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적지 |
유적개요 |
체험활동 |
연천 전곡리 |
아슐리안 석기 형태를 갖춘 주먹도끼와 박편도끼가 동아시아에서 처음 발견됨 |
(가) |
서울 암사동 |
한강변에 위치하며, 원형 혹은 귀퉁이를 없앤 사각형의 움집이 다수 발굴됨 |
(나) |
여주 흔암리 |
구릉 경사지에 반움집 형태의 주거지를 형성하였으며 탄화된 쌀이 발견됨 |
(다) |
강화 부근리 |
높이 2.6m 덮개돌의 추정 무게 약 50톤 이상의 탁자식 고인돌을 비롯한 여러 기의 고인돌이 있음 |
(라) |
① (가) 돌을 갈아서 돌도끼 만들기
② (나) 반달 돌칼로 벼 이삭 따기
③ (다) 흙을 빚어 그릇 만들기
④ (라) 쇠쟁기로 밭 갈기
정답 : ③ - 출처 : 황제국사 p46 청동기 시대
③ 여주 흔암리 - 청동기 시대 쌀농사의 증거 유적, 청동기 시대에서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① 연천전곡리 - 구석기유적, 돌을 갈아서 만든 돌도끼는 신석기시대의 간석기이다. ② 서울암사동 - 신석기 유적, 반달돌칼은 청동기 시대 대표적인 석기 농기구이다. ④ 강화 부근리 - 탁자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대표적 무덤이다. 쇠쟁기는 철로 만든 것으로 철기시대 농기구이다.
2015 - 법원서기보 - 2. 다음 중 한반도에서 청동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전했음을 보여 주는 유물은?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50 철기시대
철기시대 독자적인 청동기가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거푸집,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이다. ① 명도전 - 중국 제와 연나라의 돈으로 중국과 교류한 증거 ③ 비파형 동검 - 북방식 청동기 ④ 반량전 - 중국 진라라의 화폐로, 중국과 교류한 증거
2015 - 법원서기보 - 3. 다음 자료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탐구 주제로 가장 옳은 것은?
• 원종 10년에 설치하였는데 사, 부사가 있었다. • 충렬왕 14년에 설치하였고, 27년에도 설치하였다. • 공민왕 원년에 다시 설치하였다. • 우왕 7년에 또 한번 설치하였고, 14년에도 두었다. |
① 정방의 설치와 폐지 과정
② 전민변정사업의 실시와 반발
③ 정동행성 이문소의 횡포와 폐지
④ 관제 격하와 문종대 관제로의 복구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273 원간섭기 개혁정치
전민변정도감은 권문세족이 불법적으로 점탈한 토지를 원주인에게 반환시키고, 불법으로 노비가 된 자를 양민으로 환원시키기 위해 설치한 기구이다. 원종, 충렬왕, 공민왕, 우왕때 설치와 폐지가 연속되었다. ① 정방 - 최우가 만든 인사기구로, 원간섭기 권문세족이 장악하였고, 충선왕과 공민왕때 폐지 ② 정동행성 이문소 - 정동행성을 부속기구인 이문소는 원래 사법기구인데 내정간섭기구로써 운영되다가 공민왕에 의해 폐지되었다. ④ 충렬왕때 고려가 원의 부마국이었기 때문에 관제가 부마국의 지위로 격하되었다가 공민왕때 몽골풍이 폐지되고, 관제가 복구(문종 때) 되었다.
2015 - 법원서기보 - 4. 다음과 같은 무덤 양식에 관한 서술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내부에 무용도, 수렵도, 사신도와 같은 벽화가 남아있다.
② 무령왕릉이로 추정되는 묘지석이 이러한 양식의 무덤에서 나왔다.
③ 백제 건국 세력이 고구려와 관계 있음을 보여주는 무덤 양식이다.
