철감선사 탑비 ○ 지정번호 : 보물 제 170 호 ○ 시대 : 통일신라 경문왕 8 년 (868 년 ) 이 탑비는 현재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으며 비신은 유실되었고 신라 경문왕 8 년 (868) 에 입적한 철감선사의 행장을 기록하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 = 귀부는 방형의 대좌위에 있으며 높이가 아주 낮고 깨진 부분없이 완전히 잘 남아 있다 . 귀부 머리는 용두화 되었으며 정면을 바라보고 있고 입에는 둥근 여의주를 물고 있다 . 머리 위에는 뿔 한 개가 돋아나 있고 입가에는 활짝 펴진 날개같은 것이 있다 . . 귀부의 네발은 발가락이 3 개씩인데 오른쪽 앞발만 발가락을 위로 들고 있어 마치 귀부가 움직이는 듯한 생동감을 주고 있다 .
= 이수는 비신을 덮고 있는 밑면을 제외한 5 면에 운룡문 ( 雲龍紋 ) 을 가득히 조각 하였다 . 전면에는 세마리의 용이 좌우와 중앙 상단에 꿈틀거리고 있으며 , 후면에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몸을 뒤틀며 허공을 나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 이수 정상부에는 보주형 귀꽃이 3 개 솟아 있었으나 향좌측의 것은 유실되고 없으며 그 자리에 사각형의 구멍이 뚫려 있다 .
* * 쌍봉사 지장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지정번호 : 보물 제 1726 호 (2011.11.01.)
○ 시대 : 조선시대 (1667 년 )
쌍봉사 지장전에는 주존인 지장보살을 비롯하여 현재 21 구의 목조각상이 있다 . 지장보살은 좌상 , 시왕은 의자에 앉아 있고 , 나머지 상들은 입상이다 .
* *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상
○ 지정번호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251 호 ○ 시대 : 조선시대 (1694 년 ) 쌍봉사 대웅전은 우리나라 현존 유일의 3 층목탑식 전각이어서 보물 제 163 호로 지정되어 보호하여 왔으나 1984 년 4 월 3 일 불에 타 1986 년 12 월에 복원하였다 . 대웅전의 목조삼존불좌상은 1984 년 불이 났을 때 다행히도 타지 않았다 . = 석가여래좌상의 좌우로 아난과 가섭존자가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합장하며 시립하고 있는 특이한 삼존형식이다 . 대웅전이 화재를 당한 1984 년 11 월에 개금하여 상태는 아주 양호하다 .
* * 쌍봉사 극락전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 極樂殿木造阿彌陀如來坐像 ]
전남도 유형 문화재 제 252 호 (2001.06.05.)
시대 : 조선 후기
화순 쌍봉사 극락전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원래 양옆에 협시불인 관세음보살 , 대세지보살과 함께 삼존의 형식을 갖추고 있었으나 , 1989 년 8 월경 양 협시불이 도난당하여 이후 새로 조성하였다 . 아미타여래 불상은 1694 년 ( 숙종 20) 에 만들어진 것으로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전남 유형 문화재 제 251 호 목조 삼존 불상과 크기와 수인만 다를 뿐 조각 형식이 매우 흡사하다 .
* * 쌍봉사 극락전 ○ 지정번호 : 문화재자료 제 66 호 ○ 시대 : 조선시대 (1667 년 중창 ) 극락전은 서방극락 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시는 전각이다 . 흔히 무량수전 , 극락전 , 아미타전 등으로 불리는데 대웅전 , 대적광전과 함께 우리나라 3 대 불전으로 알려져 있다 .
* * * 운주사지
* 지정번호
사적 제 312 호 (1985.04.15.)
* 소 재 지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운주사
* 면 적
사지 일원 (150,633 평 )
* 시 대
고려시대
운주사의 창건과 천불천탑의 건립은 통일신라말 도선국사 ( 道詵國師 ) 에 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그러나 문헌상으로 전하는 사료에는 아직까지 이 점에 관한 기록이 거의 없고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 능성현조에 ( 雲住寺在千佛千塔之左右山背石佛塔各一千又有石室二石佛像相異座 ) 이란 기록이 보이고 있어 현존 석불석탑의 유래를 짐작할 수가 있다 . 1984 년 전남대학교 박물관 조사단에 의해 확인된 유적은 석탑 18 기 석불 52 구이나 석불에 있어서는 불두만 남아있는 것이 20 여구가 더 수습되었다 . 조성연대는 고려시대의 지방적인 특색을 가장 잘 나태내주는 예로 보아 고려중기인 12 세기정도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사는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고려중기 이후까지 계속해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세인들의 관심속에 4 차례에 걸쳐 전남대학교 박물관 조사단에 의하여 1 차는 1984 년 , 2 차는 1987 년에 , 3 차는 1989 년 2~3 월 , 4 차는 1989 년 9~11 월에 실시되었다 . 1987 년 10 월에 이전에 있던 대웅전을 철거하고 현재의 대웅전을 신축하였다 .
