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설죽예술제(경북 봉화 예총주관)(23년) [설죽] 자료 제공
[조선 3대 기녀 시인 설죽] 서문
이원걸(문학박사)
설죽雪竹은 경북 봉화 유곡에서 태어나 충재冲齋권벌權橃(1487-1547)의 손자 석천石泉 권래權來(1562-1617)의 여종으로 태어났다. 아리따운 미모· 재치 있는 말솜씨·글재주·가창력이 뛰어나 귀여움을 독차지했다. 그녀의 재주를 아낀 석천 집안 어른들은 그에게 틈틈이 시와 문장을 짓는 방법을 가르쳤다.
충재의 후손들은 설죽 사후, 그녀의 시를 모아 권상원權尙遠(1571-?)의 [백운자시고白雲子詩稿] 말미에 필사해 두어 주옥같은 설죽의 시 166수가 전해지게 되었다.
최근 이원걸 박사가 문헌 고증을 거쳐, 그동안 ‘한국여류한시사’에서 작자 미상으로 남았던 「백마강회고白馬江懷古」 시의 작가가 설죽임을 학계에 최초로 소개했다.
[靑莊館全書](李德懋). “又有秋香翠仙, 亦皆工詩. 翠仙號雪竹, 白馬江懷古詩云, 晩泊臯蘭寺, 西風獨倚樓. 龍亡江萬古, 花落月千秋. 春粧詩, 春粧催罷倚焦桐, 珠箔輕盈日上紅. 香露夜多朝露重, 海棠花泣小墻東.”) .
이로써 설죽이 남긴 시는 모두 167수로 확정된다.
(이원걸, [조선 3대 기녀 시인 설죽], 도서출판 성심, 2000). (도서출판성심 : 054-857-8051).
설죽은 주체적 생을 선택하여 예인의 길로 나서 석전石田 성로成輅(1550-1616)의 계실繼室이 되어 10년 동안 한양에서 살았다. 성로가 죽자,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20년 동안 기녀 시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이후, 한양 등지에서 명사들과 교유하다가 만년에 고향 봉화의 유곡 석천으로 돌아와 생을 마쳤다.
설죽은 황진이黃眞伊-매창梅窓 다음 가는 여류 시인으로 문헌상 확증되었기에 ‘조선 3대 기녀 시인’으로 공인된다.
[五洲衍文長箋散稿]下(李圭景), 卷43, 「華東妓源辨證說」. “自高麗至我朝, 或有詩妓之可稱者略錄之, 以寓古人采風不遺之義. 權松溪應仁稗官雜記, 東詩, 三國無聞, 高麗只有龍城娼于咄․彭原娼動人紅, 解賦詩云而無傳. 松京三絶黃眞, 扶按女妓梅窓·桂生·秋香, 湖西妓雪竹·翠仙, 晉州妓勝二喬, 扶按妓福嫏, 成川妓一枝紅, 皆能詩有名, 而娼妓而能詩絶異, 故略及之”
‘눈 맞은 대나무[雪竹]’의 의미를 간파해내야 한다. 설죽에게 ‘눈’의 이미지는 ‘순백’과 ‘낭만’이 아니라, ‘신분 제약’과 예술 재능의 발산을 저해하는 ‘시대 장벽’이었다.
설죽은 그녀의 삶 전체를 짓누르는 ‘눈’의 무게를 이겨내야만 했다. 설죽은 강인한 정신력으로 시대의 아픔과 신분 제한의 통증을 견뎌내고 당대 최고의 지성들과 교유하며 예술적 경지를 독자적으로 개척해나갔다.
설죽은 봉화 출신 천재 여류 시인이다. 다양한 설죽 문화 컨텐츠 개발 사업과 스토리텔링 활성화로 설죽의 예술적 생명을 살려내야 한다.
그녀의 내밀한 아픔을 헤아리고 탁월한 문학적 감성을 재현해내는 설죽문학관·설죽 테마공원 건립·실경 뮤지컬 공연 등 다채로운 후속 사업이 활발히 이어지길 기대한다.