④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이름 붙은 무덤도 이러한 양식이다.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p179 신라의 미술 - 고분
사진은 신라 마립간 시기를 대표하는 무덤인 돌무지 덧널무덤이다. 돌무지 덧널무덤은 지석(묘지석)이 발견되지 않아 무덤의 주인(피장자)을 모르기 때문에 발견된 대표적인 유물로 이름을 부여한다. 대표적인 무덤이 천마총으로 항상 출제가 되는 내용이다.
2015 - 법원서기보 - 5. 다음 지도의 (가)~(라)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벽화 제작 기법
② (나) 오경박사 파견
③ (다) 스에키 토기에 영향
④ (라) 왜관을 통해 전파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p196 고대문화의 일본 전파
④ 왜관은 조선시대일본인의 입국 및 교역을 위하여 설치하였던 장소로, 사관(使館) 및 상관(商館)의 기능을 담당하던 곳이다. ① 고구려 - 영양왕때 담징은 일본에 가서 법륭사(호류사) 금당 벽화를 그렸다. ② 백제의 오경박사(五經博士) · 역박사(易博士) ·역박사(曆博士) ·의박사(醫博士) 등과 같이 일본에 초빙되어 일본 상대(上代)의 문명을 계발(啓發)하고 지도하여 일본의 문화발전에 기여하였다. ③ 가야의 토기기가 일본의 스에키 토기에 영향을 주었다.
2015 - 법원서기보 - 6. (가), (나)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 홍범 14조를 반포하는 임금
② (가) 전차 안에서 제국신문을 읽고 있는 학생
③ (나) 단발령 철회를 논의하는 관리들
④ (나) 만민공동회에서 상권 수호 구호를 외치는 상인
정답 : ③ - 출처 : 황제국사 p661, 664, 667 개화기 순서문제
을미사변 (1895. 10) |
(가) |
아관파천(1896. 2) |
(나) |
황제즉위식 (1897. 10) |
① 홍범 14조 - 1894. 12 ② 전차 개통 - 1899, 제국신문 - 1898~1910 ③ 아관파천기 을미개혁의 내용을 옛날로 되돌려 놓았다. 단발령 폐지, 음력의 부분적 사용, 내각제 폐지, 의정부 제도의 복구, 행정구역의 환부(23부 → 13부) ④ 만민공동회 - 1893. 3
2015 - 법원서기보 - 7. (가)~(라)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도서 출판 계획> - 제목 : 역사의 라이벌 - 목차별 내용
|
① (가) 서경 천도를 둘러싸고 대결하였다.
② (나) 청에 대한 외교노선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③ (다) 개화의 속도와 범위 문제에 대해 의견을 달리 하였다.
④ (라)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의 결정지지 여부를 놓고 대립하였다.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p855 모스크바 3상회의
④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안의 핵심은 한반도를 미영소중 4개국이 최고 5년 동안 신탁통치를 한다는 것이었다. 신탁통치를 두고 좌익은 찬탁을 주장하다 반탁으로, 우익은 반탁운동을 하였다. 이승만과 김구 모두 반탁을 주장하였다.
2015 - 법원서기보 - 8. (가), (나) 시기의 사이에 있었던 사실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을지문덕은 평양으로 직접 쳐들어오려는 수의 30만 대군을 청천강 부근에서 궤멸시키며 대승을 거두었다. (나) 당 태종은 10만명의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하였다. 고구려는 요동성을 비롯한 여러 성을 빼앗기고 곤경에 처하였으나, 안시성 전투에서 승리하여 당군을 물리쳤다. |
<보기> ㄱ.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였다. ㄴ. 고구려는 요동 지방에 천리장성을 쌓기 시작하였다. ㄷ. 고구려는 말갈 세력과 손잡고 요서를 먼저 공격하였다. ㄹ. 장군 온달이 죽령 이북의 땅을 되찾고 신라를 압박하였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ㄷ, ㄹ
정답 : ① - 출처 : 황제국사 p 99 삼국통일전쟁
(가) 수 양제의 2차 침입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 612년, (나) 당 태종의 침입, 안시성 전투 - 645년
ㄱ. 642년 대당 강경파인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폐하고 보장왕을 세웠다. ㄴ. 천리장성 - 631~648 ㄷ. 영양왕의 선제공격 - 598년, ㄹ. 영양왕 원년 590년
2015 - 법원서기보 - 9. 다음의 형벌제도가 시행되고 있던 시기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 감찰하는 관리 자신이 도적질하거나 감찰할 때에 재물을 받고 법을 어긴 자는 도형(도형(徒刑))과 장형(장형(杖刑))으로 논하지 말고 직전(직전(職田))을 회수한 다음 귀향시킨다. - 승인(僧人)으로 사원의 미곡을 훔친 자는 귀향시켜 호적에 편제한다. - 관가의 물품을 무역한 자는 귀향형을 제외하고는 법에 따라 단죄한다. |
① 노론과 소론의 대립으로 환국이 일어났다.
