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고금(古今)의 중풍(中風)의 변(辨)에 대해 논(論)하다
풍사(風邪)가 사람에 중(中)하면 본래 모두 표증(表證)
내경([內經])에 기재(載)된 모든 풍(風)은 모두 외사(外邪)
따라서 신혼(神魂)이 혼궤(昏憒: 아득해지다)하고 직시(直視: 눈을 치켜뜨다) 강부(僵仆: 쓰러지다)하며 구안(口眼)이 왜사(歪斜: 한쪽으로 돌아가다)하고 아관(牙關)이 긴급(緊急: 꽉 깨물다)하며 언어(言語)가 건삽(蹇澁: 어둔하다)하고 실음(失音) 번란(煩亂: 번잡하다)하며 요두(搖頭: 고개를 흔들다) 토말(吐沫: 거품을 뱉다)하고 담연(痰涎)이 옹성(壅盛)하며 반신(半身)이 불수(不遂: 마비되다)하고 탄탄(癱瘓: 마비) 연약(軟弱: 힘이 빠지다)하며 근맥(筋脈)이 구련(拘攣: 굳다)하고 추축(抽搐: 경련) 계종(瘈瘲: 경련)하며 유뇨(遺尿) 실금(失禁)하는 등의 설(說)이 전혀 없으니, 이러한 등의 증후(證候)는 원래 풍사(風邪)의 외감(外感)이 아니라, 총체적(總)으로 혈기(血氣)의 내상(內傷)으로 말미암은 것(:뇌졸중)
풍(風)이 밖(:外)에서부터 들어가면 반드시 천(淺)에서부터 심(深)으로, 점진적(漸)에서 심(甚)하게 되면서, 표증(表證)이 있다. 표증(表證)이 있으면 비로소 소산(疏散)하여 치료(治)
요즘 말하는 중풍(中風)은 그런 것이 아니다.
단지 졸도(卒倒: 갑자기 넘어지다) 혼미(昏迷: 정신을 헤매다)하여 신혼(神魂)을 실수(失守)하는 종류(類)만 보이면 표사(表邪)의 유무(有無)나 한열(寒熱)의 유무(有無)나 근골(筋骨)의 동통(疼痛) 등의 증(證)의 유무(有無)를 막론(:無論)하고 바로 모두 중풍(中風)이라 말하니, 그 잘못 또한 심(甚)한 것이다.
열병편(<熱病篇>)에 편고(偏枯)라는 일증(一證)이 있는데, "신(身)의 한 쪽(:偏)을 불용(不用)하면서 통(痛)하다."라고 하였지만 이는 통비(痛痺)를 말한 것이지, 요즘 말하는 중풍(中風: 뇌졸중)은 아니다.
음양별론(<陰陽別論>)에서도 "삼음(三陰) 삼양(三陽)에 발병(發病)하면 편고(偏枯: 한쪽이 마르다) 위역(痿易: 위축되다)하여 사지(四肢)를 들지 못한다(:不擧)."라고 하였지만, 이는 경병(經病)으로 말한 것이지, 또한 소위 중풍(風)은 아니다.
계속해서 월인(越人: 편작)에서부터 중경(仲景)까지는 또한 모두 외감(外感)을 풍(風)으로 말하였으니, 예전부터 비풍(非風)은 풍(風)으로 말하지는 않았다.
한(漢)나라 말(末)에 이르러 화원화(華元化: 화타)가 오장(五藏)의 풍(風)을 말하면서부터 다소 내경([內經])과는 달라졌으니, 처음으로 토말(吐沫) 신직(身直) 구금(口噤) 근급(筋急) 설강(舌强) 불능언(不能言) 수족불수(手足不遂) 등의 설(說)이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심(甚)하게 서로 다르지는(:遠) 않았다.
또 수(隋) 당(唐) 이후로 소원방(:巢氏)의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손사막(:孫氏)의 천금방([千金方])의 방(方)에서부터 송원(宋元)의 제가(諸家)가 열거(列)한 풍증(風證)에까지 이르며, 날이 갈수록 날로 상세(詳)하게 되었다.