* * * 운주사
○ 소재지 :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 구주소 : 전남 화순군 도암면 ) = 운주사의 창건과 천불천탑의 건립은 통일신라말 도선국사에 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설에 의거 이곳 지형이 배형으로 되어 있어 배의 돛대와 사공을 상징하는 천불과 천탑을 세웠다하여 흔히 천불천탑이라 불리운다 . = 현재 사찰경내에는 석탑 21 기 , 석불 93 구가 보존되어 있다 .
* * 운주사 구층석탑
지정번호 : 보물 제 796 호
규모 : 고려시대
운주사는 풍수지리상 배형국이라 하고 9 층석탑은 돛대 역할을 한다고 전한다 . 운주사에서 가장 높은 석탑이며 석탑 옆면의 꽃문양이 이색적이다 . = 이 석탑은 거대한 암반위에 건립되고 탑신부에 기하학적인 문양이 가득히 조각되었으며 옥개석이 경쾌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운주사 석탑군 중 수의급으로 여겨진다 . 특히 옥개석 아랫면의 사선문양이나 탑신의 활짝 핀 꽃 문양은 이곳에서만 볼수 있는 희귀한 예이다 . 원래 이 탑은 지방유형문화재 제 8 호로 지정되었다가 1984 년 보물로 승격되었다 .
* * 운주사 석조불감
○ 지정번호 : 보물 제 797 호 ○ 규모 : 고려시대
= 이 불감은 팔작 지붕 형태로 그 안에 석불좌상 이체 ( 二體 ) 가 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등을 대고 있다 . 쌍배불이 수많은 석불 · 석탑 가운데 그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 불감의 평면은 방형으로 평평한 기단석 위에 5 매의 판석을 이용하여 짜맞춘 단상이 있고 , 그 위에 1 매의 갑석이 있는데 각 면에 13 엽 ( 葉 ) 의 앙련이 음각되어 있다 . = 지붕은 팔작지붕 형태이며 , 팔매석으로 이루어졌고 , 굵은 용마루가 수평으로 설치되어져 있다 .
= 남쪽 불상을 살펴보면 , 육계부분이 파손되었고 상호는 대체로 둥글며 눈에서 입 부근까지 길다랗게 표현한 귀는 양각이며 귀바퀴는 음각으로 조각되어 있다 . = 북쪽 불상은 원형다층석탑을 바라보고 있다 . 상호는 원만상이며 가느다란 눈썹 , 얇게 뜬 눈 , 희미한 입으로 표현하였다 . 귀는 형태만 갖추었고 코는 시멘트로 보수한 것이다 . 머리에 육계가 없다 .
* * 운주사 원형다층석탑
○ 지정번호 : 보물 제 798 호 ○ 규모 : 고려시대 한국 석탑에서 특이형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구이다 . = 이 석탑은 지대석 , 기단부부터 탑신부의 탑신과 옥개석에 이르기까지 모두 원형을 이루고 있다 . 그러나 기단 중석만은 10 각인데 이 10 각도 원에 가까우므로 이 석탑의 명칭을 원형다층석탑이라고 칭하였다 . = 이 석탑의 구성은 원형의 지대석 위에 높직한 원형괴임을 각출하고 5 매의 석재로 10 각의 기단 중석을 받았으며 그 위에 갑석을 놓았는데 갑석 하면과 측면에는 앙형의 연꽃 문양을 얇게 조각하였다 . 갑석 상면에는 평평하게 별다른 시설없이 탑신부를 받고 있다 . = 이 석탑은 탑의 구성이나 전체적인 형태에 있어 이색적인 것으로서 고려시대에 이르러 많이 나타난 특이형 석탑에서도 그 수위에 놓아야 할 것인바 역시 고려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유래라고 하겠다 .
* *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 和順雲住寺臥形石造如來佛 ] .
전남유형문화재 제 273 호 (2005.07.13.)