② 사위와 외손자에게도 음서의 혜택이 주어졌다.
③ 지방에서 성주, 장군이라 자칭한 세력이 일어났다.
④ 법전에 의해 형벌과 민사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였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297 고려의 법률과 풍습
사료에서는 죄를 지은사람에 대한 처벌규정이 나왔는데, 귀향형이 이 사료의 핵심이다. 고려시대 5형중 하나인 유(유배)는 본관지역으로 귀향을 가는 것으로, 조선시대 귀양과는 다르다. 이문제를 고려시대를 묻는 문제이다. ② 고려시대는 모계를 인정하고, 여성의 지위가 높았기 때문에 사위와 외손자에게도 음서의 혜택이 주어졌다. ①④ 조선시대 ③ 통일신라 하대 - 호족
2015 - 법원서기보 - 10. (가), (나)의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가) 후세 임금들은 천명을 받아 임금의 자리에 오른 만큼 그 책임이 지극히 무겁고 지극히 크지만, 자신을 다스리는 도구는 하나도 갖추어지지 않았습니다. · · · · 바라옵건데 밝으신 임금께서는 이러한 이치를 살피시어, 먼저 뜻을 세워 “노력하면 나도 순임금처럼 될 수 있다.” 라고 생각하십시오. - 성합십도 - (나) 제왕의 학문은 기질을 바꾸는 것보다 절실한 것이 없고, 제왕의 정치는 정성을 다해 어진 이를 등용하는 것보다 우선하는 것이 없을 것입ㄴ다. 기질을 바꾸는 데는 병을 살펴 약을 쓰는 것이 효과를 거두고, 어진 이를 쓰는 데는 상하가 틈이 없는 것이 성과를 얻습니다. - 성학집요 - |
① 급진적인 사림의 정치 참여로 사화를 촉발하게 되었다.
② 사림의 정치적 대립을 격화시켜 반정과 환국을 초래하였다.
③ 이기론의 탐구보다는 의리와 명분의 실천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④ 사림의 성장을 바탕으로 성리학적 통치이념이 강화되었다.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p509 이황과 이이
사료의 성학십도(이황), 성학집요(이이)는 성학군주론과 관련된 책으로, 사림세력이 임금(선조)에게 성리학적 통치이념을 강조하는 군주 지침서와 같은 서적이다.
2015 - 법원서기보 - 11. 다음 (가), (나)가 모두 보편화 되었던 시기의 모습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서당 교육이 보급되어 서민 의식이 성장하였다.
②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이 제작되었다.
③ 민간업자가 광산 경영에 참여하여 부를 누리기도 하였다.
