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甲)
갑목(甲木)은 하늘에 있으면 우레가 되고, 땅에 있으면 큰 나무가 되며, 사람에게 있어서는 수령이 된다. 그 물상(物象)은 목두(木頭), 동량(棟梁), 전간(電杆), 빌딩, 황당(皇堂) 등이다. 갑목의 물상(物象)은 고귀한 것으로 부려(富麗)하고 당황(唐惶)한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12지지(地支)에서 노대(老大)하고, 그 지위가 현연(顯然)한 것이다, 다른 천간(天干)과는 비교할 법이 없다. 세간에 있는 가장 첫 번째를 나타내고, 정극(頂極)한 사물은 모두 이 류상(類象)에 속한다.
우리들은 지나간 과정중에 이미 말하였는데, 갑(甲)은 지위가 아주 높고 점유한 그의 위치에서는 단지 아래로 내려가 쓰는 것 뿐이다. 그런 까닭에 그 본신(本身)은 아주 비최(悲催;상태가 매우 좋지 않음을 나타내며 눈물 날 정도로 슬프다라는 의미)하다. 사람의 도움도 없으며 단지 다른 사람이 오면 돕는 사람일 뿐이다.
우리들이 사용하는 체(體)와 용(用)으로 생각하면 발견하게 되는데, 갑목이 가장 좋은 것은, 용(用)을 점할 때이지 체(體)를 점유할 때가 아니다. 왜냐하면 한 사람이 만일 능히 이러한 고귀스런 물건을 쓴다면, 당연히 그의 단계는 아주 높아지기 때문이다. 갑목이 체(體)를 점유하면 오히려 좋지 않다. 어떻게 해야 능히 갑목이 용(用)을 점유하겠는가?
여러분은 한 번 생각해보라? 10간(干)은 양(陽)을 고귀하게 보고, 음(陰)은 비천(卑賤)하게 본다. 거의 음간(陰干)은 모두 갑(甲)을 보는 것을 기뻐한다. 을(乙)은 갑을 좋아하고, 정(丁)도 갑을 좋아하고, 기(己)도 갑을 좋아하며, 신(辛)도 갑을 기뻐하는데, 가장 갑을 기뻐하는 것은 바로 계(癸)이다.
우리들은 나누어 말하고자 하는데, 각각의 하나의 천간(天干)과 갑(甲)의 관계를 말해보겠다. 우리들은 갑(甲)이 일주(日主)가 되는 상황을 채용하여 설명하겠다.
갑일(甲日)이 을(乙)을 보면, 을은 갑의 재(財)를 빼앗으므로 갑목은 을(乙)을 보는 것을 기뻐하지 않는다. 이러한 규율에서 살펴보면 당신은 발견할 것인데, 음(陰)인 일간(日干)이 갑(甲)을 볼 때에 갑은 모두 기뻐하지 않으며, 모두 갑(甲)의 생산에 불리할 것이다.
2차 대전 시기를 근거하여 말한다면, 독일에 사는 유태인 형제가 피난할 곳을 찾고 있었는데, 큰 형은 그가 일찍이 도와준 적이 있는 아주 바쁜 사람에게 도움을 구하였고, 동생은 일찍이 도와주었던 사람에게 도움을 구하였다. 마지막에 어떤 결과인지를 여러분들은 알겠는가?
마지막에 동생이 도움을 받아 탈출하였고, 형은 도움을 받으려고 했으나 만나기가 어려웠다. 이 한 가지 사실이 여러분의 일생에 늘 계시(啓示)가 되지 않을 까? 이것은 당신이 영원히 당신이 일찍이 도와주었던 사람에게 희망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며, 그가 반드시 당신에게 보답을 한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이다. 과거에 도와주었던 당신이 단지 과분하게 바라지 않는다면 장래에 그가 다시 당신을 도와 줄 것이다.
갑의 옆에 각각의 천간을 붙여보면 아래와 같이 유추할 수 있다.
갑일(甲日)이 병(丙)을 보면 식신(食神)인데, 이것은 갑(甲)의 빼어난 기가 밖으로 발설하는 것으로 영화(榮華)가 밖으로 드러나는 상(象)이다.
갑이 만일 활목(活木)이라면 꽃이 피면 돌연히 갑(甲)은 아름다워진다.
갑목이 만일 사목(死木)이라면 연소(燃燒)하는 것과 같아서, 쉽게 다 타버려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갑(甲)이 병(丙)을 보면 병(丙)은 바로 갑(甲)의 체(體)가 된다. 이러한 체(體)는 잘 보호해야 비로소 좋은데, 만일 신(辛)과 합하거나 혹은 계(癸)에 극(克)을 당하면 곧 부서진다. 꽃이 비록 아름다우나 오히려 쉽게 꺾임을 당한다.
갑일(甲日)이 정(丁)을 보면 상관(傷官)이며, 또한 갑(甲)에 일종의 빼어난 기이다. 그러나 정화(丁火)는 심성(心性)이 편파하여 사람이 아주 총명하나, 그러나 겨우 이것은 작은 총명일 뿐이다. 다만 정화(丁火)가 임(壬)과 합하여 배인(配印)하면, 이 사람의 총명은 정도(正道)로 쓰임을 표시하며, 격외(格外)로 그 재화(才華)를 나타낼 것이다.