설죽의 천부적 예술성을 기리는 ‘봉화예총’의 여섯 번째 ‘설죽 사랑 운동(설죽예술제)’이 설죽 문학의 만개를 위한 밑거름이 되리라 믿는다.
규방의 슬픔두 수(1)
해 오른 집에
인적 끊겼고
고요한 숲 어귀에
제비들
지지배배.
계단 위에
거센 바람
휭 지나가는데
꽃잎이
날아들어
근심 어린
저를
미소 짓게 하여요.
怨閨二首(一) 규원이수(일)
日高深院斷無人일고심원단무인 寂寂林頭燕喚人적적임두연환인
階上狂風吹一拂계상광풍취일불 蜚花入戶笑愁人비화입호소수인
* 蜚花 : 흩날리는 꽃잎
규방의 슬픔 두 수(2)
바디 멈추고
탄식하며
강을 바라보니
봄바람 부는데
섬엔
예쁜 풀 가득해요.
주렴밖엔
두 마리 제비
날아들고
처마의 벌레는
가을 왔다고
알려주네요.
怨閨二首(二)규원이수(이)
停梭長嘆望江頭정사장탄망강두 芳草東風綠滿洲방초동풍록만주
簾外初來雙燕子염외초래쌍연자 掠簷蜚入喚新秋약첨비입환신추
신첨추의 벽에 차운하며
높은
누대의 구름
긴 성을 누르고
먼
모래 벌의
낙엽에 한기가 돌아요.
낙엽 깔린 성에
아침 안개 걷히자
숲속의
작은
다리 놓인
주막이 보입니다.
次申僉樞壁上韻차신첨추벽상운
高亭雲搆壓長城고정운구압장성 鴈帶輕寒落遠沙안대경한락원사
葉盡江城朝霧歇엽진강성조무헐 短橋殘店出林多단교잔점출림다
* 僉樞 : 조선조 中樞府의 정3품관 벼슬
즉석에서
간밤에
봄바람이
성에 불어오자
언덕 위 꽃 버들에
동글동글
꽃망울 맺혔어요.
안개가
산으로 흘러들어도
상관없지만
이별 근심에
취기도
오르지 않아요.
口號구호
昨夜東風入洛城작야동풍입락성 陌頭花柳却含情맥두화류각함정
流霞莫怪傾千岸유하막괴경천안 別離關心醉不成별리관심취불성
여인의 원망 다섯 수(1)
붉은 누대에서
주렴 내린 채
오후 단꿈에
빠져들었어요.
꾀꼬리 울음에
잠에서
깨어났지만
여전한
근심은 가시질 않아요.
閨怨五首(一)규원오수(일)
紅樓珠箔掩重重홍누주박엄중중 日午紗窓睡正濃일오사창수정농
黃鳥一聲驚起坐황조일성경기좌 亂愁依舊鎖眉峯난수의구쇄미봉
여인의 원망 다섯 수(2)
수양버들 우거져
처마를 덮고
석류화 그림자
주렴을 간지려요.
무정한 앵무새
봄 꿈을 깨워
임이 원망스런 수심이
더 깊어가네요.
閨怨五首(二)규원오수(이)
楊柳垂陰俺畵簷양류수음엄화첨 石榴花影弄珠簾석류화영농주렴
無情鶯說驚春夢무정앵설경춘몽 喚起愁人怨更添환기수인원갱첨
여인의 원망 다섯 수(3)
아침 햇살
난간에 비쳐
주렴 내리고
자리에 앉았더니
나비 날아들어
꽃술의 이슬 찾고
봄바람은
버들가지에 걸린
안개를
흩날려 버리네요.
閨怨五首(三)규원오수(삼)
朝陽初上玉欄邊조양초상옥난변 高掩珠簾坐綺筵고엄주렴좌기연
蛺蝶含貪花萼露협접함탐화악노 東風吹散柳條煙동풍취산류조연
여인의 원망 다섯 수(4)
담장 어귀에
복숭아 살구꽃 피었고
누각 위엔
금빛 버들가지
한들거리네.