④ 특산물 대신 쌀, 무명, 삼베 동전 등을 바칠 수 있게 되었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가) 모내기를 하는 풍속화 - 조선후기 (나) 상평통보 - 조선후기 전국적으로 유통된 화폐 ② 직지심체요적 - 1377년 고려 우왕때 청주 흥덕사에서 찍은 현존하는 가장오래된 금속화자본 ① 사립 초등학교에 평민들이 들어가서 교육을 받았다. ③ 물주란 대상인이 광산에 자본금을 대고, 덕대란 광산경영전문가가 운영하는 덕대제라는 자본주의적 광산운영방식이 등장하였다. ④ 대동법 - 광해군
2015 - 법원서기보 - 12. 다음에서 밑줄 친 주장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중구을 섬겨 온 것이 2백여 년이다. 의리로는 군신이며, 은혜로는 부자와 같다. 임진년에 입은 은혜는 만세토록 잊을 수 없다. · · · · 광해군은 배은망덕하여 천명을 두려워하지 않고, 속으로 다른 뜻을 품고 오랑캐에게 성의를 베풀었다. |
① 청을 정벌하자는 북벌 운동 추진
② 여진에 강경책과 회유책을 동시에 추구
③ 만동묘 철폐를 비롯한 서원 정리 추진
④ 통신사 파견을 통한 문화전파 역할 담당
정답 : ① - 출처 : 황제국사 p418 효종과 북벌
임진왜란때 입은 명에 대한 은혜를 갑자는 존화양이 친명파들의 주장이다. 병자호란때 오랑캐인 청에 당한 원수를 갚고, 명을 멸망시킨 복수를 하자는 북벌이 추진되었다. ② 조선 전기 사대교린 정책 ③ 흥선대원군의 왕권강화책 ④ 조선후기 일본과 문화적 교류
2015 - 법원서기보 - 13. (가)~(다) 통치 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 시정을 논하여 바르게 이끌고, 모든 관원을 살피며, 풍속을 바로 잡고, 원통하고 억울한 일을 밝히며, 건방지고 거짓된 행위를 금하는 등의 일을 맡는다. (나) 임금에게 간언하고, 정사의 잘못을 논박하는 직무를 관장한다. (다) 궁궐 안에 있는 경적(經籍)을 관리하고, 문서를 처리하며, 왕의 자문에 대비한다. 모두 경연을 겸임한다. - 경국대전- |
① (가)는 발해의 중정대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② (나)가 하였던 일을 고려 시대에 담당한 기관은 삼사였다.
③ (다)는 집현전을 계승하여 설치하였으며 옥당으로 일컬어졌다.
④ (가), (나), (다)는 왕권의 독주와 권신의 대두를 막는 역할을 하였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360 조선 중앙통치체제
(가) 사헌부 (나) 사간원 (다) 홍문관 ② 고려의 삼사는 전곡의 출납에 관한 회계기구였다. ① 발해 중정대는 감찰기구이다. ③ 홍문관은 성종 때 집현전을 계승하여 설치된 학술연구기구이다. ④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은 3사로 불리는 기구로, 왕권과 신권을 견제했던 권력견제기구이다.
2015 - 법원서기보 - 14. 다음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왕에게 유교 경전과 서서를 가르쳐 유교의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었다. 강의는 매일 아침에 실시하는 것(조강(朝講))이 원칙이었으며, 주강(주강(晝講))과 석강(석강(夕講))을 포함하여 세 번 강의하던 시기도 있었다. 교재는 4서 5경과 역사 및 성리학 서적이었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관원이 이를 담당하였다. |
① 세조에 의하여 크게 활성화되었다.
② 조선 시대에 들어서 처음 도입되었다.
③ 집현전 학사들이 강의를 맡던 시기도 있었다.
④ 전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였다.
정답 : ③ - 출처 : 황제국사 p361 조선의 중앙 통치체제
사료는 경연에 대한 사료이다. 경연은 왕권 견제책으로, 관료들이 왕에게 경(經)과 사(史)를 가르치는 제도였다. ③ 홍문관원이 주로 강의를 맡았는데, 홍문관이 세워지기 전인 세종때 집현전 학사들이 주도하였다. ① 세조는 경연을 폐지하였다. ② 고려 예종때 중국에서 이제도를 도입하였다. ④ 왕권을 견제하기위한 장치로 도입되었다.
