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식물학적 특성 멜론에는 식물학적으로 많은 변종을 포함하여 동양의 참외·월과 등도 포함된다. 그러나 오늘날 멜론이라 할 때는 일반적으로 머스크멜론과 캔털루프를 가리킨다. 멜론은 1년생 초본으로 그 성상은 참외와 비슷하다. 과일은 높은 마디에 착과하며 육질은 부드럽고 즙이 많아 맛이 감미로워 과일 중의 왕자로 꼽히고 있다. 네트멜론은 네트가 과피의 전면에 부드럽고 아름답게 나타나므로 네트멜론 또는 머스크멜론이라고도 하는데 머스크(musk)라는 것은 사향의 냄새를 뜻한다. 영국의 온실멜론, 미국의 캔털루프가 여기에 속한다.
염색체수는 n=12이고 종자·잎·특히 꽃(성포현형)과 과일의 형태에는 다른 채소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유전적인 다양성이 있다. 과일의 모양·크기·색깔·반점·줄무늬·그물무늬 골의 유무·품질 등에 따라 변이가 크다.
덩굴은 덩굴성이고 각 마디의 잎액에서는 측지가 발생하여 아들덩굴·손자덩굴 등을 형성한다. 기부의 잎은 가장자리가 민 듯하고 톱니가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나 위로 올라갈수록 잎의 결각이 뚜렷하다. 덩굴의 굵기, 절간장, 잎의 크기, 결각 정도 등도 종과 품종에 따라 다르다. 그물무늬(네트)는 과일 내부의 팽압에 표피가 견디지 못하거나 과육의 비대가 표피의 신장을 가져올 때 표피가 균열되고 거기에 유합조직이 집적되어 코르크화해서 생기는 것이다.
결과습성은 암꽃과 수꽃이 한그루에 피거나 혹은 양성화와 수꽃이 한그루에 피는데, 암꽃은 보통 곁가지 또는 손자곁가지의 잎겨드랑이에 한 송이, 드물게는 두 송이씩 착생하며 수꽃은 암꽃과 양성화가 착생하는 마디 이외의 마디에 붙는다.
뿌리는 얕게 자라며 곧은 뿌리는 짧고 곁뿌리가 토양표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뻗는데, 흙속에 그물 모양으로 조밀하게 퍼진다. 뿌리는 공기와 빛을 좋아하며 지나치게 습하거나 지나치게 건조한 곳에는 약하다.
B. 기상환경 멜론은 고온성이므로 저온에 대해서는 수박보다 민감하다. 생육적온은 25∼30℃인데 최저 18℃ 이상의 온도를 필요로 한다. 꽃이 피거나 꽃밥이 열리는 데는 20∼21℃가 적온이며 최저 18℃는 필요하다. 겨울멜론은 다소 낮아 21∼24℃가 적온이다. 고온성이기는 하지만 온실멜론은 영국의 기후에 적응되어 내서성이 약하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여름철 재배는 고온이어서 멜론의 생육이 곤란하므로 여름철 멜론은 온도교차가 큰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또 기후가 건조하지 않으면 병해의 발생이 많아 결실률이 낮고 풍미도 나빠진다. 반면에 시설내에서 재배하면 어느 정도의 습도가 필요하며, 지나친 건조는 발육을 둔화시키고 과일의 외관과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난방재배에서는 야간의 최저기온이 17℃ 이하가 되면 난방이 필요하다. 이중 피복을 했을 경우 난지에서는 10월 중순에서 다음해 4월 중순까지가 난방기간이지만, 병해 예방을 겸해서 10월 상순부터 다음해 4월 하순까지는 난방을 하는 편이 좋다. C. 토양환경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넓은 편이 아니다. 사양토가 좋고 시설재배에서는 기름진 점질양토가 좋은데, 배수와 통기성이 좋아야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토양수분은 생육기와 과일의 성숙 시기에 따라 각각 필요도를 달리하기 때문에 재배관리상의 요점으로 꼽히고 있다. 토양산도는 pH 6.0∼6.8이 적당하다.
