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사 | 학생 | |
1. 신문기사를 꼼꼼이 읽어 보았는가요? 우선 재판에서 누가 이기고 누가 졌는가요. | 학생1 | 국가가 이기고 이모씨가 졌어요? 선생님. 원고가 무엇이고 일부승소는 무엇을 뜻한가요? |
2. 민사소송에서 소송을 제기한 쪽을 원고(原告), 소송을 제기당한 쪽을 피고(被告)라고 해요. 소송에서 이기면 승소(勝訴), 지면 패소(敗訴)라고 하는데 일부승소는 전부가 아닌 일정부분에서만 이겼다는 뜻이에요. 기사는 어떤 내용인가요? | 학생2 | 법원이 일제에 협력한 이해승의 손자 이모(75)씨에게 228억을 국가에게 반환판결(返還判決)을 했다는데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어요. |
3. 과거 일제 강점기(1910~1945)에 일본 제국주의에 협력한 대가로 얻는 이득을 반환하리는 이야기에요. 그런데 법원은 왜 반환을 판결했을까요? | 학생3 | 친일 후손이 얻은 이익은 부당이익이기 때문에 반환하라고 했는데 부당이익(不當利得)은 무엇인가요? |
3. 부당이득은 어려운 법률용어로 법률상 원인 없이 다른 사람의 재산이나 일로 인하여 얻은 이득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서 대가없이 얻은 이득을 말해요. 법원은 판결(判決)은 무엇인지 누가 말해 볼까요? | 학생4 | 판결은 법원이 다툼이 있는 법적 분쟁에 내리는 결정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선생님. 왜 국가는 반환소송을 하는가요? |
4. 이미 지난 일이지만 그릇된 역사를 바로 잡고 친일후손들이 얻는 부당이득을 되찾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오래 지나서 국가가 친일후손들이 이익을 환수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 볼까요. | 학생5 | 저는 아버지에게 들었는데 친일한 조상들은 나쁘지만 그 책임을 후손들에게 묻는 것은 법치주의에 반한다고 하셨는데 법치주의(法治主義)가 무엇인가요?. |
5. 법치주의(法治主義)는 법에 의한 지배나 통치를 말하고 모든 것이 법에 합당해야 하는데 과거의 일을 지금 들추는 것은 법치주의에 어긋난 면이 있지만 특별법에 의해서 하는 경우는 인정되고 또 국민감정에도 맞기 때문이예요. 국가의 성립요건이 무엇인지 아는 학생 있어요? | 학생6 | 제가 언니한테 들었는데 국가가 존재하려면 영토, 국민, 주권과 정부가 있어야 한다고 했어요. 선생님 그러면 이씨는 국가에 당장 228억2천여만원을 반환해야 한가요? 아니면 거부할 수 있는가요? |
이씨는 법원판결에 불만이 있으면 상소(上訴)할 수 있으며 상소도 하지 않고 반환도 하지 않으면 강제집행을 당하게 되요. | 학생7 | 선생님, 상소(上訴)가 뭐고 강제집행(强制執行)은 뭐예요. |
상소(上訴)는 하급법원의 판결에 불복이 있을 때 상급법원에 재심을 요구하는 것인데 상소는 1심판결에 불복하는 항소(抗訴)와 2심판결에 불복하는 상고(上告)로 나누어져요. 강제집행은 법원의 판결을 따르지 않을때 법원이 강제로 판결내용대로 집행하는 것을 말해요. 너무 이야기가 길어 졌는데 여러분은 이 판결을 보고 무엇을 느꼈어요? | 학생8 | 저는 당연한 결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독립운동가도 있는데 일본에 협력해 얻는 것은 당연히 환수해야 해요. |
학생9 | 저는 이씨가 억울하다고 봐요.제가 그 경우라면 너무나 억울할 것 같아요 | |
학생10 | 저는 일본도 미운데 친일파와 후손들은 더 미워요. 많은 백성들이 나라를 잃고 어려울 때 친일하면 호의호식하고 땅도 얻었으니까 국가가 잘 한 것이라고 봐요. | |
사람마다 생각은 다를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다시는 우리의 주권(主權)을 빼앗기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각자 기사를 요약하고 소감을 써 볼까요? | 학생 모두 | 네. |
2. 용어 설명
일제(日帝) : 일본 제국(the Japanese Empire). 일본제국주의(the Japanese imperialism)
반환(返還) : ① 도로 돌려줌. 반려(返戾) ②되돌아오거나 되돌아감
부당이득(不當利得) :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 또는 노무로 인하여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하는 것(민법 제741조)
종친(宗親) : ① 임금의 친족. 종실(宗室) ② 동성동본(同姓同本)으로 유복친(有服親)안에 들지 않는 일가붙이
후작(侯爵) : 5등작(五等爵)의 둘째 작위(공작 아래 백작 위).
부동산(不動産) : 동산 이외의 물건
수용(收用) : 공공의 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강제취득. 국가나 공공 단체가 공공사업이나 기타 공공 목적을 위하여 개인의 특정한 재산권을 법률에 의거하여 강제로 취득하는 일 및 그 제도. 공용수용의 준말.
귀속(歸屬) : 재산, 권리 또는 영토 같은 것이 어떤 사람이나 단체・국가 등에 속하여 그의 소유가 됨.
작위(爵位) : 오등작(五等爵)에 속하는 벼슬 또는 그 지위
추정(推定) : 추정한다는 어느 쪽인지 증거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에 일응 그러리라고 판단을 내려 놓는 것을 말하고 추정은 당사자가 반대증거를 제출할 경우에는 추정은 깨진다. 반면에 본다(간주한다)는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분쟁을 방지하고 법률적용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령으로 그렇다고 의제(擬製)하는 것을 말한다. 간주되는 것은 법령상 확정된 것이므로 반대증거를 제출하더라도 깨지지 않는다.
3. 오등작(五等爵, 귀족의 계급)
순서 | 남성 | 여성 |
1. 공작(公爵) | duke | duchess |
2. 후작(侯爵) | marquis, marquess | marchioness |
3. 백작(伯爵) | earl(영국), count(다른 나라) | countess |
4. 자작(子爵) | viscount | viscountess |
5. 남작(男爵) | baron | baroness |
2. ‘배첩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홍종진씨 자격 논란
2014.02.07 01:32
문화재청이 지난달 2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02호 ‘배첩장(褙貼匠)’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홍종진(洪鍾鎭, 1953~60)씨의 자격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배첩장은 글씨나 그림에 종이·비단 등을 붙여 족자·액자·병풍 등을 만드는 서화보존 기능을 가진 장인을 말한다. 공식 지정되면 두 번째 배첩장 보유자가 된다. 홍씨가 배첩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데는 1966년 입문한 뒤 47년간 이의 보존·전승에 힘써왔다는 점 등이 고려됐다.
하지만 이 분야 관계자들은 홍씨의 이력과 심사과정 등에 이의를 제기하며 재심을 요구하고 있다. 배접 관련 단체인 한국표구협회(회장 손용학)는 지난 4일 나선화 문화재청장에게 재심 요청서를 보냈다. 이에 따르면 4명의 심사위원 가운데 전문가는 문화재학을 전공한 1명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섬유패션디자인, 임학, 임산생명공학 등 전통배접과는 무관해 공정성이 없다는 것이다.
홍씨는 현재 배첩장 보유자(중요무형문화재 제102호, 1996년)인 김표영(金杓永.1925.11.10∼ 88세)에게 기능을 이수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김씨의 제자인 A씨는 “홍씨가 1988년부터 2002년까지 김씨의 공방에서 작업과정을 사진 촬영하는 것을 몇 차례 본 적은 있지만, 홍씨가 직접 표구 작업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그는 당시 작업에 참여할 기술도 안 되는 수준이었다”고 증언했다.
표구협회는 “홍씨가 1999년 충북지방무형문화재 신청서에 처음 배접을 배운 스승이 표구사를 운영하던 윤병세(尹秉世)라고 적었으나 열 살 때 이미 사망한 사실을 알고 이번 신청서에는 윤씨의 동생 윤병의윤병의(尹秉宜)라고 고쳐 적었다”며 “이는 명백한 허위기재”라고 주장했다.
문화재청은 “모든 절차는 공정하고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문화재위원회는 홍씨에 대한 최종 심의를 20일까지 하게 된다.