2015 - 법원서기보 - 15.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적선이 바다를 덮어오니 부산 첨사 정발은 마침 절영도에서 사냥을 하다가, 조공하러 오는 왜라 여기고 대비하지 않았는데 미처 진에 돌아오기도 전에 적이 이미 성에 올랐다. 이튿날 동래부가 함락되고 부사 송상현이 죽었다. (나) 정주 목사 김진이 아뢰기를, “금나라 군대가 이미 선천·정주의 중간에 육박하였으니 장차 얼마 후에 안주에 도착할 것입니다.” 하였다. 임금께서 묻기를, “이들이 명나라 장수 모문룡을 잡아가려고 온 것인가, 아니면 전적으로 우리나라를 침략하기 위하여 온 것인가?”하니, 장만이 아뢰기를, “듣건대 홍태시란 자가 매번 우리나라를 침략하고자 했다고 합니다.” 하였다. |
① 임시 기구로 비변사를 설치하였다.
② 사화가 일어나 사림이 피해를 입었다.
③ 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이 운영되었다.
④ 광해군의 정책에 반발하여 반정이 일어났다.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p414 조선후기 당쟁 - 인조정권
(가) 임진왜란 - 동래성 전투(1592. 4), (나) 정묘호란(1627) ④ 인조반정 - 1623년 광해군을 폐위하고, 능양군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① 비변사 설치 - 중종, 삼포왜란 ② 사화 - 16세기 연산군, 중종, 명종 ③ 영조 - 완론탕평
2015 - 법원서기보 - 16. 다음과 같은 강령으로 활동했던 운동 세력에 관한 서술로 옳은 것은?
첫째, 사람을 함부로 죽이지 말고 가축을 잡아먹지 말라. 둘째, 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 셋째, 일본 오랑캐를 몰아내고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는다. 넷째, 군사를 몰아 서울로 쳐들어가 권신귀족을 모두 제거한다. - 정교<대한계년사>- |
① 진주에서 시작되어 함경도 일대까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② 정부에 지조법 개혁을 요구하여 교정청을 통해 실시되었다.
③ 남접세력이 우금치에서 다시 봉기함으로써 청일전쟁을 유발하였다.
④ 전주에서 해산한 후 집강소를 설치하고 행정과 치안을 담당하였다.
정답 : ④ - 출처 : 황제국사 p 644 동학농민운동
사료는 동학농민군의 4대강령(4대명의)이다. 전주화약으로 인해 동학농민군이 해산되었고, 전라도 일대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통치하였다. ① 임술농민봉기 - 1862, 철종 ② 지조법개혁 - 갑신정변때 신정부 강령, 교정청 - 전주화약이후 정부가 일련의 개혁을 위해 설치 ③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일전쟁을 일으키자 동학 농민군은 2차 봉기를 일으켰다. 2차 봉기때는 북접의 손병희도 참여하였으나 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전투에서 일본군과 관군, 민보군 연합군에 패배하였다.
2015 - 법원서기보 - 17. 다음 지도의 (가)~(라)국가에 관한 서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내지 통상권을 획득하여 일본을 경제적으로 압박하였다.
② (나) 석탄 저장고를 확보하기 위해 절영도를 조차하고자 하였다.
③ (다) 강화도 조약을 통해 치외법권과 최혜국 대우를 보장받았다.
④ (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일본과 동맹을 체결하였다.
정답 : ③ - 출처 : 황제국사 p674 개항 후 제국주의 경제침탈
(가) 청 (나) 러시아 (다) 일본 (라) 영국 ③ 강화도 조약에서는 최혜국 대우를 인정하지 않았다. 처음으로 최혜국 대우를 받은 것은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미국이다. 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에서 청상인은 내지 통상권을 획득하여 청상인들이 일본상인을 압박하게 되었다. ② 러시아 - 1897년, 부산 절영도 저탄소 설치권 ④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막기위해 영국은 일본과 동맹을 체결하였다.