적막한 주렴에
사람은
뵈질 않고
노란 벌 붉은 나비들
저의
봄 근심을
더해 주네요.
閨怨五首(四)규원오수(사)
碧桃紅杏垂墻頭벽도홍행수장두 楊柳金枝弄畵樓양류금지농화루
寂寂珠簾人不見적적주렴인부견 黃蜂紫蝶亂春愁황봉자접난춘수
여인의 원망 다섯 수(5)
붉은 언덕에
봄이 깊고
작은 집 산뜻한데
봄바람결
예쁜 풀이
제 마음 설레게 해요.
하루 종일
비파 들고
상사곡 연주하는데
꽃잎 떨어지는
붉은 난간에
제비가
사뿐히 날아들어요.
閨怨五首(五)규원오수(오)
紫陌春深小院晴자맥춘심소원청 東風芳草正關情동풍방초정관정
箜𥱌盡日相思曲공후진일상사곡 紅雨朱欄燕舞輕홍우주난연무경
* 箜篌 : 현악기의 하나
* 紅雨 : 비처럼 떨어지는 붉은 꽃
봄을 보내며
맑은 시
흥겨운 술로
봄을 보내나니
꽃잎 진
나뭇가지
더 푸르러요.
나비는
낙화 따라
나풀나풀 춤추고
제비는
향기에 취한 나비 따라
안개 속으로
날아갑니다.
餞春전춘
淸詩和酒餞春歸청시화주전춘귀 紅雨紛紛綠滿枝홍우분분녹만지
蝶趐落花盤地舞접혈낙화반지무 燕隨香蝶掠煙蜚연수향접략연비
사 계절 피는 매화를 읊음
섣달에
매화 핀다더니
네 계절
피어
네 본성을 잃었구나.
봄
떠난 뒤에
다시
봄이 그리워지니
열녀전 여인들에게
부끄러워라.
詠四時梅영사시매
聞說梅開臘英春문설매개납영춘 四時長發失天眞사시장발실천진
東君去後生新意동군거후생신의 烈女傳中怪古人열녀전중괴고인
* 臘 : 섣달
* 東君 : 봄의 신(봄)
회포
높고
외로이 뜬 달이
빈 섬을 비추고
안개 어린
문 앞의 물
아득히 흘러가네.
고향 땅
어디쯤일까?
노 저어
떠나는 배
저를
근심스럽게 합니다.
詠懷영회
亭亭孤月照空洲정정고월조공주 門對煙波萬里流문대연파만리류
鄕國不知何處是향국부지하처시 歸舟軋軋使人愁귀주알알사인수
* 亭亭 : 멀고 까마득한 모양
* 軋軋 : 노 젖는 소리
눈 내린 날 근심스레 바라보다가
강산에
뽀얀 눈 내렸고
달도
기우는데
고목과 성곽의
주린 까마귀 우짖네.
남루에
홀로 서서
근심스레 바라보니
먼
주막에
찬 연기
몽실몽실 피어오르네.
雪中愁望 설중수망
雪擁江山月欲斜설옹강산월욕사 古林殘郭亂飢鴉고림잔곽난기아
南樓獨立望愁色남누독립망수색 遠遠寒煙生店家원원한연생점가
서호에서 홀로 잠들며
바람 불어
앞 강물에
물결이 출렁이고
뚫어진 창으로
눈발이
나부낍니다.
홀로
잠 못 이루는데
나와
짝하여
깜빡이는 건
은 항아리뿐이어요.
夜宿西湖獨吟야숙서호독음
天風初起動前江천풍초기동전강 寒雪紛紛入破窓한설분분입파창
獨坐空閨無夢寢독좌공규무몽침 伴人明滅是銀缸반인명멸시은항
* 西湖 : 지금의 한강(당시 마포에서 양화나루터 일대를 말함)
* 紛紛 : 뒤섞여 어수선한 모양
한양에서 고 정랑 별방을 만나
이십 년 전
남국에서
만났던 벗님을
오늘에야
한양에서 만났어라.