이광형 선임기자 ghlee@kmib.co.kr
교사 | 학생 | |
1. 이 기사의 요점은 무엇인가요? | 학생1 | 2013년 1월 2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02호 ‘배첩장(褙貼匠)’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홍종진(60)씨의 자격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
2. ‘배첩장(褙貼匠)’ 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문화재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요? | 학생2 | 잘 모르겠어요. 문화재가 무엇인지 선생님께서 설명해 주세요. |
3.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 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과 민속문화재를 말합니다. | 학생3. | 선생님 그러면 중요무형문화재는 무엇인가요? |
4. 중요무형문화재는 문화재 보호법 제24조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문화재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무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지정한 무형 문화재를 말합니다. | 학생4. | 선생님 배첩장(褙貼匠)과 배첩(褙貼)은 무엇인가요? 기사로 나와 있어도 잘 이해가 안가요 |
5. 배첩장(褙貼匠)은 글씨나 그림에 종이·비단(緋緞) 등을 붙여 액자(額子)・병풍(屛風)・족자(簇子)・장정(裝幀)・고서화 처리(古書畵處理)등을 하는 서화보존(書畵保存) 기능을 가진 장인(匠人)을 말합니다. 배첩(褙貼)은 서화(書畵)를 종이나 비단 등을 써서 액자(額子)・병풍(屛風)・족자(簇子)・장정(裝幀)으로 만들거나 고서화 처리(古書畵處理)하는 일로 중국에서 장황(裝潢), 표배(裱褙), 우리나라는 장배(裝褙), 장표(裝裱), 배첩(褙貼)이리고 했고 표구(表具)는 일본식 표기입니다. | 학생5 | 표구(表具)가 일본에서 들어온 말이고 배첩(褙貼) 등은 우리가 쓰는 표현이지만 어렵네요. 액자와 병풍은 들어 보았는데 족자(簇子)는 처음이라서 생소해요. 선생님 족자(簇子)는 무엇이며 장인(匠人)은 어떤 사람인가요? |
5. 족자(簇子)는 서화를 벽면에 걸어서 감상할 수 있도록 비단과 종이로 꾸며준 축(軸)을 의미합니다. 장인(匠人)은 손으로 물건을 만드는 일에 종사하던 사람으로서 전문가를 말합니다. 배첩장은 조선시대에 도화서(圖畵署)에 속한 장인으로서 궁중의 서화를 주로 처리했습니다. 오늘 기사에서 무엇을 느꼈습니까? | 학생6 |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과 계승 노력이 중요하다고 알았습니다. |
학생7 |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 국가에서 주는 혜택도 있겠지요. 자격에 약간 문제가 있어 보이는 분이 지정예고되어 이것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고 봅니다. | |
학생8 | 문제가 잘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 |
학생9 | 저도 나중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받고 싶어요 |
문화재(文化材)
1. 문화재
종교·예술·과학·문학 등의 구체적 형상을 ‘문화재’라고 하나 문화재보호법상 문화재는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2. 종류
가. 유형문화재: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나. 무형문화재: 연극, 음악, 무용, 놀이, 의식,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다. 기념물: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것
⑴.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⑵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⑶. 동물(그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그 자생지를 포함한다),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라. 민속문화재: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3. 지정문화재
가. 국가지정문화재: 문화재청장이 제23조 부터 제2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지정한 문화재
나. 시·도지정문화재: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라 한다)가 제70조제1항에 따라 지정한 문화재
4. 등록문화재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문화재청장이 제53조에 따라 등록한 문화재를 말한다.
5. 국외소재문화재
국외로 반출되어 현재 대한민국의 영토 밖에 소재하는 문화재를 말한다.
3. 똑똑하면 퇴출, 장애인만 염전 인부로
염전주인 1명 구속, 2명 영장
가구당 연 수입 7000만원 넘는데 '남는 게 없다'며 임금체불 100여건
중앙일보 | 최경호 | 입력 2014.03.03 01:12 | 수정 2014.03.03 04:57
전남 신안군 신의도에서 염전을 운영하는 홍모(58)씨. 그의 인부 구하는 방식은 좀 남달랐다. 똑똑한 인부는 두세 달 지나 돌려보냈고, 장애인처럼 다른 데서 일자리 구하기가 여의치 않은 인부는 계속 썼다. 청각장애인 강모(42)씨도 남은 인부 중 하나였다. 그는 2004년부터 최근까지 10년간 홍씨의 염전에서 일하면서 돈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최근 '염전 노예' 사건을 계기로 경찰이 조사를 시작하자 염전 주인은 그를 전남 목포의 원룸에 일주일간 숨겼다.
강씨는 경찰에서 "새벽 5시부터 밤 10시까지 일했고, 때론 얻어맞기도 했다"고 진술했다. "똑똑한 인부는 돌려보냈다"는 것 또한 강씨가 경찰에 밝힌 내용이다. 이에 대해 염전주인 홍씨는 "내가 돌려보낸 게 아니라 힘들다고 스스로 떠난 것"이라고 경찰에서 주장했다. 하지만 경찰의 시각은 다르다. 똑똑한 인부를 쓰면 임금을 떼먹을 수 없을까 봐 홍씨가 내보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경찰이 지난달 10일 신안 염전의 근로·임금 착취와 인권 유린 일제 조사를 시작하고 3주가 지났다. 경찰이 밝혀낸 염전 실태는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20년 이상 한 푼도 못 받고 일한 인부가 여럿이었다. 노숙자 출신인 조모(63)씨는 25년간 무임금 노동을 했다. 원래 염전 주인이 사망하고 아들이 이어받았는데도 돈을 주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였다. 자신의 염전에 일이 없으면 남의 염전에서 일하도록 하고, 대가로 받은 임금을 가로챈 것도 다반사였다. 신의도에서만 이런 염전주인 3명이 적발됐다.
경찰은 일단 염전주인 1명을 구속하고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강모(53)씨는 8년간 임금을 주지 않은 데다 장애인연금까지 가로채 지난달 말 구속됐다. 구속영장 신청 대상인 2명은 "똑똑한 인부를 돌려보냈다"는 홍씨와, 경찰 조사에 대비해 장애인 등 인부 3명을 이웃 마을 창고에 가뒀던 또 다른 홍모(46)씨다. 경찰은 이 밖에 임금을 주지 않고 인부를 감금한 10명가량을 입건할 방침이다.
3주 조사를 통해 경찰이 밝혀낸 임금 체불 사례는 100여 건에 이른다. 염전 주인들은 대부분 "소금을 팔아도 남는 게 없어 돈을 주지 못했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염전 사업은 매출이 적지 않다. 신안군에 따르면 신의도 염전 239가구는 지난해 천일염 매출 168억원을 올렸다. 가구당 평균 7030만원이다. 2만㎡ 염전에서 천일염을 만들어 팔면 이만큼이 들어온다. 국내 농가당 평균 농업 수입(2012년 2760만원)의 2.5배가 넘는다.
