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휘 |
티-ㅁ : 그러한 | 메데흐 : 알다 | 메델(미딜) : 이해, 양해 |
약 : 정확히, 단단히 | 쩌러흐 : 기울다, 어긋나다, 신경쓰다 | 헬레흐(힐리흐) : 말하다, 이야기 하다 |
쫑 : 여름, 남풍 | 쪼-쉬 : 안주, 술안주 | 야로- : 맑은 (소리), 명예, 영예 |
멘드 : 건강한, 건장한 | 메트 : ~와 같이, ~와 같은, ~인듯하다 | 나-쉬 볼로흐 : 가깝게 되다, 가까워지다, 친해지다 |
궁 : 깊은 | 빌릭 : 총명, 지식, 재능 | 바라- : 외관, 외견, 겉모습 |
야리흐 : 말하다 | 비취흐 : 쓰다 | 비쉬레흐 : 믿다 |
허-르헝 : 귀여운, 예쁜 | 호뷩- : 개인적인, 개인의 , 자신의 | 호달(호들) : 거짓, 거짓말 |
후치르헥(후치르힉) : 힘센, 강대한 | 가죠- : 삐뚤어진, 휘어진 | 온타흐 : 자다, 잠들다 |
타-타이 : 즐거운, 유쾌한 | 타-흐 : 추측하다, 점치다 | 타-라흐 : 일치하다, 적당하다, 적중하다 |
세르겔렝 : 신중한, 민감한 | 텍쉬 : 평등(한), 평평(한) | 랍타이 : 옳은, 정확한 |
가이하흐 : 놀라다, 경악하다 | 가이함쉭 : 놀랄만한, 주목할 만한 | 가이함쉭타이 : 현저한, 주목할만한 |
데-렘 : 강도, 강탈 | 데-렘데흐 : 강도하다, 강탈하다 | 촉 : 같이, 함께 |
데쉬 : 위로 | 데쉬레흐 : (위로)올라가다 | 여소-르 : ~에 따라, ~에 의해 |
하이르 : 애정, 자애, 사랑 | 하이를라흐 : 사랑하다 | 하이르타이(하이르태) : 사랑하는, 소중한 |
갈쪼- : 귀신들린, 미친 | 창가 : 엄중한, 엄격한 | 엔드 : 여기에 |
옥트 : 완전히, 전연 | 가로이 : 너무나, 과도하게 | 예르 : 일반적으로, 대체로 |
토스가이 : 특수의, 전문적인 | 초할 : 중요한, 귀중한 | 덩거지 : 겨우, 단지 |
헝겅 : 가벼운, 중요하지 않은 | 헐더흐 : 얼다, 동결하다, 결빙하다 | 호달다흐 : 팔다, 장사하다 |
베르흐 : 곤란(한), 어려운 | 베르흐테이 : 곤란한, 괴로운 | 베흐 : 강한, 튼튼한 |
차라이 : 얼굴, 얼굴 생김새 | 다로이 : 즉시, 당장, 즉각 | 세룽- : 상쾌한, 시원한 |
에쳉히- : 피곤한, 피로한 | 첼멕(칠믹) : 맑은, 깨끗하고 밝은 | 야도- : 가난한, 빈곤한 |
얄랑고야- : 특별히, 특히 | 야막트 : 항상, 언제나 | 예스훌 : 또는, 아니면 |
윰 : ~이다, 물건 | 유옴 : 물건, 물품 | 유오 : 무엇 |
예룰- : 건강, 건강함 | 엘뎁브 : 여러가지의, 각종의 | 호르츠 : 날카로운, 명석한 |
쵸노 : 늑대 | 오링 : 따뜻한 | 엑츠(익츠) : 곧은, 똑바른 |
문법 |
▶ 몽골어의 동사(우일 욱)는 2인칭에 대한 직접 명령형으로 쓰이는 경우, 동사원형에서 어미를 뺀 어간의 형태로 사용된다. 예컨대 한글 "쓰다"에 해당하는 몽골어 동사 기본형은 "비취흐"인데 명령형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어미"흐"를 뺀 언간 "비취"형으로 쓰여, 한글 "써라"의 의미를 갖게 된다 고로 우리말 "앉다"의 뜻을 갖는 "쏘-흐"의 명령형은 "쏘-"가 되고, 우리말 "가다"의 뜻을 갖는 "야바흐"의 명령형은 "야브"가 되어, "빨리 가라"라고 할 경우에는 "보쇼-항 야브"가 된다 | ||
▶동사의 명령형을 부정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어에서는 동사 어간 앞에 "비트기-"나 "부-"라는 부정 부속어를 넣어준다 예컨대 가라(야브)의 부정형 "가지 말라"는 "비트기 야브"이고, "들어라(손스:기본형은 손소흐)"의 부정형 "듣지 말라"는 "부- 손스"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