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 매매 시기에 대한 문의가 예전보다 많아졌다.
오늘은 부동산 매매 시기에 대하여 몇 가지만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토지의 경우에는 연주를 살핀다.
그리고 연주의 납음오행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연주 납음오행이 생하는 납음오행의 시기에 매매가 이루어진다.
만약 연주가 갑자나 을축이라면,
납음오행은 해중금이다.
금생수이므로
이후 수 기운이 들어 있는 60갑자는
갑신 을유 천중수, 갑인 을묘 대계수... 등이다.
따라서 갑신 을유 갑인 을묘 등
납음오행이 수가 되는 달이나 일이
매매가 될 가능성이 있는 날이 된다.
본인이 거주하는 집일 경우에는
월주의 납음오행을 찾는다.
그리고 그 납음오행이 생하는 납음오행의 시기가 매매가 되는 시기이다.
만약 월주가 병인이나 정묘라면,
납음오행은 노중화이다.
화생토이므로
병술 정해 병진 정사... 등이 납음오행으로 토이다.
따라서 주택의 매매는 병술, 정해, 병진, 정사 등의 달이나 일에 성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
건물의 경우에는 일주의 납음오행을 본다.
일주의 납음오행이 생하는 납음오행이 있는 육십갑자의 년이나 월 또는 일에 매매가 이루어진다.
점포의 경우에는 시주를 기준으로 한다.
시주의 납음오행에서 생하는 납음오행이 있는 육십갑자의 년이나 월 또는 일에 매매가 이루어진다.
전세나 월세의 경우에는 일주를 기준으로 한다.
왜 납음오행을 기준으로 하느냐? 하고 질문을 할 수 있다.
납음오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설명하자면 길지만,
간단하게 말하자면,
납음오행이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도록 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상기의 내용은 잘 익혀 두면
의외로 상당히 유용함을 느낄 것이다.
참고해 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