염전 일제 조사를 지휘한 전남지방경찰청 김상수 광역수사대장은 "일부 소규모 염전을 빼면 '인건비 줄 돈이 없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인건비 뽑기조차 힘들다면 인부를 쓰는 대신 주인 스스로 염전 일을 할 텐데, 그런 경우는 별로 없었다는 것이다. 또 경찰에 따르면 실제 임금을 체불한 염전주인들은 "사법처리 될 수 있다"고 하자 거의 모두 임금을 바로 정산했다. 또 적발된 염전주인 중 상당수가 목포에 따로 집을 두는 등 중산층 생활을 하고 있다. 신안=최경호 기자
교사 | 학생 | |
1. 이 기사의 요점은 무엇인가요? | 학생1 | 염전주인 염전인부가 똑똑하면 퇴출시키고 장애인만 염전 인부로 사용했고 염전주인이 돈을 많이 버는데도 임금을 주지 않았다는 내용입니다. |
2. 우선 염전(鹽田)이 무엇이고 염전주인(鹽田主人)은 누구일까요? | 학생2 | 염전은 1. 바닷물을 가둔 후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곳 2. 소금을 파는 가게입니다. |
3. 염전주인들은 똑똑한 사람은 내보내고 장애인만 염전인부로 사용한 이유는 무엇이었을 까요? | 학생3. | 똑똑한 인부를 쓰면 임금을 떼먹을 수 없기 때문에 지능이 떨어진 장애인을 쓰고 임금을 주지 않으려는 것이었습니다. 선생님 그런데 점입가경(漸入佳境)은 무슨 의미인가요? |
4. 점입가경(漸入佳境)은 경치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의 상황이 점점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예요. 또 질문이 있습니까? | 학생4. | 예. 선생님 염전주인들이 자신의 염전에 일이 없으면 남의 염전에서 일하도록 하고, 대가로 받은 임금을 가로챈 것도 다반사였다고 하는데 다반사는 무슨 의미입니까? |
5. 다반사(茶飯事). 항다반(恒茶飯), 항다반사(恒茶飯事)는 모두 같은 말로 흔히 있는 일. 예삿일을 의미합니다. | 학생5 | 선생님. 경찰이 밝혀낸 임금 체불 사례는 100여 건에 이른다고 했는데 체불은 무엇입니까? |
6. 체불(滯拂)은 임금 따위의 지불해야 할 것을 지급하지 않음을 의미하는데 일본어에 가까운 말이므로 지급지연(支給遲延)이 바른 말이라고 봅니다. 이 글을 읽고 어떤 생각이 들었어요? | 학생6 | 지금도 임금을 제때 주지 않는 곳이 많이 있고 장애인을 착취하는 것은 비인간적 처사라고 봅니다. |
기타
1. 염전(鹽田, saltern, salt pan, salt pit, saltworks) : 바닷물을 끌여 들여 태양열로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넓은 모래밭. 염밭.
2. 소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
가. 소금
나. 생산
다. 유용성과 단점
라. 민물과 바닷물의 비교
마. 소금에 대한 생각 말하기
4. 동고산성(東固山城) 정문 발견, 후백제 견훤이 축조 눈길
파이낸셜뉴스 | 구자윤 | 입력 2014.09.23 09:58
후백제 견훤이 축조한 것으로 알려진 동고산성(東固山城) 정문이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다.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 19일 후백제 때 축조된 동고산성(전북도 기념물 제44호)의 정문과 성 밖으로 물을 배출하는 시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동고산성 정문은 왕궁포도밭 경계 능선에서 발견됐으며 너비 6.1m, 높이 2.2m의 큰 규모를 자랑하며, 동고산성 성문의 규모로 추측했을 때 우마차 2대가 서로 교행이 가능할 정도의 매우 큰 산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존의 문에 돌을 막아 폐쇄한 건 후백제 멸망 이후 기능을 잃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전주시 관계자는 동고산성 정문 발견에 "이번 발굴조사로 전주시의 오랜 숙원사업인 후백제 복원 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누리꾼들은 이 같은 소식에 "동고산성 견훤, 대단하다" "동고산성 견훤, 웅장해보인다" "동고산성 견훤, 어서 모두 복원되길" 등의 반응을 보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
1. 성(城)을 어떤 곳이지 들어보거나 직접 가본 적이 있는가?
거수조사(총 명)
질문 | 답변 | 백분율(100%) |
1. 성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 알고 있다( )명 | % |
모른다( )명 | % | |
2. 성을 방문한 적이 있다 | 있다( )명 | % |
없다 | % |
2. 성곽(城郭)의 의미와 기능(역할)이 무엇인지 알아 보자
가. 성곽(城郭)의 의미
군사적이고 행정적인 목적을 갖고 일정한 거주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구조적 연결성을 갖는 인공구조물
⑴ 군사적이고 행정적인 목적
성곽은 군사적 방어의 목적으로 축조되는데 방어해야 할 주된 대상이 국가권력의 행사 주체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행정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
⑵ 일정한 거주 공간을 확보
군사와 행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거주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갖추어야 함을 뜻한다.
⑶ 구조적 연결성을 갖는 인공구조물
방어를 위한 폐쇄적인 공간을 마련하는 구조물
[참고]
성(城) : 내성. 재.
곽(郭) : 외성. 밭재. 나성(羅城)
나. 성곽의 기능
⑴ 왕궁성(王宮城) : 왕 거주
⑵ 도성(都城) : 수도(首都)
⑶ 치소성(治所城) : 지방통치의 중심지
⑷ 차단성(遮斷城) : 교통로상의 협곡을 가로지르며 축조된 것으로 중국 집안에 있는 고구려의 관마장산성, 망파령산성, 신라의 경주관문성
⑸ 장성(長城) : 변경지역에 길게 축조. 고구려 영류왕때 천리장성(631년(영류왕 13년)~647년 기록), 고려의 천리장성, 조선의 장성(북방변경의 행성을 여러 개 묶어 연결한 것)
⑹ 성보(城堡) : 교통로상 요충지에 설치된 군사적인 것
⑺ 보루성(堡壘城, 堡砦, 보채) : 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토석으로 쌓은 소규모 군사요새. 峨嵯山城(阿且山城, 아차산성)
3. 후삼국에 관련된 내용에 빈칸을 채워보자
나라 이음 | 연대 | 건국자 | 수도 | 결과 |
신라 | BC57~AD935 | 박혁거세(朴赫居世) | 경주 | 고려 복속 |
후백제 | 900~936 | 견훤(甄萱) | 全州(完山州) | 고려에 멸망 |
후고구려 | 901~918 | 궁예(弓裔) | 900년 송악 905년 철원 | 왕건 고려 건국 |
국호 | 연호 | |||
901년 후고려(後高麗) | ||||
904년 마진(摩震) | 904년 무태(武泰) | |||
905년 성책(聖冊) | ||||
911년 태봉(泰封) | 911년 수덕만세(水德萬歲) | |||
915년 정개(政開) |
4. 이 기사를 6하원칙에 의하여 분석해 보자
원칙 | 내용 |
① who(누가, 주체) |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
② when(언제, 시간) | 2014년 9월 19일에 |
③ where(어디에서, 장소) | 왕궁포도밭 경계 능선에서(전라북도 완산구 중노송동 인봉리) |
④ what(무엇을, 객체) | 동고산성(東固山城) 정문과 배수구 |
⑤ how(어떻게, 방법) | 발굴조사(발견)로 |
⑥ why(왜, 이유) | 후백제(甄萱, 견훤) 왕궁터 발굴과 연구 |
5. 위 글에서 아래에 해당하는 말을 찾아보자(5.는 반대말까지)
낱말 | 뜻 |
축조(築造) | 건축물(성, 제방, 담 등)을 쌓아 만듬. |
축조(逐條) | 한 조목 한조목 차례대로 좇음 |
배출(排出) | 불필요한 물질을 밀어서 밖으로 내 보냄 |
생물체가 몸안에 생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일. 걸러내기 | |
배출(輩出) | 인재가 잇달아 나옴 |
배출(倍出) | 갑절이나 더 남 |
교행(交行) | 엇갈려 감 |
추정(推定) | 미루어 헤아려 판단함 |
어떤 사실에 대하여 반대증거가 없을 때 그것이 정당하다고 가정하는 일 | |
폐쇄(閉鎖)↔개방(開放) | 출입을 못하도록 입구를 막음 |
학교, 공장 따위의 일정한 기능을 지닌 조직체의 기능을 정지시킴 | |
마음의 문을 닫고 외부와 교류를 끊음 | |
복원(復元, 復原) | 원래대로 회복함 |
5. 전남 초등교 4곳 '한복이 교복'.. "예쁘고 편해요"
도교육청 ‘우리 멋 이어주기’
경향신문 | 배명재 기자 | 입력 2014.10.02 21:46
이틀째 한복을 입고 등교한 전남 순천시 황전초등학교 2학년 고은하양(9)은 "아주 옷이 예쁘고 편해 나비처럼 훨훨 날아다니는 기분"이라고 2일 말했다.
이날 무안군 구림초등학교 3학년 한준현군(10)도 학교에서 나눠준 진녹색 바지와 연청색 저고리를 어루만지며 설레는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한군은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만들어준 교복이라 더 맘에 든다"고 웃었다.
2일 오후 한복 교복을 입은 황전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운동장으로 나오고 있다. | 황전초등학교 제공전남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4곳 학생들은 한복을 입고 학교생활을 하게 된다. 고양과 한군의 학교뿐만 아니라 영광 영산초등학교와 장성 분향초등학교도 한복을 입게 됐다.