<파종> |
<관수관리 요령> |
*파종기 : 봄파종 3상~4중순 여름파종 6하~8중순 겨울파종 1중~2상순 *파종간격 : 줄사이 3~4cm 종자간격 2cm |
*정식~활착 : 충분히 관수(1~2회) * 활착~개화 2일 전까지 : 물량을 서서히 늘려 줄기 잎의 발육촉진 * 개화전~개화중 : 관수량을 줄여 착과 촉진 * 착과후 2주일 : 많은 관수, 어린과실 비대촉진 * 네트시작~네트형성 : 많은 관수로 네트발현 및 과실비대 촉진 * 네트형성~수확10일전 : 관수량을 보통ㅇ로 줄임 * 수확10일전~수확 : 관수량을 서서히 줄여 관수 중단 |
<육묘중 온도관리> |
<본포관리> |
*발아기간 : 기온 28~30℃ 지온 23~28℃ *폿트이식후 : 낮 20~25℃ 밤 17~18℃ |
*밑거름 : 퇴비 2000kg/10a, 질소 17, 인산 20℃, 칼리 16, 석회 120 *웃거름 : 질소 17kg/10a, 인산 16, 칼리 16 |
<재식거리 및 재식주수>
작 형 |
재식거리(cm) |
10a당 재식주수 |
하우스 지주재배 |
60~90×35~40 |
2,160주 |
터널조숙재배 |
180~210×60~80 |
810 |
<재배면적 및 생산량>
구 분 |
재배면적(ha) |
10a당 수량(kg) |
총생산량(M/T) |
'90 '91 '92 '93 '94
|
139 219 269 284 359
|
2,156 2,016 2,144 2,534 2,380
|
2,997 4,414 5,768 7,197 8,545
|
<재배적 특성>
학 명 |
Cucunis melo L. |
분 류 |
박 과 |
생육온도 |
발아적온 |
28~30℃ |
육묘적온 |
18~25℃ |
개화적온 |
20~25℃ |
생육적온 |
20~30℃ |
과비대적온 |
20~25℃ |
저장적온 |
0~4℃ |
재배적지 |
토양산도 pH 6.0~6.8정도의 배수, 통기성이 양호한 토양 |
생리적 특 성 |
○ 1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네트형 메론(온실메론)과 참외형 메론(노지메론)이 있음 ○ 저온에는 매우 약한 고온성 작물로 밤기온이 16℃이하에서는 상품생산이 곤란 ○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병해 발생이 많고, 습도가 높으면 당도 및 향기가 떨어짐 |
다수확 기 술 |
○ 적정착과수 착과 : 주당 8~10개 착과시 수량이 가장 증수됨 ○ 비가림 재배로 품질 및 수량 증수 ○ 적정 재식거리 유지 : 무지주재배 200×60cm, 지주재배 100×35cm가 적당 |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
파종기 |
정식기 |
수확기 |
성출하기 |
봄 재배 여름 재배 겨울 재배
|
2하~4상 6상~8상 1중~2하
|
3하~5상 7상~8하 2하~3하
|
6하~7하 10하~11중 5상~7상
|
6상~7상 9중~10중 5중~6중 |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 목 |
내 용 |
□ 봄철 잦은비, 저온
□ 가뭄
□ 고온, 장마
□ 네트 불량과
|
○ 배수구 정비, 습해예방 ○ 살균제 살포 ○ 보온, 가온에 의한 생육적온 관리
○ 점적관수에 의한 적량관수 ○ 충해방제 철저(진딧물, 응애 등) ○ 가뭄포장 웃거름은 물비료로 시용
○ 환기철저, 적온유지 ○ 배수구 정비 ○ 병해충방제 - 7~10일 간격 적용약제 살포
○ 줄기, 잎이 무성하지 않게하고, 고온, 다습이 계속되지 않도록 관리 ○ 병해충 등의 피해로 초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관리
|
*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