갑일(甲日)이 무(戊)를 보면 편재(偏財)인데, 이러한 재(財)는 반드시 갑(甲)이 얻는 것이 아니며, 얻는다 해도 얼마 안 되는 돈이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 그것을 취해도 재부(財富)가 되지 않는다. 갑이 무를 보면 부서지는 곳이 없어야 한다.
갑일(甲日)이 기(己)를 보면 정재(正財)인데, 갑과 기의 합은 바로 갑(甲)이 기(己)의 재색(財色)을 탐연(貪戀)하여 그 귀성(貴性)을 잃게 된다. 그런 까닭에 일반적으로 말하기를 갑(甲)은 기(己)와 합하는 것을 기뻐하지 않는다고 한다. 갑(甲)은 머리가 되고 기(己)는 땅이 되므로 갑(甲)이 기상(己象)과 합하면 머리를 숙인다는 뜻이 있다. 사람은 5되에 쌀에 허리를 구부리면 안 되며, 허리를 곧게 펴야 하는데, 이같이 한 번 합하면 합으로 부서지는 것이다. 적어도 이러한 모양의 사람을 만나면 아주 인색할 것이며, 요컨대 그 청객(淸客:속되지 않은 손님)이 하늘로 오르기는 다시 어려울 것이다.
갑일(甲日)이 경(庚)을 보면 칠살(七殺)이며, 갑(甲)은 경(庚)을 좋아 하는데, 왜그런가? 예를 들면 갑(甲)이 활목(活木)이라면 대수(大樹)가 되는데, 경(庚)을 보면 그 곁가지를 잘라주므로 갑(甲)이 자라는 것이 다시 곧아지며 다시 아름다워진다. 만일 갑(甲)이 사목(死木)이면 다시 경(庚)을 기뻐하는데, 왜냐하면 이때에 경(庚)은 곧 도끼, 분자(錛子:나무를 깎아 다듬는 연장의 하나) ,포자(刨子:대패)이며, 甲은 가공(加功)되어 그릇이 된다.
갑일(甲日)이 신(辛)을 보면 정관(正官)인데, 갑(甲)은 신(辛)을 보는 것을 가장 꺼린다. 왜 그런가? 만일 갑(甲)이 활목이라면 신(辛)은 곧 못인데, 나무토막에 못을 박는 것이니, 목두(木頭)를 다시 쓸 수가 있겠는가? 당연히 못에 의해 못쓰게 된다. 이러한 도리는 모두 생활로부터 취하여 완전하게 적용하면 되며, 간지(干支)는 바로 생활의 이치와 완전히 함께 하며, 생활의 떠난 간지(干支)는 없다.
갑일(甲日)이 임(壬)을 보면 편인(偏印)인데, 갑(甲)은 임수(壬水)을 기뻐하며 더욱 자란다. 다만 명중(命中)에 수(水)가 태왕(太旺)하지 않은 것을 갑(甲)은 기뻐한다. 그러나 요구되는 것은 갑(甲)이 반드시 활목(活木) 이어야 하며, 사목(死木)은 임수(壬水)가 생해주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만일 갑신(甲申)이라면 이러한 갑(甲)은 쉽게 죽을 수 있으므로 임(壬)을 보면 반드시 좋은 것이 아니다.
갑일(甲日)이 계(癸)를 보면 정인(正印)인데, 비록 인(印)으로 나를 생(生)한다고 해도, 그러나 갑(甲)이 가장 두려운 것이 계수(癸水)이다. 이것은 아주 기괴한데 여러분을 생각해보라 어째서 그러한가? 어떤 점에서는 벌레와 비슷하다. 계수(癸水)라는 이러한 수(水)는 갑목(甲木)을 생하지 못하고 또한 비를 대표하지 않고 이것은 벌레인데, 비록 아주 적지만 그러나 갑목을 침해한다. 내가 경험해보니 갑목의 일주가 계수(癸水)를 보았는데, 머리위에 흉터가 있었고 또 머리에 장단(長短)이 있고 길게 움푹 파졌다.
갑(甲)이 신체에서는 머리, 얼굴, 두발, 눈썹을 대표한다. 오장에서는 담이다. 다시 근육이나 신경을 대표한다. 갑일(甲日)이 기(己)와 합하면 2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하나는 얼굴에 긴 반점이 있기가 쉬우며, 하나는 머리를 들면 곧지 않아 쉽게 낙타 등이 된다.
우리들은 갑일(甲日)의 귀격(貴格)을 만나기가 아주 적은데, 대다수는 갑(甲)을 하여야 귀한 명(命)이 된다. 만일 반드시 갑일(甲日)이 생성(生成)하려면 가장 좋은 것은 활목(活木)의 갑(甲)이며, 생존의 조건이 우월해야 음간(陰干)의 해(害)를 당하지 않는다. 활목이 가장 좋은 것은 빼어난 기를 나타내어야 비로소 자기의 재화(才華)가 갑자기 나타나게 된다. 만일 갑목(木)이 사목(死木)이라면 수명의 환난을 견뎌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 활목이 되고, 어떤 상황에서 사목(死木)이 되는가?
통근(通根)하고 수(水)를 보면 활목이 되고, 통근(通根)하지 못하고 수(水)를 보면 사목(死木)이 되며, 혹은 통근(通根)해도 수(水)를 보지 못하면 사목이 된다.
-초벌번역이라 문장이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습니다.
-참고만 하십시오.
첫댓글 일주론은 책으로 나오지 않나요?
내용이 중요하여 안 나옵니다.
언제 나오나요.
늦어져 1월 중순이 넘어야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