이들 학교는 전남도교육청이 올해 처음으로 시작한 '우리 멋 이어주기 사업' 대상 학교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우리옷 입기를 통해 여유와 전통의 참맛을 알고, 예절 바른 생활을 하도록 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이들 4개 학교 2~4학년생 102명은 이미 춘추복을 받았다. 11월 중으로 동복도 받게 된다. 옷은 영화 <광해> 등에서 의상 솜씨를 선보인 순천 출신 한복 디자이너 김혜순씨가 만들었다. 전남도교육청이 천연염색 옷감을 구입해 지원했다.
이들 학교는 일주일에 2~4일씩 한복을 입고 나오도록 했다. 한복을 입은 날엔 투호놀이·제기차기 등 민속놀이를 배우고, 다도와 판소리, 명상 교육도 하게 된다.
전남도교육청은 3년간 한복의 교육적 효과를 살핀 후 대상 학교를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용덕 황전초등학교 교장은 "한복을 입은 아이들의 모습이 이전보다 훨씬 차분해졌다"면서 "앞으로 인성과 학력을 키우는 데도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명재 기자 ninaplus@kyunghyang.com>
--------------------------------------------------------
이틀째 한복(한복)을 입고 등교한 전남 순천시 황전초등학교 2학년 고은하양(9)은 "아주 옷이 예쁘고 편해 나비처럼 훨훨 날아다니는 기분"이라고 2일 말했다.
1. 한복의 의미
한복(韓服) : 한국 고유의 의복.
2. 다음중 한복의 “한”자와 의미가 다른 말은?(4개) : 한강, 한과, 한사군, 한성
한강. 한과. 한반도. 한방. 한사군. 한산모시. 한성. 한식가옥. 한약. 한우.
3. 한복을 입어본 적이 있는가?
지금도 가금 한복을 입는가?
한복을 입으면 좋은 점과 불편한 점은 무엇인가?
4. 한복은 언제 입는가?
5. 다음 낱말의 反意語(반대말)을 쓰시오.
가. 등교(登校)↔하교(下校)
나. 등산(登山)↔하산(下山)
다. 즉위(卽位). 등극(登極). 등조(登祚)↔퇴위(退位)
라. 등단(登壇)↔강단(降壇). 하단(下壇)
마. 등분(登盆)↔퇴분(退盆)
바. 등청(登廳)↔퇴청(退廳)
사. 등판(登板)↔강판(降版)
6. 다음 낱말의 同義語(類義語)를 쓰시오.
가. 등고(登高) 등척(登陟) 높은데 오름.
나. 등과(登科) 등제(登第) 과거에 급제함.
다. 등기(謄記) 등초(謄抄, 謄草). 등사(謄寫. 1. 등사기로 베끼어 박음 2. 등초) 원본에서 옮겨 베낌
라. 등선(登船) 승선(乘船) 배에 오름
마. 등숙(登熟) 등임(登稔) 곡식의 알이 잘 여물어 익음
바. 등문고(登聞鼓) 申聞鼓(신문고)
사. 등용(登用, 登庸) 거용(擧用) 인재를 뽑아 씀
아. 등천(登天) 승천(昇天) 하늘에 오름
자. 등하(登遐) 승하(昇遐) 붕어(崩御) 선어(仙馭) 안가(晏駕) 창오지망(蒼梧之望) 徂落(조락)임금이 세상을 떠남
7. 나비의 3가지 뜻을 사용하여 짧은 글을 지어 보시오.
가. 나비 ¹ 나비목(Lepidoptera, 나비・나방·팔랑나비)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호랑나비상과(―上科 Papilionoidea)를 구성하는 약 6과. 蛺蝶(협접). 胡蝶(호접).
나. 나비² (피륙 따위의) 너비
다. 나비³ ‘고양이’를 부르는 말
7. 나비의 종류나 아는 나비의 이름을 5개 이상 대보시오.
과 | 종류 |
횐나비과(Pieridae) | 집단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흰나비와 노랑나비 |
호랑나비과(Papilionidae) | 호랑나비와 모시나비(모시나비는 모시나비과로 분리하기도 함). |
부전나비과(Lycaenidae) | 푸른부전나비·주홍부전나비·암고운부전나비. |
부전네발나비과(Riodinidae) | 주로 미국 열대지역에서 볼 수 있는 메탈마크(metalmark) |
뿔나비과(Libytheidae) | 뿔나비. |
네발나비과(Nymphalidae) | 네발나비(줄나비류·멋쟁이나비류·표범나비류·왕나비류·독나비류등) |
7. 위글에서 나비가 나는 모습을 표현한 말은?
훨훨(높이 떠서 시원스럽게 날아가는 모습)
8. 위 글을 읽고 색깔과 의미를 써 넣으세요.
한복(구림초등학교)
옷 | 색깔 |
저고리 | 연청색× 담청색(淡靑色, light blue. 淡碧) 엷은(연한) 청색 |
바지 | 진녹색× 암녹색(暗綠色.dark blue, 濃翠) 검을 빛을 띤 녹색. 어두운 녹색. 짙은(진한) 녹색 |
8. 디자이너(designer)의 뜻 3가지를 서 보세요.
① 복장이나 직물의 의장(意匠)・도안(圖案)을 고안하는 사람
② 설계사(設計士)
③ 도안가(圖案家)
9. 친구 표정(웃는 모습, 찡그린 얼굴, 화낸 모습)을 3개 이상 그려 보세요.
10. 복으로 끝나는 말을 10개 이상 써 보세요.
군복, 정복, 제복, 신사복, 숙녀복, 춘추복, 하복, 동복, 승복, 작업복, 운동복
11. 우리 멋 이어주기 사업 대상 학교(4) : 순천시 황전초등학교, 무안군 구림초등학교, 영광 영산초등학교, 장성 분향초등학교
12. 다음 단어의 뜻을 보고 위 글에서 그 말을 찾아 채우시오.
가. 표정(表情, counternance, expression) | 마음 속의 감정이나 정서 따위의 심리상태가 얼굴에 나타남. |
나.여유(餘裕. leisure) | (정신적・경제적・물질적・시간적으로) 넉넉하여 남음이 있음・ |
다. 전통(傳統, tradition) |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날로부터 이어 내려오는 사상・관습・행동 따위의 양식(樣式) 또는 그것의 핵심을 이루는 정신(精神) |
춘추복(春秋服) | 봄・가을에 입는 옷 |
다도(茶道) | 차를 손님에게 대접하거나 마실 때의 방식 및 에의범절 |
13. 24절기중 봄・여름・가을・겨울의 한자가 들어가는 것을 2개씩 쓰시오.
봄 | 立春, 春分 |
여름 | 立夏, 夏至 |
가을 | 立春. 秋分 |
겨울 | 入冬, 冬至 |
13.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2012년)”를 보았는가? 입동
광해는 누구를 말하는가?
여러분은 광해군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왜 광해군은 ~조, ~종 하지 않고 ~군이라고 했을까?
연산군과 대원군도 광해군과 같은 사례일까?
14. 한복을 입는 날에 하는 민속놀이와 교육 : 투호(投壺). 제기차기, 다도, 판소리, 명상교육
15. 투호를 해 보았는가? 투호를 하면 잘 들어가는가?
제기차기를 해 보았는가? 제기차기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
최고 제기를 몇 개가지 차 보았는가?
그 외 내가 알고 있는 민속놀이는?
16. 판소리는 광대(廣大) 한 사람이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인 사설(辭說)을 창(노래)와 말과 몸짓을 섞어 창극조(唱劇調)로 부르는 민속예술의 한갈래로서 조선 말기 남도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다음 빈칸을 알맞은 말로 채우시오
가.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을 말한다.
나. 판소리는 느린 진양조, 중모리, 보통 빠른 중중모리, 휘모리, 가장 빠른 (자진모리), 혼합장단인 엇모리, 엇중모리 7가지이다.
다. 고수의 반주는 소리를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면서 “얼씨구”, “좋다”, “으이”, “그렇지” 등의 감탄사를 내는데, 이를 (추임새)라고 한다.