시대 ; 고려
좌불 높이 12.7m, 입상 높이 10.26m. 운주사의 낮은 산등성이에 길게 누운 2 구의 불상이라 와형석조여래불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
입체감이나 사실성은 전혀 없으나 일반적인 불상처럼 수인을 나타내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물게 누워있는 모습의 불상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
* *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 [ 和順雲住寺光背石佛坐像 ]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74 호 (2005. 07. 13)
시대 ; 고려 중기 =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은 운주사 내 구층 석탑과 석조 불감 사이 개울가에 위치한 광배를 갖춘 석불 좌상으로 하나의 돌을 깎아 전면에 불상과 화염문이 조식된 광배를 표현하였다 . 앞에는 칠층 석탑을 두어 1 탑 1 금당 형식을 구현하려는 모습이다 .
* *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 和順雲住寺磨崖如來坐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275 호 .(2005. 07. 13)
시대 ; 고려
= 운주사 유일의 대형마애불로 어깨 이하는 선각에 불과한 조각이지만 얼굴 형태와 개념적인 이목구비의 표현이 운주사 불상군의 다른 불상과 같다 . 그러므로 이 마애불과 같은 암벽을 이용한 불상도 다른 독립된 석불들과 마찬가지로 같은 시대에 함께 만들어졌음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 *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 和順雲住寺七層石塔 ]
전남유형문화재 제 276 호 (2005.07.13.)
◌ 시대 ; 고려 ○ 크기 : 높이 9.6m
원래는 논 가운데에 있었으나 운주사에서 주변 논밭을 모두 매입하여 잔디를 심고 정비하였다 . 석괴형 기단 위에 파격적인 원형의 1 단 몸돌받침을 만들어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
* *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 석탑 [ 和順雲住寺雙交叉紋七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77 호 (2005.07.13.)
시대 ; 고려
운주사 석탑 중에서 조형성이 뛰어난 탑이다 .
=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 석탑은 탑신석에 쌍교차문을 표현하고 있고 경쾌한 옥개석 , 넓직한 석괴형 기단 위에 안정감이 있는 신라 전형 석탑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는 석탑이다 . 우리나라 석탑 중에서 면석에 쌍교차문이 표현된 탑이 없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큰 탑이다 .
*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78 호 (2005.07.13.)
시대 ; 고려
= 운주사 석탑에서 백제계 석탑의 모습을 보이는 탑이다 . 각층의 옥개석은 모두 같이 평평하고 넓은 형태이며 처마의 절단선이 수직선이고 추녀 네 모서리의 반전이 뚜렷하며 목조 건축처럼 여러 부재로 조립되어서 백제계 석탑 옥개부의 모습을 띈 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탑신석들의 조형이 투박하지만 옥개석의 너비와 탑신고의 체감률이 자연스러워 전체적으로는 운주사에서는 비교적 안정감을 주는 탑으로 여겨진다 . 석조 불감의 앞쪽에 자리하여 1 금당 1 탑의 사원으로서 기능도 고려한 듯 보인다 .
* * 화순 운주사 거북 바위 교차문 칠층 석탑 [ 和順雲住寺 - 交叉紋七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79 호 (2005.07.13.)
시대 ; 고려 = 운주사 거북 바위 교차문 칠층 석탑은 옥개석의 하면에는 옥개 받침이 6 단의 각형 받침으로 표현되었고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해 마치 목조 건축의 추녀목과 같은 두툼한 단이 양각되었다 . 이러한 예는 한국 석탑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특이한 사례로 고려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
= 거북 바위 교차문 칠층 석탑은 2 층 이상의 탑신석에서 보이는 ‘×’ 형의 교차문이 양각된 점이 돋보인다 , 아울러 한국 석탑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특이한 사례인 옥개석 하면의 네 귀퉁이에 추녀 모양의 두툼한 돌기의 표현이 주목된다 . 옥개석 낙수면이 평박하고 우동이나 추녀는 뚜렷하며 모서리의 들림도 분명하여 비교적 세련된 조형을 보인다 . = 한 암반 위에 자리한 7 층 석탑으로 나름대로 조형미가 있는 탑이다 . 기단부가 없고 탑신에 교차문이 있으며 추녀 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우리나라석탑에서는 보기 드문 아주 특이한 예이다 . 전체적인 모습은 옥개석은 신라 형식에 가깝고 탑신은 고준하다 .
* *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 석탑 [ 和順雲住寺大雄殿 - 多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80 호 (2005.07.13.)
시대 ; 고려
운주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한 모전 석탑이다 . 옥개석의 낙수면이 일반적인 형태와는 달리 층급 형을 이루고 있어 이를 모전 석탑이라고 하는 것이다 . 전탑 형식은 경상도 특히 안동 지역에 몇 기가 있을 정도로 귀한 모습인데 전라도 지방에서는 특히 강진 월남사지와 운주사에서만 보이고 있어 희귀한 예이다 .