2015 - 법원서기보 - 18. 해방이후 건국 관정을 시대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개최 ㉣ UN소총회 결의에 따른 총선거 실시 |
① ㉠㉡㉢㉣ ② ㉡㉢㉠㉣ ③ ㉢㉣㉡㉠ ④ ㉡㉣㉢㉠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844 대한민국 건국과정
㉡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 1945. 9. 6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개최 - 1945. 12 ㉠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 1946. 10 ㉣ UN소총회 결의에 따른 총선거 실시
2015 - 법원서기보 - 19. 다음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1886년 우리나라에 왔다. 을사늑약 사건 후 고종의 밀서를 휴대하고 미국에 가서 국무장관과 대통령을 면담하려 했으나 실현하지 못하였다. 1906년 다시 내한하였으며, 고종에게 헤이그에서 열리는 제2차 만국 평화회의에 밀사를 보내도록 건의하였다. 그는 이상설 등 헤이그 특사보다 먼저 도착하여 ‘회의시보’에 한국 대표단의 호소문을 싣게 하는 등 한국의 국권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 |
① 대한매일신보의 발행인이었다.
② 육영공원의 교사로 초빙되었다.
③ 광혜원의 설립에 깊이 관여하였다.
④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인 고문이었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695 근대교육
사료의 인물은 헐버트이다. 1886년부터 5년간 육영공원에서 영어교사였다. <사민필지>를 편찬하였다. 1905년과 1907년 고종의 밀사로 을사조약의 부당성을 미국과 유럽국가(네덜란드 헤이그 특사)에 알리는 일을 맡았다. 해방 후 한국에 왔다가 세상을 떠나 서울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묻혔다. ① 베델 ③ 알렌 ④ 묄렌도르프
2015 - 법원서기보 - 20. 밑줄 친 ‘혁신정강 14개조’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급진 개화파는 우정총국 낙성 기념 축하연을 이용하여 정변을 개시하였다. 이후 급진 개화파는 국가 전반의 개혁정책을 담고 있는 혁신정강 14개조를 공포하였다. |
① 토지는 평균으로 나누어 경작하게 할 것.
② 국내외의 공사 문서에는 개국 기원을 사용할 것.
③ 문벌을 폐지하고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하고 능력에 따라 관리를 등용할 것.
④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조약은 각 대신과 중추원 의장이 합동 날인하여 시행할 것.
정답 : ③ - 출처 : 황제국사 p639 갑신정변
갑신정변때 급진개화파의 개혁안이었던 신정부 강령14개조를 묻고 있다. ③ 신정부 강령중 하나이다. ① 동학농민운동 - 폐정개혁안 ② 1차 갑오개혁 ④ 헌의 6조
2015 - 법원서기보 - 21. 다음은 정부가 발표한 통일 관련 선언문이다. 이에 관한 서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 쌍방은 다음과 같은 조국 통일 원칙들에 합의를 보았다. 첫째,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 통일은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셋째, 사상과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나) 1.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 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 |
① (가) 발표 직후, 긴급조치권이 포함된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② (나)는 남북한 정부 간에 최초로 공식 합의한 남북 기본합의서이다.
③ (나) 이후 남북한 이산가족 간의 서신 교환이 실시되었다.
④ (가)와 (나) 사이에 해로를 통한 금강산 관광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936 통일을 위한 노력
(가) 1972년 7월 7·4남북공동성명 (나) 2000년 6·15공동성명 ② 남북 기본합의서 - 1991년 12월 ① 7·4남북공동성명 이후 박정희 정권은 유신헌법을 발표하여 독재권력을 연장하였다. ③ 2001.3.15 : 판문점을 통해 이산가족 서신교환(각 300통) 실시. ④ 1998년 10월 금강산 관광 시작(해로)
2015 - 법원서기보 - 22. 위정척사운동을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때, (가)~(라)에 들어갈 인물과 활동 내용이 맞는 것은?