라. 판소리는 순조(재위 1800∼1834) 무렵부터 판소리 8명창이라 하여 권삼득(權三得. 전북 익산), 송흥록(宋興祿, 전북 남원 운봉), 염계달(廉季達, 경기 여주), 모흥갑(牟興甲, 경기 평택 진위), 신만엽(申萬葉, 전북 익산 여산), 고수관(高壽寬, 충남 서산 해미), 박유전(朴裕全, 전북 순창), 김제철(金濟哲, 충북 괴산)등이 유명하였는데 이들에 의해 장단과 곡조가 오늘날과 같이 발전하였고, 동편제(전라도 동북지역, 시조 송흥록, 전북 남원 운봉), 서편제(전라도 서남지역, 시조 박유전, 전북 순창→보성), 중고제(경기도·충청도, 시조 엄계달, 경기 여주) 등 지역에 따라 나뉜다.
마. 판소리가 발생할 당시에는 한 마당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아서 판소리 12마당이라 하여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배비장타령>, <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왈자타령),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 (또는 숙영낭자전) 등 그 수가 많았다.
판소리 12마당 가운데 〈춘향가〉·〈심청가〉·〈박타령〉·〈토별가〉·〈적벽가〉·〈변강쇠가〉의 6마당을 골라 그 사설을 개작, 정착시키는데 공이 많은 사람은 신재효(申在孝, 1812~1884, 전북 고창)였다.
바. 현실성없는 이야기 소재와 소리가 점차 길어지면서 충, 효, 의리, 정절 등 조선시대의 가치관을 담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만이 보다 예술적인 음악으로 가다듬어져 판소리 5마당으로 정착되었다.
사. 판소리는 우리나라 시대적 정서를 나타내는 전통예술로 삶의 희노애락을 해학적으로 음악과 어울려서 표현하며 청중도 참여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며 판소리 다섯마당이 모두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6. 납골당 유행 편승..동물 불법 화장터 '우후죽순'
MBC | 김태윤 기자 | 입력 2014.10.03 21:00 | 수정 2014.10.03 21:24
[뉴스데스크]
◀ 앵커 ▶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인구가 1000 만에 육박하면서 반려동물의 사후처리를 담당하는 장례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있습 니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불법영업을 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김태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 리포트 ▶
꽃으로 장식된 추모실.
개와 고양이의 유골함이 놓인 납골당.
한 동물 장묘업체가 운영하고 있는 화장터입니다.
◀ 동물 장묘업체 직원 ▶
"하늘나라로 갈 때 내 집을 가지고 가라는 의미를 담아서…"
사람처럼 똑같이 염을 하고 최고급 수의까지 선택하면 비용이 180만 원까지 나갑니다.
그런데 이 화장터가 들어선 곳은 개발제한구역.
이곳은 애완동물 화장터를 운영하기 위해 불법으로 용도 변경을 하고 건물을 증축해 시로부터 이미 두 번이나 시정명령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동물을 정식으로 화장하는 기계 없이 사체를 녹여 사리같은 장식품을 만드는 기계로, 화장을 해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동물 장묘업체 사장 ▶
"설비는 사실 스톤(사리?) 보조 설비에요.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은 1억 정도 나갑니다."
불법인 줄 알아도 영업을 계속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현행법상 동물 사체는 폐기물로 분류돼 쓰레기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그러나 동물이 가족처럼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화장장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계속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 ▶
"인력이나 예산이나 뭔가 갖추고 일이 이뤄져야 하는데 저하고 사무관님 한 분이 업무를 다해야"
전국의 동물 화장터 가운데 정식 허가를 받은 곳은 11곳뿐.
경기도에만 업체 4곳이 허가 없이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반려동물 사체는 12만 여구씩 발생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태윤입니다.
---------------------------------------------------
다음 바른 우리말로 고쳐쓰시오.
낱말 | 지시어 | 영어 | 뜻 |
납골당(納骨堂) | 봉안소(奉安所)(바른말) | cinerarium | 유골(遺骨)을 안치(安置)하는 곳 |
동물(動物) | 반의어↔식물(植物) | animals | 길짐승, 날짐승, 물고기, 벌레, 사람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鳥獸(翎毛)魚鼈貝蟲豸人 |
불법(不法) | 반의어↔合法(합법) | illegality. illegitimacy. illicitness. unlawfulness | 법에 어긋나 있음. 비법(非法) |
화장터(火葬場-) | 茶毘(다비, 荼毘도비)불교 | crematory, crematorium | 시체를 화장(火葬, 시체를 불에살라 장사하는 일)하는 곳 |
殮(염) | 염습(殮襲)원말 | washing 문 shrouding the body | 죽은 사람의 몸을 씻은 다음에 수의(壽衣, 繸衣)를 입히고 염포(殮布)로 묶는 일 |
개발제한구역(開發制限區域) | greenbelt |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방지와 자연환경 보전 등을 위하여 국토 해양부 장관이 도시 개발을 제한하도록 지정한 구역. 크게 생산 녹지와 차단 녹지로 구분된다. |
한자 | 독음 | 부수 | 뜻 | |
유행(流行) | 流 | 흐를류 | 氵 | 1. 어떤 양식이나 현상 등이 새로운 경향으로서 한동안 사회에 널리 퍼짐 또는 그러한 현상. vogue, fashion |
行 | 갈 행 | 行 | 2. 전염병 따위가 한동안 널리 퍼짐epidemic, spread | |
편승(便乘) | 便 | 편할 편 | 亻 | 1. 남이 타고 가는 차 따위를 얻어탐. hitchhike. |
乘 | 탈 승 | 丿 | 2. 자기에게 유리한 기회를 포착하여 잘 이용함. | |
우후죽순(雨後竹筍<笋>) | 雨 | 비 우 | 雨 | 어떤 일이 한 때 많이 일어남 |
後 | 뒤 후 | 彳 | ||
竹 | 대 죽 | 竹 | ||
筍 | 대순순 | 竹 | ||
개 | 狗, 犬 | 개 구 개 견 | 犭 犬 | 구미속초(狗尾續貂) 광견(狂犬). 견원지간(犬猿之間) |
고양이 | 猫, 貓 | 1.고양이 묘 2. 닻묘(錨) | 犭 豸 | 묘두현령(猫頭縣鈴). 묘항현령(猫項懸鈴) 궁서설묘(窮鼠囓猫). 잔묘(虥貓) |
육박(肉薄. 肉迫) | 肉 | 고기 육 | 肉 | 1. 바싹 가까이 다가감. 바싹 따라붙음 |
薄 | 얇을 박 | 艹 | 2. 바싹 덞벼듦. 바싹 가가이 쳐들어감 | |
반려(伴侶) | 伴 | 짝 반 | 亻 | 1. 작이 되는 동무 |
侶 | 짝 려 | 亻 | 2. 늘 가까이하거나 가지고 다니고 하는 것 | |
장례(葬禮) | 葬 塟 | 장사지낼 장 | 艹 | 장사를 지내는 일. 장의(葬儀). 빈례(殯禮). 儀 1. 거동 의 2. 법 의 3. 본보기 예 4. 예 의 殯 1. 초빈할 빈 2. 파묻힐 빈. |
禮 | 예도 례 | 示 | ||
확산(擴散) | 擴. 㨯, 挄 | 넓힐 확 | 扌 | 1. 흩어져 번짐 2. 농도가 다른 물질이 서로 홉합될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로 같은 농도가 되는 현상 |
散 | 흩어질 산 | 扌 | ||
분위기(雰圍氣) | 雰 | 안개 분, 눈날릴 분 | 雨 | 1. 지구를 싸고 있는 대기(atmosphere) 2. 어떤 환경이나 어떤 자리 등에서 저절로 만들어져서 감도는 느낌 |
圍 | 두를 위 | 囗 | ||
氣 | 기운 기 | 气 | ||
장식(裝飾) | 裝 | 꾸밀 장 | 衣 | 아름답게 꾸밈. 또는 그 꾸민새나 장식물 일식(日蝕, solar eclipse). 월식(月蝕. lunar eclipse). partial, total |
飾 | 꾸밀 식 | 食 | ||
추모(追慕) | 追 | 1. 쫓을 추 2. 갈 퇴 | 辶 | 죽은 사람을 생각하고 그리워함. 죽은 사람을 사모함 |
慕 | 사모할 모 | 心 | ||
유골함(遺骨函) | 遺 | 남길 유 | 辶 | 유골을 넣은 상자(reliquary. shrine) |
骨 | 뼈골 | 骨 | ||
函 | 함 함, 갑옷 함 | 凵 | ||
수의(壽衣, 襚衣) | 壽 | 목숨 수 | 土 | 염습(殮襲)할 때 시체에 입히는 옷(shroud, cerecloth, cerements) ▪ 고구려 혼수품에 수의(壽衣, 繸衣) 포함수의 유래 |
襚 | 1. 수의 수 2. 옷수 | 衤 | ||
衣 | 옷 의 | 衣 | ||
용도(用途) | 用 | 쓸 용 | 用 | 쓰는 곳이나 쓰는 법. 효용(效用) |
途 | 길 도 | 辶 | ||
사리(舍利. 奢利) | 舍 | 집 사 | 舌 | 1. 부사리(부처나 고승의 유골) 2. 불타의 법신(法身)의 유적(遺跡)인 경전(經典) 3. (불교) 주검을 화장한 뼈 ▪ 부도(浮屠, 浮圖) 1. 부처 2. 붙탑(고승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3. 중, 승려 4. 주사위(骰子, 투자) |
奢 | 사치할 사 | 大 | ||
利 | 1. 날카로울 리 2. 이로울 리 | 刂 | ||
봉투(封套) | 封 | 봉할 봉 | 寸 | 편지나 서류 따위를 넣기 위하여 종이로 만든 주머니, 서통(書筒) 투수(套袖) 토시의 본딧말 |
套 | 클 투, 덮을 투 | 大 |
7. "버티고개 가서 앉을 놈".. 지하철 역이름 속 재밌는 역사
한겨레 | 입력 2014.10.08 12:00 | 수정 2014.10.08 14:10
[한겨레] "이런 밤중에 버티고개 가서 앉을 놈들!"