그러나 또한 시풍(是風: 외감의 상풍)과 비풍(非風: 내상의 중풍. 뇌졸중)의 의미가 혼란(混亂)하게 되면서 변별(辨)하기도 어렵게 되었으므로 그 진(眞)을 더욱 잃게 되었다.
따라서 내가 그 요점(要)을 모두 가려내어(:採) 그 증(證)을 앞에서와 같이(: 첫 문단) 열거(列)하였다.
내경([內經])에서 말하지 않았다고 해서 모두 중풍(風)의 증(證)이라고는 말할 수는 없다. 간혹 다소 서로 섞임(:涉)도 있으니, 또한 반드시 사진(四診)을 참조(參)하여야 한다. 반드시 진짜 외감(外感)의 실사(實邪)가 있어야 비로소 풍(風)으로 논치(論治)할 수 있다.
一. 난경([難經])에 "상한(傷寒)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맥(脈)에도 그러한 변화(變)가 있는가?"
"상한(傷寒)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곧 중풍(中風) 상한(傷寒) 습온(濕溫) 열병(熱病) 온병(溫病)이 있으니, 각 아픈(:苦) 바가 다르다."
난경([難經])에서 말한 이러한 중풍(中風)을 상세(詳)히 보자니, 본래 (중풍은) 5종(種) 상한(傷寒)의 하나이었다.
또 중경(仲景)이 "태양병(太陽病)으로 발열(發熱) 한출(汗出)하고 오풍(惡風) 맥완(脈緩)하면 이를 명(名)하여 중풍(中風)이라 한다."
이로 말미암아 보건대 내경([內經])에서 대체로 말한 중풍(中風)은 본래 한사(寒邪)에 외감(外感)된 것을 말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어찌하여 후세(後世)들은 내상(內傷)의 풍(風)에 속(屬)하는 증(證)들을 모두 외감(外感)의 중풍(中風)이라고 인식(認)하였는가?
一. 중경(仲景)은 금궤요략([要略])에서 "풍(風)으로 병(病)이 되면 당연히 반신(半身)이 불수(不遂)하거나 비(臂)만 불수(不遂)하니, 이는 비(痺)이다. 맥(脈)은 미(微)하면서 삭(數)하니 중풍(中風)으로 그렇게 된 것이다.
촌구맥(寸口脈)이 부(浮)하면서 긴(緊)할 경우, 긴(緊)하면 한(寒)이고 부(浮)는 허(虛)이다. 한(寒)과 허(虛)가 상박(相搏)하면 사기(邪)가 피부(皮膚)에 있다. 부(浮)는 혈허(血虛)이니, 낙맥(絡脈)이 공허(空虛)하여 적사(賊邪)가 사(瀉)하지 않고 좌(左)나 우(右)에 있는데, 사기(邪氣)로 도리어 완(緩)하게 되면 정기(正氣)가 곧 급(急)하게 되니, 정기(正氣)가 사기(邪)를 인(引)하여 ①와벽(喎僻: 한쪽으로 비뚤어지다)하고 불수(不遂)케 한다.
사기(邪)가 락(絡)에 있으면 기부(肌膚)가 불인(不仁)하다.
사기(邪)가 경(經)에 있으면 그 중(重)함을 이길 수가 없다.
사기(邪)가 부(腑)에 들어가면 불식인(不識人)한다.
사기(邪)가 장(臟)에 들어가면 설(舌)은 곧 난언(難言)하고 구(口)로 ②토연(吐涎)한다."
중경(仲景)이 중풍(中風)을 논(論)한 것을 보자면 이와 같다.
'반신(半身)이 불수(不遂)하니, 이는 비(痺)이다.'라고 한 것은 통풍(痛風)의 속(屬)을 가리켜(:指) 말한 것이니, 이는 곧 풍한(風寒)으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말한다.
또 '사기(邪)가 피부(皮膚)에 있고 락(絡)에 있고 경(經)에 있고 부(腑)에 들어가고 장(臟)에 들어간다.'라고 하니, 이것은 천(淺)에서부터 심(深)하여진다는 것을 말하니, 이 또한 모두 외사(外邪)가 전변(傳變)된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오직 '①와벽(喎僻)' '②토연(吐涎)'의 두 증(證)은 내경([內經])의 제풍(諸風)에서 전혀 언급(言及)하지 않은 것으로, 중경(仲景)이 처음(:創)으로 말한 것이다.