* * 화순 운주사 칠성 바위 앞 칠층 석탑 [ 和順雲住寺七星 - 七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81 호 (2005. 07 13)
시대 ; 고려
산 중턱의 비탈진 곳에 위치하며 칠성 바위 바로 앞의 큰 암반 가장자리에 우뚝 솟은 탑이다 . 지대석이나 기단부 등의 별다른 시설 없이 암반을 파내어 탑신부를 세웠다 . 운주사 석탑 중에서는 잘 만들어진 작품이다 .
* * 화순 운주사 발형 다층 석탑 [ 和順雲住寺鉢形多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 282 호 (2005. 07. 13)
시대 ; 고려
탑 모양에 대한 일반적 상식을 깨뜨리는 파격적인 이형 석탑이다 . 주판알과 같은 모습으로 다듬은 둥근 돌을 중첩시킨 발형 ( 鉢形 ) 의 석탑이다 . 그래서 바루 탑이라고도 한다 . 한국 석탑의 전형적인 모습인 방형 석탑의 범주를 벗어난 이형 석탑 ( 異形石塔 ) 이다 .
* * 화순 운주사 거북 바위 오층 석탑 [ 和順雲住寺 - 五層石塔 ]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 256 호 (2005. 07. 13)
시대 ; 고려
와불로 올라가는 길가의 큰 암반 가장자리에 칠층 석탑과 함께 우뚝 솟은 탑이다 . 현재 상륜부까지 보존 상태가 좋으며 통일 신라의 전형적인 탑 형식이다 .
* * 화순 운주사 수직문 칠층 석탑 [ 和順雲住寺垂直紋七層石塔 ]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 257 호 (2005. 07. 13)
시대 ; 고려
= 전반적으로 거칠게 다듬은 석재를 사용한 7 층 석탑이다 . 암반 위에 방형 단을 놓고 그 위에 7 층의 탑신부를 세웠다 . 체감률이 자연스럽고 옥개석 모서리의 들림이 가벼우며 문양이 화려하다 . 기단부가 없고 다소 고준한 느낌을 주는 모습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고려 석탑의 형식을 하고 있다 . 암반 위에 방형 단을 놓고 그 위에 탑을 세웠다 .
* * * 화순적벽
○ 소재지 :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 보산리 , 창랑리 일대
○ 지정번호 : 명승 제 112 호 ( 기념물 제 60 호 )
동복천 상류인 창랑천에는 약 7km 에 걸쳐 크고 작은 수많은 수려한 절벽경관이 발달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동복댐 상류에 있는 적벽 ( 노루목 적벽 ) 과 보산적벽 , 창랑적벽 , 물염적벽 등 4 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다 . 적벽 ( 노루목 적벽 ) 은 수려한 자연경관이라든가 웅장함 그리고 위락공간으로서 주변의 적절한 자연조건 때문에 동복댐이 만들어지기 직전까지 옛날부터 널리 알려진 명승지이다 . 1519 년 기묘사화 후 동복에 유배중이던 신재 최산두가 이곳의 절경을 보고 중국의 적벽에 버금간다하여 적벽이라 명명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 물염적벽은 규모나 풍치면에서 노루목 적벽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 건너편 언덕위에 송정순이 건립한 물염정이 있어 위락공간으로 이름이 높다 . 보산적벽은 노루목에서 서쪽으로 600 여 m 거리에 있는 보산리의 북쪽 계류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규모는 작으나 수량이 풍부했다 . 창랑적벽은 창랑리에 있는데 높이 40 여 m 에 길이가 100 여 m 가량 이어진 절벽군으로 웅장한 느낌을 주고 있다 . 현재 노루목 적벽과 보산리 적벽은 동복댐 보호구역으로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으나 임도개설 (1996.12) 로 한결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 적벽앞에는 망미정 , 보안사지석탑 , 망향정 등이 있다 .
2019-04 전남화순 답사 일정표
== 마산 박물관 07 시 00 분 = 00.0 km
** 화순 쌍봉사 135 분 = 184.6 k 09;30~10;00
** 화순 운주사 36 분 = 29.6 k 10;40~12;10
<< 화순 금탑소머리국밥 >> 18 분 = 11.5 k 12;30~13;00
** 화순 적벽 43 분 = 38.5 k 13;50~14;10
- - - 적벽 셔틀버스투어 - - - - - 14;10~16;10
== 마산 박물관 130 분 = 175.3 k 16;20~18;50
마산문화유산답사회
카페 게시글
우리들의 이야기
2019-04 전남화순 답사자료
여느물
추천 0
조회 87
19.04.15 09:31
댓글 0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