올 초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주인공 도민준(김수현)은 천송이(전지현)가 광고에 속아 부실한 간장게장을 산 뒤 억울해하자 이렇게 말한다. 그게 뭔 소리냐는 천송이의 물음에 조선시대부터 살아온 외계인 도민준은 이렇게 설명했다. "버티고개라고 약수동에서 한남동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었어. 옛날에는 그 고개로 장사꾼들이 많이 다녔는데 좁고 험해서 도둑들도 많이 숨어 있었거든. 그래서 남한테 사기를 치거나 못된 사람들 보면 이렇게 말하곤 했지.
서울 지하철 6호선 버티고개역은 한글 이름을 가진 대표적인 역이다. 서울시는 버티고개에 대해 "조선시대 치안을 담당하던 군인들이 한남동에서 약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도둑을 쫓으며 '번도(도둑)!'라고 외치던 것이 '번티'에 이어 '버티'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568돌 한글날인 9일을 맞아 서울 지하철 1~9호선 중 우리말로 된 역명을 8일 설명했다. 서울시 조사 결과, 서울 지하철 전체 302개 역 중 29개 역(9.6%)이 한글 이름이거나, 나루·여울 등 한글을 포함한 이름이었다. 역 이름이 한글로 돼 있거나 한글이 포함된 경우가 가장 많은 노선은 7호선(51개 역 중 6개 역)이었다.
지하철 역명은 서울시 조례에 따라 서울시 지명위원회의 자문 의견을 받아 서울시장이 제정하게 되어 있다. 역명을 정할 때는 '옛 지명'을 최우선 순위로 정하고, 다음으로는 고적·사적 등 문화재, 고유명사화된 공공시설 명칭 등의 순으로 정한다.
뚝섬역(2호선)의 뚝섬은 조선시대 군대가 출병할 때 둑기(纛旗·군대 대장 앞에 세우던 큰 깃발)를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해서 둑섬·둑도로 불렸던 데서 유래한다. 실제 섬은 아니지만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인 모습이 섬과 같다 해서 '뚝섬'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충정로에서 마포로 넘어가는 곳에 있는 애오개역(5호선)은 고개가 아이처럼 작다는 뜻으로 '아이고개', '애고개'라 불리게 됐다는 설과, 옛날 한성부에서 서소문을 통해 주검을 4대문 밖으로 내보냈는데 아이 주검은 이 고개를 넘어 묻게 했다는 설 등이 있다. 실제로 과거 애오개 인근에는 곳곳에 아이 무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까치울(7호선)은 까치가 많아 '작동(鵲洞)'이라 불렀던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마을이 작아 '작다'는 뜻의 우리말 '아치'가 '까치'로 변했다는 설이 있다.
마들역(7호선)은 역참기지가 있던 상계동에서 들에 말을 놓아 키웠다고 해서 마들이라 했다는 설과 일대에 삼밭이 많아 순우리말 '마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노들역(9호선)은 수양버들이 울창하고 백로가 노닐던 옛 노량진을 '노들'이라 부르던 데서 붙여졌다.
잠실나루(2호선), 여의나루(5호선), 광나루(5호선) 등에 붙어 있는 '나루'의 뜻은 강이나 바닷목 등에서 나룻배가 서는 곳을 말한다. 지명에 나루가 붙은 곳은 오래 전 나루터가 있던 곳이다.음성원 기자 esw@hani.co.kr
--------------------------------------------------------
1. 선풍적인 인기에서 선풍(旋風)
선풍(旋風) ① 나선 모양으로 도는 바람. 회오리바람. 돌개바람. 양각(羊角). 양각풍(羊角風). 표풍(飆風, 飇風). 회풍(回風, 廻風). 용숫(龍鬚)바람. 지면 가까이의 대기가 불안정하여 일어나는데 먼지나 모래알 따위가 딸려 올라가 기둥모양으로 선회함. 飆. 飇. 飈. 飊. 猋. 颷 폭풍 표. 양각(羊角) ① 양의 뿔 ②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만한 사건 또는 그로 말미암아 일어난 어지러운 상태
☞ 그림. 표현
2. 간장게장→게장(蟹黃, 해황)
게장 ① 게젓(끓여 식힌 간장에 산게를 넣어 삭힌 다음 양념을 하여 담근 젓) ② 게젓을 담근 간장 ③ 암게의 딱지속에 붙은 노란 장(醬)
♯. 외가집. 처갓집. 역전앞
3. 외계인과 ET
외계인(외계인) : 지구 밖의 다른 천체에서 온 사람. 우주인.
ET(extraterrestial) 1. 지구밖의, 지구 데기권 밖의 2. 지구밖의생물. 우주
4. 장사꾼 : ① 장사 수단이 좋은 사람 ② 장사치. 상고배(商賈輩). 상로배(商路輩). 장사하는 사람. 賈 장사고, 성 가
보부상(褓負商)
보상(褓商)
부상(負商)
5. 역사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기
가. 버티고개(6호선) : 조선시대 치안을 담당하던 군인들이 한남동에서 약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도둑을 쫓으며 '번도(도둑)!'라고 외치던 것이 '번티'에 이어 '버티'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
나. 뚝섬과 둑기(纛旗)
⑴ 뚝섬 : 조선시대 군대가 출병할 때 둑기(纛旗·군대 대장 앞에 세우던 큰 깃발)를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해서 둑섬·둑도로 불렸던 데서 유래한다.
⑵ 둑기(纛旗·군대 대장 앞에 세우던 큰 깃발)
纛 둑 도・독. 임금이 타고 가는 가마(御駕)나 군중(軍中) 대장 (왼쪽) 앞에 세우던 기의 하나. 쇠꼬리로 장식한 큰 기.
旗纛. 鸞纛. 狼纛. 大纛. 牙纛. 旌纛. 左纛. 陣纛
大纛(대독) 큰깃발. 纛神(독신→둑신) 군신(軍神)인 치우(蚩尤)
다. 애오개(5호선)
고개가 아이처럼 작다는 뜻으로 '아이고개', '애고개'라 불리게 됐다는 설과, 옛날 한성부에서 서소문을 통해 주검을 4대문 밖으로 내보냈는데 아이 주검은 이 고개를 넘어 묻게 했다는 설 등이 있다.
라. 마들역(7호선)
역참기지가 있던 상계동에서 들에 말을 놓아 키웠다고 해서 마들이라 했다는 설과 일대에 삼밭이 많아 순우리말 '마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마. 노들역(9호선)
수양버들(垂楊. 絲柳. 실버들) 울창하고 백로(白鷺)가 노닐던 옛 노량진(鷺梁津)을 '노들'이라 부르던 데서 붙여졌다.
바. 잠실나루(2호선), 여의나루(5호선), 광나루(5호선)
오래 전 나루터가 있던 곳.