따라서 당송(唐宋) 이후에는 점차 중경(中經) 중혈맥(中血脈) 중부(中腑) 중장(中臟)의 설(說)이 있게 되었고, 내상(內傷)의 편고(偏枯) 기탈(氣脫) 졸도(卒倒) 궐역(厥逆) 등의 증(證)을 모두 중풍(中風)으로 인식(認)하였으므로, 진짜 풍(風)의 면목(面目: 상태)을 더욱 망각(忘却)하게 되었다.
첫댓글 풍사(風邪)가 사람에 중(中)하면 본래 모두 표증(表證)
내경([內經])에 기재(載)된 모든 풍(風)은 모두 외사(外邪)이다.
따라서 신혼(神魂)이 혼궤(昏憒: 아득해지다)하고 직시(直視: 눈을 치켜뜨다) 강부(僵仆: 쓰러지다)하며 구안(口眼)이 왜사(歪斜: 한쪽으로 돌아가다)하고 아관(牙關)이 긴급(緊急: 꽉 깨물다)하며 언어(言語)가 건삽(蹇澁: 어둔하다)하고 실음(失音) 번란(煩亂: 번잡하다)하며 요두(搖頭: 고개를 흔들다) 토말(吐沫: 거품을 뱉다)하고 담연(痰涎)이 옹성(壅盛)하며 반신(半身)이 불수(不遂: 마비되다)하고 탄탄(癱瘓: 마비) 연약(軟弱: 힘이 빠지다)하며 근맥(筋脈)이 구련(拘攣: 굳다)하고 추축(抽搐: 경련) 계종(瘈瘲: 경련)하며 유뇨(遺尿) 실금(失禁)하는 등의 설(說)이 전혀 없으니, 이러한 등의 증후(證候)는 원래 풍사(風邪)의 외감(外感)이 아니라, 총체적(總)으로 혈기(血氣)의 내상(內傷)으로 말미암은 것(:뇌졸중 혹은 졸중풍)
풍(風)이 밖(:外)에서부터 들어가면 반드시 천(淺)에서부터 심(深)으로, 점진적(漸)에서 심(甚)하게 되면서, 표증(表證)이 있다. 표증(表證)이 있으면 비로소 소산(疏散)하여 치료(治)
내경([內經])과 월인(越人: 편작)에서부터 중경(仲景):
모두 외감(外感)을 풍(風)으로 말하였다.
화원화(華元化: 화타)과 소원방(:巢氏)의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손사막(:孫氏)의 천금방([千金方]) 송원(宋元)의 제가(諸家)
날이 갈수록 날로 상세(詳)하게 됨
그러나 시풍(是風: 외감의 상풍)과 비풍(非風: 내상의 중풍. 뇌졸중)의 의미가 혼란(混亂)
난경([難經]) 중경(仲景)
내상(內傷)의 풍(風)에 속(屬)하는 증(證)들을 모두 외감(外感)의 중풍(中風)이라고 인식(認)
중경(仲景)의 '와벽(喎僻)' '토연(吐涎)'의 두 증(證)은 내경([內經])의 제풍(諸風)에서 전혀 언급(言及)하지 않은 것으로, 중경(仲景)이 처음(:創)으로 말한 것
당송(唐宋) 이후에는 점차 중경(中經) 중혈맥(中血脈) 중부(中腑) 중장(中臟)의 설(說)이 있게 됨
그러나 내상(內傷)의 편고(偏枯) 기탈(氣脫) 졸도(卒倒) 궐역(厥逆) 등의 증(證)을 모두 중풍(中風)으로 인식(認)
학습목표
1. 중풍의 원래 의미
2. 뇌졸중 혹 졸중풍의 증상과 원인
3. 중풍의 역사적 의미 변천
◆ 풍사(風邪)가 사람에 중(中)하면 본래 모두 표증(表證)
혈기(血氣)의 내상(內傷)으로 말미암은 것(:뇌졸중 혹은 졸중풍)과는 다르다.
중경이 사기가 락 경 부 장에 있다고 말하므로
이후에 졸중풍에 대해 더욱 헷갈리게 전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