고운 집에
촛불 켜고
술잔 기울이며
정담 주고받으니
즐거운 만남
참으로 흥겨울세라.
洛陽逢高正郞別房낙양봉고정랑별방
二十年前南國舊이십년전남국구 如今相値洛陽城여금상치낙양성
華堂剪燭一樽酒화당전촉일준주 說盡靈洲歡會淸설진영주환회청
* 洛陽 : 한양을 말함
비단 휘장
비단 휘장 걷고
겹문을 닫으니
모시 적삼 소매
눈물로
얼룩져요.
그리운 임
지금쯤
어디에 계실까.
깊은 밤
흐르는 눈물을
참을 길 없어라.
錦帷금유
錦帷秉却掩重門금유병각엄중문 白苧衫襟見淚痕백저삼금견루흔
玉勒金鞍何處在옥륵금안하처재 三更殘淚不堪聞삼경잔루불감문
가을밤
어여쁜 달빛 아래
풀잎마다
이슬 맺혔고
귀뚜라미 우는
이 밤이
깊어갑니다.
수심 겨운
주렴 속 여인의
두 소매
눈물로 얼룩집니다.
秋夜獨吟추야독음
月色娟娟玉露團월색연연옥로단 莎鷄秋恨夜將闌사계추한야장란
愁人獨坐珠簾裏수인독좌주렴리 雙袖啼痕點點斑쌍수제흔점점반
* 莎鷄 : 귀뚜라미
봄의 정한
바람이
비를 몰아
남성을 지나니
붉고 노란 둑에
버들잎 가지런해요.
홀로
누대에 기대니
봄 회포
일어나
눈물 젖은
퉁소로
새 곡조 연주합니다.
春恨춘한
水風吹雨過南城수풍취우과남성 紫陌金提楊柳平자맥금제양류평
獨倚紅樓春恨動독의홍루춘한동 銀箏和淚咽新聲은쟁화루연신성
앓다가 고향 산천 그리며
강남땅에
가을비
구슬피 내리고
하늘 멀리
병든 몸
눈물만 나와요.
안동의
고향 집에
갈 수 없으니
꿈길로나
석천 서쪽에 가려구요.
病憶山家병억산가
江南秋雨正凄凄강남추우정처처 臥病天涯無限啼와병천애무한제
家在福州歸未得가재복주귀미득 夢魂長落石泉西몽혼장락석천서
* 石泉 : 봉화 유곡의 석천(설죽이 태어나서 자란 곳)
앓던 중 고향에 부친 편지
타향에서
병들어
더욱
슬픈 가을
편지 한 장에
온갖 사연 담아요.
천 리 먼 고향
돌아갈 계획
아득하여
두 줄기 눈물
멈추질 않아요.
病中裁故鄕書병중재고향서
天涯臥病倍悲秋천애와병배비추 一片家書萬斛愁일편가서만곡수
千里故園歸計阻천리고원귀계조 不堪孤枕淚雙流불감고침루쌍류
옮긴 이
이원걸
경북 안동 출생
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박사 과정에서 한국한문학 전공
안동대학교 국학부 강사 역임
봉화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 역임
안동문화원 향사사연구위원
논저
[안동 여류 한시](이회문화사. 2002)
[역주 파수추](이회문화사. 2004)
[김종직의 풍교 시문학 연구](도서출판 박이정. 2004)
[조선 후기 야담의 풍경](도서출판 파미르. 2006)
[안동 여인, 한시를 짓다](도서출판 파미르. 2006)
[매화나무 가지에 둥근 달이 오르네](도서출판 파미르. 2006)
[국역 경옥 선생 유집](도서출판 성심. 2007)
[국역 조선시대 학가산 유산록](도서출판 영남사. 2012)(공)
[국역 백운자유고](도서출판 성심. 2013)(공)
[조선 3대 기녀 시인 설죽](도서출판 성심, 2020)
[국역 수서 선생 문집](도서출판 성심, 2020)
[한국 대표 누각, 안동 영호루](한국국학진흥원. 2021)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