나루 : 강이나 좁은 바다 물목에서 배가 닿고 떠나고 하는 일정한 곳. 강구(江口). 도구(渡口). 도진(渡津). 진도(津渡). 진두(津頭).
사. 한티(분당선), 대치(3호선)
한티 : 넓은 고개. 대치(大峙) : 큰 고개
아. 학여울(3호선), 까치울(7호선)
학여울(3호선)은 과거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대치동 인근에는 백로가 자주 찾아왔는데, 물살이 센 곳을 이르는 우리말 '여울'과 '학'이 결합해 '학여울'이라는 이름이 탄생했다.
까치울(7호선)은 까치가 많아 '작동(鵲洞)'이라 불렀던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마을이 작아 '작다'는 뜻의 우리말 '아치'가 '까치'로 변했다는 설이 있다.
자. 당고개역(4호선)
당고개역은 과거 그곳의 고개에 성황당과 미륵당이 있었던 데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차. 선바위역(4호선)
선바위역(4호선)은 개천 가운데 바위가 서 있는 모습과 유사해 이 같은 이름이 지어졌다.
카. 독바위역(6호선)
독바위역(6호선)은 바위산이 마치 장독과 유사한 모양이라 하여 지어졌다.
타. 돌곶이역(6호선)
돌곶이역(6호선)은 석관동 주변의 천장산이 검은 돌을 꿰놓은 것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는 데서 유래했다.
파. 보라매역(7호선)
보라매역(7호선)은 과거 대방동에 있던 공군사관학교의 상징이 ‘보라매’라는 것에서 유래했다.
하. 장한평(長漢坪, 5호선)
신라시대에 장한성(長漢城)이 축조되어 인근지역이 조선 시대에는 목마장(牧馬場)으로 유명했던 '장안벌' 또는 장안평(長安坪)에서 유래. 조선시대에는 목마장이었으나 개화기부터 차차 농토로 개척되어 비옥한 토지로 변하자 일제때 장안동(長安洞)
거. 녹사평(綠莎坪6호선)
이 일대에 잡초가 무성하여 사람이 거주하지 않아 푸른 풀이 무성한 들판에서 유래
너. 아차산(5호선)
6. 낱말 뜻
억울(抑鬱) : ① 억눌리어 마음이 답답함 ② 애먼 일이나 불공평한 일을 당하여 속상하고 분함.
사기(詐欺) : ① 못된 목적으로 남을 속임 ② 남을 속여 착오(錯誤)에 빠지게 하는 범죄행위
조례(條例) : ① 조목 조목 적아 놓은 규칙 ②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의 버위안에서 제정하는 규정 ③ 회사・조합의 정관. 조령(條令)
자문(諮問) : ① 아랫사람에게 의견을 물음 ② 학식이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에게 의견을 물음
고적(古蹟, 古跡) : 남아 있는 옛적 건물이나 시설물 또는 그렁것이 있었던 터. 역사상의 유적.
사적(史蹟, 史跡) 역사상의 사건과 관계가 있거나 건조물이 있는 곳. 역사사의 유적(遺跡. 遺蹟)
고유명사(固有名詞) : 어떤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맡말.
공공시설(公共施設) : 공공의 편의나 복지 따위를 위하여 베풀어 놓은 시설.
출병(출병) 군대를 싸움터로 내보냄. 출사(出師)
제사(祭祀) :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차려 놓고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 향사(享祀)
주검과 죽음
주검 : 죽은 몸뚱이. 시체(屍體). 사체(死體), 사해(死骸)
죽음 : 죽는 일. 절명(絶命). 명목(瞑目). 사망(死亡). 사거(死去)
무덤 : 시체나 유골을 묻은 곳. 묘. 뫼. 분묘(墳墓). 총묘(冢墓).
유래(由來) : 연유하여 옴 또는 그 내력
역참(驛站) : (고려・조선시대) 역마를 바꿔 타던 곳.
삼(大麻) : ① 뽕나무과의 일년초 ② 대마・저마・아마・황마를 두루 이루는 말.
삼밭(麻田) : 삼을 심어 가꾸는 밭.
마중지봉(麻中之蓬)
울창(鬱蒼) : 빽빽하게 들어서 매우 무성하고 푸름. 울울창창(鬱鬱蒼蒼)
백로(白鷺) : 왜가릿과에 속하는 새.
8. 세종대왕도 못 읽을 대한민국 헌법
잘못된 조사 사용·일본식 표현 등 60여곳서 엉터리 국어
아시아경제 | 박준용 | 입력 2014.10.08 14:34
[아시아경제 박준용 기자]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중략)자율과 조화를 바탕으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더욱 확고히 하여….'(헌법 전문. '전통에'는 조사 사용의 잘못으로 '전통으로'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부정확한 외래어로 '자유민주주의'로 고쳐야 함.)
헌법 조문이 문장이 길거나 일본식 표현이 많은 등 읽기 어려운 문장이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김문현 헌법재판연구원장(전 이화여대 로스쿨 교수)이 발표한 '헌법분야의 법률용어 및 법률문장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따르면 헌법 조문은 어색하거나 부정확한 표현 10곳, 일본용어ㆍ일본식 표현 표현 32곳, 불필요한 한자어 21곳 등 문제투성이였다.
김 연구원장은 헌법용어와 문장의 문제점을 세 가지로 지적했다. 첫째 불필요하고 어려운 한자어의 사용이다. 일상생활에서 잘 쓰지 않는 한자어가 많다는 것. '부당한 장기화 또는 기망'(제12조 7항),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헌법전문)', '대통령이 궐위한 때(68조 2항)'등의 표현은 읽는 사람이 뜻을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김 연구원장은 '기망'을 '속임'으로, '각인'을 '각 개인', '궐위'를 '자리가 빈'으로 풀어 써야한다고 지적했다.
일본용어를 쓰거나 일본식 표현을 한 곳도 많았다. '영해 및 접속수역법'은 일본용어를 따른 것으로 '영해 및 인접수역법'으로 고쳐야 한다고 지적됐다. '어떠한 형태로도 이를 창설할 수 없다(11조 2항)'는 조항처럼 필요 없는 곳에 '이를'을 쓴 경우도 많았다. 이런 형태는 일본식 어투에서 온 것이다.
외래어의 어색한 번역도 있었다. '민주적 기본질서(4조)'등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도 '적'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김 연구원장은 자유민주주의, 민주주의의 기본원칙 등으로 순화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대응하는 단어나 문구가 잘못되거나, 문장이 길고 조사사용이 잘못된 경우, 자동사를 타동사로 쓴 경우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렇게 헌법 조문의 국어 사용이 부실하게 된 이유는 헌법 제정에 참여한 사람들이 대부분 일본식 법학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또 서구의 제도가 일본을 통해 들어온 탓도 있다. 김 연구원장은 "서구의 법제도를 일본을 통해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우리 고유의 전래적 언어나 표현과는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헌법에 들어가게 됐다"고 했다.
모든 법의 기본이 되는 헌법이 읽기 어렵도록 돼 있지만 이를 고치기는 쉽지 않다. 용어 수정도 '개헌'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개헌은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한 뒤 국민투표에서 유권자 과반수 투표와 투표자 과반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법제처가 지난 6월부터 법령 전수조사를 해 법률용어 개정에 나서고 있지만 최고법인 헌법은 이와 동떨어져 있는 셈이다.
