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위스키(American Whiskey)
원산지 : 미국내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를 아메리칸 위스키라 한다.
* 대표적인 것 : 켄터키주의 버번위스키(Bourbon Whiskey)
테네시주의 테네시위스키(Tennessee Whiskey)
원료 :
버번위스키 : 51%이상의 옥수수(Corn)를 사용
콘위스키 : 80%이상의 옥수수(Corn)를 사용
라이위스키 : 51%이상의 호밀(Rye)을 사용
역사
아메리칸 위스키의 역사는 1600년대초부터 시작된다.
당시는 과일을 원료로 한것, 당밀을 원료로 한것 등이었는데 삼각무역의 배경을 갖고 있는 럼이 주체였다.
노예무역폐지, 곡물의 과잉생산으로 잉여곡물처리등의 사정으로 원료를 곡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펜실바니아가 중심이 되어 다른 주에도 전파되었다.
독립전쟁후 정부는 경제사정상 과중한 과세를 해서 폭동이 일어나고 증류업자는 켄터키, 인디아나, 테네시 등 서부로 도망가게 되었다.
특히 켄터키(Kentucky)에서는 옥수수를 사용하고 나무통속에 숙성한 새로운 위스키를 제조하게 되었다. (Bourbon의 시초)
1920년 금주법의 시행으로 증류업자는 밀조, 밀매하게 되는데 금주법 폐지와 더불어
단식증류기는 없어지고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대량 생산하게 되고 미국의 독자적인 아메리칸 위스키가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34년 만들어져서 1948년 개정한 법률은 29종(현재31종)의 주류를 규정하였고, 질적 향상을 위하여 Bottled-in-Bond제를 실시하고 있다.
아메리칸 위스키의 특징
세계에서 위스키를 가장 많이 소비와 수입을 한다.
아메리칸 위스키의 생산은 버번 위스키가 주종이다.
곡물을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를 증류하여 95%이하의 알코올을 만든 다음 오크통에서 24개월 이상 숙성시켜 알코올 농도가 40%이상으로 병입 한 것 (미국 연방 알코올 통제법)
분류
①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ey)
생산지 : 미국 켄터키(Kentucky)주에서 80%이상이 생산
제조과정 : 옥수수 51%이상을 포함한 곡물을 발효, 증류하여 그을린 참나무 통속에서 숙성시키고 다른 위스키와 혼합하지 않은 위스키.
옥수수 66% 이상이면 상표에 “Kentuchy Straight Bourbon Whiskey"라 부른다.
※ 버번위스키 제조규정
ㆍ옥수수 51%이상을 사용
ㆍ연속식 증류기로 40~80℃ 사이에서 증류
ㆍ그을린 참나무통(Charred Oak Cask)속에서 2년 이상 숙성시킨 단일원액
유명상표
짐빔(Jim Beam), 어얼리타임즈(Early Times), 블랜톤(Blanton),
와일드터키(Wild Turkey), 올드 그랜 데드(Old Grand Dad),
아이 더블유 하퍼(I.W.Harper), 에반 윌리암스(Evan Williams),
메이커즈 마크(Mayer's Mark), 텐하이(Ten High), 베이커스(Baker's) 벤치마크(Benchmark), 존 해밀톤(John Hamilton)
② 테네시 위스키(Tennessee Whiskey)
생산지 : 테네시주
원료는 버번과 같으나 증류한 후에 사탕 단풍나무로 만든 숯으로 여과하여 저장 숙성시킨다.
유명상표
잭다니엘(Jack Daniel's), 죠지딕켈(George Dickel)
③ 라이 위스키(Rye Whiskey)
생산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원료 : 호밀을 원료로 51%이상 사용
제조과정 : 80℃ 이하의 증류액을 얻어 안쪽을 태운 화이트 오크통에다 2년 이상 숙성하여 만든 위스키
④ 콘 위스키(Corn Whiskey)
생산지 : 미국 남부에서 주로 생산
원료 : 옥수수 80%이상을 사용
제조과정: 버번과 동일하나 저장면에서 버번위스키는 안쪽을 그을린 오크통에 넣어 저장 착색하는데 비해, 콘 위스키는 단지 새통이나 저장에 한번 사용된 통을 다시 사용하여 오크통에서 저장만 할 뿐 착색하지 않는다.
⑤ 브렌디드 위스키(Blended Whiskey)
알코올 도수 50%인 스트레이트위스키를 20%이상 섞어서 만든 위스키
병입시 알코올 40%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출처 칵테일나라>