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승사자의 실수로 생긴 생거진천(生居鎭川) 사거용인(死居龍仁)의 유래
오해원
조회 수 6984 추천 수 22 댓글 7
https://www.fmkorea.com/6114837993 복사
충청북도 진천군과 경기도 용인시를 가리키는 표현 가운데
‘생거진천(生居鎭川) 사거용인(死居龍仁)’이라는 말이 있다.
살아서는 진천에 거하고, 죽어서는 용인에 거한다는 이 말의 유래에 대해 여러 설화가 전하는데 가장 유명한 설화는 추천석에 관한 이야기다.
옛날 진천에 ‘추천석’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그의 아내 옆에서 잠이 들었다가, 애절한 통곡 때문에 잠에서 깼다.
아내가 통곡하고 있었다. 그 옆에 자식들도 슬프게 울고 있었다. 추천석은 아내에게 “왜 그렇게 우느냐”고 물었는데, 아내는 그의 말을 듣지 못하고 계속 울기만 했다.
“우리를 두고 먼저 저 세상으로 가시면 어떻게 합니까?”라며 목 놓아 우는 아내를 보고서야 추천석은 자신이 죽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 때 저승사자가 들어와 추천석을 염라대왕 앞으로 데려 갔다.
염라대왕이 “어디서 왔느냐?”, “예, 저는 진천 사는 추천석이라 합니다.”
“뭐라고?” 염라대왕은 깜짝 놀랐다.
저승사자들이 용인의 추천석을 데리고 와야 하는데,
그만 실수해서 진천 사는 동명이인을 데려온 것이었다.
염라대왕은 이 사람을 돌려보내고, 용인의 추천석을 데려오라고 저승사자들에게 명령하였다.
추천석은 가족과 다시 만날 생각으로 진천의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이미 자신의 몸은 땅에 묻히고, 집에는 위패만 놓여 있었다.
추천석은 다시 자신의 몸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던 중, 용인에 사는 추천석의 몸을 빌릴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 용인의 추천석은 저승사자들이 데려간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로 용인으로 향했다. 용인 추천석의 영혼은 저승사자들이 데려갔지만, 다행히 몸에 약간의 온기가 남아 있고, 아직 장례를 치르기 전이었다.
그는 용인 추천석의 몸에 들어갔다. 용인 추천석의 가족들이 통곡하다가 꿈틀꿈틀 움직이는 추천석을 보고 놀라 “여보! 다시 살아났구려!” 반가워했다.
깨어난 그는 용인 추천석의 아내에게 지금까지 있었던 일을 모두 이야기했지만
가족들은 믿으려 하지 않았다.
다음 날, 진천 집으로 간 추천석은 아내를 보고 “여보, 나요. 내가 돌아왔소!” 했다.
아내는 왠 낯선 사람이 헛소리를 하니 이상해서 마을 사람들을 불렀다.
진천에서부터 따라온 추천석의 아내와 식구들은 뒤늦게 도착해
“남편이 미친 것 같다.”며 용서를 구했다. 추천석은 그간 사정을 모두 이야기했지만, 마을 사람들에게 매질을 당하고, 결국 관아로 끌려갔다.
고을 원에게도 그간의 사정을 모두 말하였다.
그러자 고을 원이 “이승에는 영혼이 아니고, 육체가 인정되니, 용인으로 가서 살라.”라는 판결을 내렸다. 결국 추천석은 용인으로 돌아와 용인 추천석으로 살았다.
이때부터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
다른 유래
위의 설화는 경기도 용인시와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같이 전승되며 가장 유명한 일화입니다.
영혼이 저승에 갔는데, 염라대왕이 돌아가라고 해서 다시 이승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몸이 매장되어 다른 사람의 몸으로 산다는 내용이다.
이는 영(靈)과 육(肉)이 분리된다는 죽음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한편 다른 유래들도 전한다.
진천군에 사는 처녀가 용인으로 시집을 가서 아들을 낳았는데, 남편이 그만 일찍 죽었다.
그래서 진천으로 돌아와 재혼을 해 거기서도 아들을 낳았다.
시간이 흘러 용인에서 낳은 아들이 어머니를 모시고자 하였으나, 진천에서 낳은 아들이 이를 반대하고, 고을 원이 “살아 있을 동안에는 진천에 의부가 있으니 거기서 살고, 죽은 이후에는 용인에서 모셔라.”고 판결해 주었다고 한다.
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