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영상 (2강~4강, 1주차는 3개의 강의)
강의 제목:
채널의 내용구성
그림책 읽기와 사고력 신장
그림책은 어떤 책인가(1)
핵심내용:
- 그림책은 아이들을 생각하게한다.
- 적극적으로 사고하는 능동적 존재이다.
- 아이들의 사고를 촉발하고, 촉진시킨다.
- 그림책의 글과 그림은 생각의 자료들이다. 생각의 자료들이 없으면 생각할 수 없다.
- 사고활동을 돕는 좋은 생각의 자료들이다.
- 그림책 읽기의 가장 요한 가치는 아이들의 사고력 증대이다.
-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합쳐져서 이야기를 전하는 책
- 이야기는 인간경험을 진술하는 것이다.
- 우리는 이야기를 들음으로써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게 된다.
- 그림책은 글, 그림, 글과 그림의 관계를 따지면서 읽어야 하는 책이다.
- 그림책은 반드시 그림을 읽어야 한다.
2. 도서: 아이의 말하기 연습 (신효원) (~67p) 핵심내용
1부 아무말 대잔치
1장 모든 것은 모국어에서 시작된다.
- 모국어에 많이 노출되어야 좋고 외국어를 잘하고 싶으면 모국어부터 잘해야함. 읽기 이해 능력과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언어적한계를 보임.
2장 아이를 성장시키는 부모의 말
- 언어는 환경의 영향을 받음. 환경에 따라 어휘량이 달라짐. 일상 속에서 얼마나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 함.
옹알이 시기에 아이의 발화를 구체적이고 정교하게 만들기 위해서 의도를 정리해서 부모가 복잡한 구조로 바꾸어 되물어야 함.
3장 아이의 말을 되물어 보며 말하기
- 아이의 말을 되물어 생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도움. 아이의 불분명한 발화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도움.
4장 아이는 새로운 말을 좋아한다.
- 새로운 언어자극을 줄 수 있는 방법: 책 읽기, 생활 속 대화(난이도 있는 단어사용, 의성어, 의태어, 반댓말), 단어 연상 게임
5장 아이와 아무 말 대잔치를 하는 이유
- 아무말 대잔치를 하는 이유 "창작" 아이들의 예쁜 말을 메모하거나 녹음해서 아이와 함께 이야기해보는 것을 권장
1) ' 아이의 말을 되물어 보며 말하기 ' 실천한것 한가지만 일화기록 하기
영아가 종이컵 안에 넣은 하마를 가져오며 "하마가 뭘 타고 있어" 라고 말한다. 교사는 "하마가 뭘 타고 있는거야"라고 되묻자 대답을 하지 않는다. 교사가 "종이컵을 타고 있나"라고 말하자 영아가 "종이컵을 타고 있어"라고 말한다. 교사가 "종이컵을 타고 어디를 가고 있어"라고 묻자 "집에 가"라고 답한다. 교사가 "집에 가서 뭐 할거야"라고 묻자 "집에 가서 장남감 놀이할 거야"라고 말한다.
2) ' 아이와 아무 말 대잔치 ' 실천한것 한가지만 일화기록 하기
기린 그림 카드를 보면서 교사가 "기린은 목이 길어, 달이도 길어"라고 말한다. 옆에 있던 대현이가 이야기를 듣고 가만히 있는다. 교사가 "기린은 커"라고 말하자 대현이가 기린모형을 블록 바구니에서 꺼내와 "이건 작아"라고 말한다. 교사가 "이건 왜 작아"라고 묻자 "아기 기린이라서 "라고 답한다. 교사가 "그럼, 선생님도 커"라고 묻는다. 대현이가 교사를 바라보며 가만히 있는다. 교사가 "대현이도 커"라고 묻자 망설이며 "커"라고 대답한다. 교사가 "대현이 엄마는"하고 묻자 "커"라고 바로 이야기 한다. 교사가 앞에 있는 정민이를 가리키며 "정민이는"하고 묻자 망설이며 "커"라고 대답한다.
3. 교실에서 그림책 읽기 실천 (제목과 대상연령)
대상연령: 만1세 별솔반
월: 두드려 보아요.
화: 엄마처럼 입어요.
수: 알록달록 색깔 친구들
목: 누가 내 머리 위에 똥 쌌어?
금: 새로운말 따라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