① (가) : 최익현 - 일본의 세력 확대에 맞서 척화주전론을 주장하였다.
② (나) : 이항로 - 미국 및 러시아와의 수교를 모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③ (다) : 이만손 - 조선책략의 유포에 반대하고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④ (라) : 신돌석 - 평민 의병장으로서 일월산을 근거로 유격전을 펼쳤다.
정답 : ③ - 출처 : 황제국사 p712 위정척사운동
(가) 이항로, 기정진 - 통상반대운동 (나) 최익현 - 개항반대운동 (다) 이만손, 홍재학 - 개화반대운동 (라) 을미의병 - 유인석, 이소응 ③ 민씨정권의 개화정책과 조선책략에 반발하여 남인 유행 이만손은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①② 척화주전론 - 이항로는 프랑스와 통상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전쟁을 주장하였다. 미국은 1882년, 러시아는 1884년 조약체결로 시기상 다르다. 최익현 - 왜양일체론을 주장하면서 강화도 조약체결을 반대하였다. ④ 신돌석 - 1905년 을사의병이다.
2015 - 법원서기보 - 23. 다음과 같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었을 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 주석 : 김구 - 부주석 : 김규식 - 국무위원 : 이시영, 조성환, 조소앙 ··· 김원봉, 김성숙 |
①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 강령이 공포되었다.
② 국내 정진군을 통한 국내 진입 작전이 추진되었다.
③ 조선 의용대원의 일부가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었다.
④ 의열 활동 전개를 위하여 한인 애국단이 조직되었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759 대한민국 임시정부
1944년 임시정부 5차개헌에 의해 주석·부주석 체제가 구성되었다. ② 미국의 첩보 전략 기구인 OSS와 연합하여, 특수 훈련까지 받고 비행대를 동원하여 1945년 9월 국내 진입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일본군의 무조건 항복으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① 1941년 - 대한민국 건국강령 발표 ③ 1942년 김원봉의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에 편입 ④ 한인애국단 - 1931년
2015 - 법원서기보 - 24. 다음 각 시기의 경제에 관한 서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무상 몰수, 유상 분배 방식의 농지개혁법이 실시되었다.
② (나) 미국으로부터 브라운 각서를 통한 경제 지원을 약속 받았다.
③ (다) 중화학 공업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수출액이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④ (라) 자유 무역이 확대되는 가운데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위기를 맞았다.
정답 : ① - 출처 : 황제국사 p869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
① 유상몰수, 유상분배의 농지개혁 실행 - 1950년 6월 ② 브라운각서 - 1966년 ③ 중화학 공업 - 1970년대, 100억달러 수출달성 - 1977년 ④ WTO 출범(1995)과 IMF 사태(1998)
2015 - 법원서기보 - 25. 조선시대 관리 등용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권력의 집중과 부정을 막기 위하여 상피제를 마련하였다.
② 음서 출신은 문과 합격자보다 고관으로 승진할 수 있었다.
③ 재가한 여자의 아들과 손자, 서얼은 문과에 응시할 수 없었다.
④ 과거에 응시하지 않아도 취재를 통해 하급 실무직에 임명될 수 있었다.
정답 : ② - 출처 : 황제국사 p378 과거제도
조선시대는 음서보다 과거(문과)출신자가 더욱 우대되어 고관에 승진되었다. 조선시대 음서는 고려시대보다 축소되어 시행되었다.
황제국사 홈페이지. : 무료제공 | |
|
현창원 필기노트 음성강의 무료제공 사료특강 무료 제공
|
누가 그러더라. 세상에서 제일 폭력적인 말이 남자답다. 여자답다. 의사답다. 학생답다. 이런말들이라고,
그냥 다 처음 살아본 인생이라서 서툰 건데, 그래서 안쓰러운건데, 그래서 실수 좀 해도 되는 건데
공부라는 것도 처음이라 서툴러서 잘 안되는 것이지요?
현쌤이 서투르지 않게 바른 길을 인도 하도록 하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