박준용 기자 juneyong@asiae.co.kr
--------------------------------------------------------------------
1. 세종대왕
가. 업적
⑴ 학문적 업적 : 한글 창제 및 반포(1443. 1446)
⑵ 과학적 업적
조선 세종 16년 1434년 대간의(大簡儀)
조선 세종 19년 1437년 앙부일구(仰釜日晷, 日影), 자격루(自擊漏, 행루, 行漏)·
조선 세종 20년 1438년 흠경각 설치, 장영실 자격루(自擊漏, 漏刻), 옥루기륜(玉漏機輪),
조선 세종 24년 1442년 측우기(測雨器)
조선 세종 25년 1443년 수표(水標)
혼천의(渾天儀), 풍기죽(風箕竹),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칠정산내외편
⑶ 군사적 업적
① 김종서의 6진(穩城, 鐘城, 慶源, 慶興, 會寧, 富寧) 설치
② 최윤덕(崔潤德)・이(李蕆)의 4군(閭延, 虞芮, 慈城, 茂昌) 설치
나. 우리에게 끼친 영향
한글창제로 민족문화의 기틀 마련과 한글의 우수성 널리 알림
오늘날 국경선 확정
2. 헌법
가. 뜻 : 국민의 기본적 권리(기본권)와 의무를 규정하고 통치조직을 규정하고 있는 한나라의 근본규법
나. 구조
⑴ 전문
⑵ 본문 제10장 130개조
⑶ 부칙(부속서) 6조
다. 헌법 전문, 제4조, 제11조 제2항, 제12조 제7항, 제68조 제2항, 제128130조에 대해 알아보자
⑴ 헌법 전문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 정의·인도와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 모든 사회적 폐습과 불의를 타파하며, 자율과 조화를 바탕으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더욱 확고히 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하게 하며,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완수하게 하여, 안으로는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기하고 밖으로는 항구적인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함으로써 우리들과 우리들의 자손의 안전과 자유와 행복을 영원히 확보할 것을 다짐하면서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 8차에 걸쳐 개정된 헌법을 이제 국회의 의결을 거쳐 국민투표에 의하여 개정한다.
⑵ 제4조
제4조 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
⑶ 제11조 제2항
제11조 ②사회적 특수계급의 제도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어떠한 형태로도 이를 창설할 수 없다.
⑷ 제12조 제7항
제2조 ⑦피고인의 자백이 고문·폭행·협박·구속의 부당한 장기화 또는 기망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자의로 진술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될 때 또는 정식재판에 있어서 피고인의 자백이 그에게 불리한 유일한 증거일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삼거나 이를 이유로 처벌할 수 없다.
⑸ 제68조 제2항
제68조②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⑹ 제128~130조
제10장 헌법개정
제128조 ① 헌법개정은 국회재적의원 과반수 또는 대통령의 발의로 제안된다.
②대통령의 임기연장 또는 중임변경을 위한 헌법개정은 그 헌법개정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 대하여는 효력이 없다.
제129조 제안된 헌법개정안은 대통령이 20일 이상의 기간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제130조 ① 국회는 헌법개정안이 공고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의결하여야 하며, 국회의 의결은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②헌법개정안은 국회가 의결한 후 30일 이내에 국민투표에 붙여 국회의원선거권자 과반수의 투표와 투표자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③헌법개정안이 제2항의 찬성을 얻은 때에는 헌법개정은 확정되며, 대통령은 즉시 이를 공포하여야 한다.
라. 헌법에 대한 생각 말하기
- 우리 나라는 자주 개정되었다
- 헌법을 잘 지켜지 않는다
- 헌법정신을 훼손하는 일이 많다
- 헌법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
- 어려운 글자가 많다
3. 유구(悠久)
연대가 아주 길고 오래됨. 유원(悠遠, 아득히 멂)
4. 전통(傳統, tradition)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날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사상・관습・행동 따위의 양식 또는 그것의 핵심을 이루는 정신
반의어 쓰기
5. 자율(自律)↔타율(他律)
자율(自律. autonomy) : 스스로의 의지로 자신이 행동을 규제함
타율(他律. heteronomy) : (자기 의지가 아닌) 남의 명령이나 구속에 따라 행동하는 일
6. 조화(調和)↔부조화(不調和)
조화(調和. harmony. concord) : 대립이나 어긋남니 없이 서로 잘 어울림. 균형이 잘 잡힘. 어울림. 해화(諧和)
부조화(不調和.disharmony. discord) : 서로 잘 어울리지 아니함.
7. 조사(助詞)
문장에서 자립형태소나 조사・어미 등의 뒤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하여 주는 말. 토씨. 관계사. 관계어
8. 어색(語塞) ① 서먹서먹함 ② 멋쩍고 쑥스러움 ③ 보기에 서투름 ④ 어궁(語窮, 말이 막히고 궁함)
9. 필자가 지적한 헌법용어와 문자의 문제점 세가지는 무엇인가?
첫째 불필요하고 어려운 한자어의 사용이다.
둘째 일본용어를 쓰거나 일본식 표현을 한 곳도 많았다.
셋째 외래어의 어색한 번역도 있었다.
10. 번역, 기망과 궐위(한자와 의미)
가. 번역(飜譯, 翻譯. translation)
한 나라 말로 된 글의 내용을 다른 나라 말로 바꾸어 옮김. 반역(反譯)
나. 기망(欺罔, fraud, fraudulence) 남을 그럴듯 하게 속임. 기만(欺瞞)
다. 궐위(闕位, vacancy, opening) 자리가 빔 또는 궐원으로 되어 있는 자리.
11. 국가
가. 국가의 성립요소 4가지는 무엇인가?
⑴ 영토(領土, territory)
⑵ 국민(國民, peole. population)
⑶ 주권(主權, sovereignty)
⑷ 정부(政府, government)
나. 국가영역
⑴ 영육(領陸, territorial land)
⑵ 영해(領海, territorial seas)
⑶ 영공(領空, territorial space)
다. 영해(領海, territorial seas)
국내수역을 넘어서 일정범위(영해기선에서 12해리)까지의 수역으로 연안국이 영토관할권에 준하는 배타적 관할권을 행사하는 수역이다. 배타적 관할권에는 경찰권・관세권・보건위생권・안보권 등 광범한 권한이 포함된다. 해양법협약 제2조는 국가의 주권이 국내수역을 넘어서 그 상공・해저 및 지하까지 미친다고 한다.
라. 접속수역(接續水域, contiguous zone)
영해기선에서 24해리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영토 및 영해상의 관세・재정・출입국관리 또는 위생에 관한 법령의 위법방지와 연안국의 영토나 영해에서 발생한 법령위반에 대한 처벌을 위하여 필요한 국가통제권을 행사하는 수역을 말한다.
12. 서구(西歐)의 우리말은?
서유럽(West Europe)
13. 헌법의 제정과 개정
가. 헌법제정과 그 주체
⑴헌법제정
(국민의 기본권과 의무 및 통치조직을 규정하고 있는 한 나라의 최고의 근본규범인) 헌법을 새로 만드는 일. 헌법을 시원적으로 창설하는 일.
헌법제정권자(국민)이 정치적 통일체의 종류와 형태 등에 내리는 근본적 결단
⑵ 주체
(헌법제정권자로서의) 국민
중세 : 신
왕정복고 및 전제군주국 : 군주
귀족국가 및 과두국가 : 소수자
현대 : 국민
나. 헌법개정과 그 주체
⑴헌법개정
헌법에 규정된 개정절차에 따라 헌법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헌법의 특정조항을 수정・삭제 또는 증보함으로써 헌법의 내용을 변경하는 행위
⑵ 주체
(선거권자로서의) 국민(선거인단)
14. 헌법개정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자
가. 헌법개정 제안권자 누구인가?
나. 제안된 헌법개정안은 대통령이 몇일 이상 공고하여야 하는가?
다. 국회는 헌법개정안이 공고된 날로부터 몇일 이내에 의결하여야 하면 그 의결정족수는 얼마인가?
라. 헌법개정안은 국회가 의결한후 몇일 이내에 국민투표에 붙여야 하며 헌법개정이 확정되려면 그 찬성은?
15. 직접민주주의
가. 직접민주주(直接民主主義, direct democracy)의 의미
직접문주의은 보통 대의원(국회의원)과 입법부(국회)를 거치지 핞고 국민이 정책을 수립하고 법을 제정하는 것을 말한다.
직접민주주의는 선출 또는 임명직 관리에 의존하기보다는 국민들이 글자그대로 스스로 다스리는 제도를 말한다.
(순수민주주의로도 알려진) 직접민주주의는 국민이 대표를 선출하여 대표가 정책발안을 결정하는 대표민주주주에 반하여 국민이 직접 정책발안을 결정(예, 투표, 공감대 형성)하는 민주주주의 한 형태이다.
나. 직접민주주의 방법 3가지
⑴ 국민투표(國民投票, referendum)
⑵ 국민소환(國民召還, recall)
⑶ 국민발안(國民發案, 國民創案, initiative)
첫댓글 여덟가지의 기사 내용에 따른 다양한 학습지도사례 잘 보았습니다.
깔끔하게 정리해 주셔서 커다란 윤곽이 잡혔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